• Title/Summary/Keyword: hyaloclastite

Search Result 2, Processing Time 0.018 seconds

The Occurrence and Formation Mode of Basaltic Rocks in the Tertiary Janggi Basin, Janggi Area (제 3기 장기분지에 나타나는 현무암질암의 산상과 형성기구)

  • Kim, Choon-Sik;Kim, Jin-Seop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16 no.2 s.48
    • /
    • pp.73-81
    • /
    • 2007
  • A basaltic tuff formation (Upper Basaltic Tuff of the Janggi Group) occurs in close association with basalt (Yeonil Basalt) at the Tertiary Janggi basi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scribe the occurrence of the basaltic tuff and associated basalt and to determine their mode of formation. The basaltic rocks of the study area show few distinct lithofacies, all of which are originated from the interaction of basaltic magma with external water. The four lithofacies include (1) sideromelane shard hyaloclastite, (2) pillow breccia, (3) entablature-jointed basalt, and (4) in-situ breccia. The sideromelane shard hyaloclastite constitutes most of the Upper Basaltic Tuff and has a gradual contact with the pillow breccia. The pillow breccia consists of a poorly sorted mixture of isolated and broken pillows, and small basalt globules and fragments engulfed in a volcanic matrix of sideromelane shard hyaloclastite. The entablature-jointed basalt occurs as a small body within the hyaloclastite. It is characterized by irregularly-curved joints known as entablature. The in-situ breccia occurs as a marginal facies of entablature-jointed basalt, and its width varies from 10 to 30m.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 basaltic tuff and associated basalts of the study area were produced by the volcanic activity of same period and the basaltic tuff was formed by subaqueous eruption of basaltic lava followed by nonexplosive quench fragmentation.

제주도 동부지역의 수문지질에 관한 연구(II)

  • 고기원;박윤석;박원배;문덕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3.04a
    • /
    • pp.67-72
    • /
    • 2003
  • 제주도 동부지역에 설치한 심부관측정과 지하수 개발공에 대한 시추코아 지질검층, EC 및 수온검층, 지하수위 관측, 수질조사 등의 자료를 기초로 이 지역의 지하지질 분포와 지하수 부존특성에 대해 해석을 실시하였다. 제주도 동부 해발 200m 이하지역은 평균 해수면 하 90~120m 깊이까지 투수성이 좋은 용암류 누층으로 이뤄져 있으며, 일부지역에서는 서귀포층 상부에 유리쇄 설성 각력암층(hyaloclastite breccia)이 두껍게 분포하고 있어 담수지하수의 확산과 해수의 유입이 잘 일어날 수 있는 지질상태를 이루고 있다. 특히 서귀포층은 G-H비에 의한 담.염수 경계면 분포 깊이보다 깊은 위치에 존재하고 있어 제주도 서부지역에서처럼 담수지하수를 저류 해주는 역할을 기대하기 어려운 것으로 판단된다. 제주도 동부지역 지하수체는 수직적으로 담수지하수, 저염지하수, 염수지하수로 구분할 수 있으며, Ghyben-Herzberg 원리가 적용되는 담수렌즈(기저지하수) 두께는 일반적인 G-H비 보다 훨씬 얇은 평균 1:20의 비율을 나타냈다. 담수렌즈는 대체로 해안으로부터 내륙쪽 8km 지역까지 광범위하게 발달하고 있으며, 담수렌즈 포장량은 822백만톤(공극율 5%)에서 1,970백만톤(공극율 12%)의 범위로 추정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