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umidity deficit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19초

EVAPOTRANSPIRATION RATE AND GRAFT-TAKING OF GRAFTED SEEDLINGS UNDER ARTIFICIAL LIGHTING

  • Kim, Y. H.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2000년도 THE THI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GRICULTURAL MACHINERY ENGINEERING. V.III
    • /
    • pp.632-638
    • /
    • 2000
  • This paper represents the characteristics of evapotranspiration rate (EVTR) and graft-taking of watermelon grafted seedlings in a graft-taking enhancement system using fluorescent lamps as artificial lighting source. Four air temperature levels of 23, 25, 27 and 29C, three humidity levels of 85, 90 and 95%R.H. and two photosynthetic photon flux (PPF) levels of 30 and 50 ${\mu}$mol m$\^$-2/ S$\^$-1/ were provid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ir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and light intensity on EVTR and graft-taking of grafted seedlings. EVTR of grafted seedlings increased with increasing air temperature and the passage of time after grafting. Also EVTR increased with decreasing relative humidity. As relative humidity decreased and air temperature increased, vapor pressure deficit increased and thus EVTR increased. It is required to maintain a low level vapor pressure deficit for suppressing EVTR of grafted seedlings during first 1-2 days after grafting. Therefore, less EVTR at initial stage after grafting would be adequate for smooth joining of the scion and rootstock.

  • PDF

인공광하에서 접목묘 개체군의 증발산속도와 활착에 미치는 포차의 영향 (Effect of Vapor Pressure Deficit on the Evapotranspiration Rate and Graft-taking of Grafted Seedling Population under Artificial Lighting)

  • Yong Hyeon Kim;Chul Soo Kim;Ji Won Lee;Sang Gyu Lee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32-236
    • /
    • 2001
  • 광합성유효광량지속이 50 $\mu$mol.m$^{-2}$ .s$^{-1}$로 유지되는 인공광하에서 수박 접목묘의 증발산속도와 활착에 미치는 포차의 영향을 정량적으로 구명하고자 기온 4수준(23$^{\circ}C$, $25^{\circ}C$, 29$^{\circ}C$), 상대습도 3수준(85%, 90%, 95%)으로 처리된 조건에서 접목과 활착 실험을 수행하였다. 상대습도가 95%로 높게 유지될 때 기온이 증가할수록 접목묘의 증발산속도는 높게 나타났다. 이것은 기온의 증가에 따라 엽온이 상승하면서 엽의 수증기압이 높아져 증발산속도가 높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상대습도가 85%로서 상대적으로 낮게 유지될 때 증발산속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접목 후 경과된 시간에 따라 증발산속도는 감소하면서, 접수의 위조가 관찰되었다. 이것은 대목과 접수가 완전하게 결합되지 않아 접수의 유관속으로 수분의 공급이 충분하게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상대습도가 90%와 95%를 유지하는 조건에서 증발산속도의 차이는 미약하게 나타났다. 상대습도가 높을수록 접목묘의 활착율은 높았으며, 90% 이상으로 상대습도가 유지되는 조건에서 활착율은 기온과 무관하게 90%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접목묘의 활착율에 미치는 상대습도의 영향은 기온에 비해서 큰 것으로 판단된다. 포차가 작을수록 접목묘의 활착율은 높게 나타났다. 포차가 0.4kPa 이하를 유지하는 조건, 즉 상대습도가 90% 이상으로 유지될 때, 90% 이상의 높은 활착율을 얻을수 있었다. 따라서 수박의 접목 초기에 증발산속도를 억제하여 접수의 위조를 방지하고, 활착율을 높이려면 상대습도를 최소한 90% 이상으로 조절해주는 것이 효과적이다.

  • PDF

기류속도가 인공광하에서 공정육묘 개체군의 미기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ir Current Speed on the Microclimates of the Plug Stand under Artificial Light)

  • 김용현;고재풍수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60-166
    • /
    • 1996
  • 김등과 Kim등이 재발한 공정묘 생산용 풍동을 사용하여, 인공광하의 묘개체군내외에서 기온, 상대습도 및 포차(vapour pressure deficit) 등의 미기상 특성에 미치는 기류속도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기온차의 최고치가 초장 근처에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공정묘의 생육이 진행될수록 더욱 분명하게 나타났다. 묘개체군 내부에서는 배지 또는 엽으로부터의 증발산으로 인하여 개체군 외부에서의 기온에 비해서 0.7-l.4$^{\circ}C$ 정도 낮게 나타났는데, 기류속도가 낮을수록 기온차가 높게 나타났다. 묘개체군 내부의 상대습도 분포에 미치는 기류속도의 영향이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기류속도가 증가할수록 묘개체군 내외에서의 상대습도차는 작게 나타났는데, 이것은 기류속도의 증가에 따라 엽에서의 water potential이 감소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배지표면으로부터의 높이가 증가함에 따라 포차가 증가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수증기 유속의 흐름이 상방향으로 이루어짐을 의미하는 것이다. 생육단계에 따른 포차의 변화는 엽면적 지수가 클수록 수직방향으로의 기울기가 크게 나타났다. 한편, 후부에서의 상대습도 및 포차는 중앙부에서 보다 약간 낮게 나타났다. 기류속도에 따라 묘개체군의 수직방향 및 기류진행방향으로 기온, 상대습도 및 포차의 기울기가 크게 나타났는데, 이러한 미기상 요소의 기울기는 묘개체군의 불균일 생장을 초래할 수 있다.

  • PDF

실내조경에 있어서 양치식물의 수분환경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nagement Plan of Water Environment of Ferns in the Interior Landscape)

  • 주진희;방광자;설종호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22-131
    • /
    • 1999
  • Indoor environments are usually less than optimal for the growth of ferns, especially in regards to the water condition. These studie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responses involved in causing growth of ferns and presume management plan against the water deficit under indoor conditions. The effect of air humidity and soil moisture on the ferns was examined in Adiantume raddianum and Selaginella kraussiana. Results of experiments are as follows; 1. Under a low humidity condition, having a 25-50% RH. ornamental value of ferns decreased much more than under a 90% RH. Under a low soil moisture, such as sand treatment, ornamental value of ferns also decreased. 2. Leaf chlorophyll content, water content and stomata situations increased as air humidity and soil moisture went up. 3. Even if air humidity and soil water were not enough for ferns growth, the extending of irrigation cycle was helpful. 4. Under extremely low air humidity conditions, some water management, namely, using water holding soil or extending of irrigation cycle was desirable. Other methods of increasing air humidity, including water instruments such as ornamental pools, waterfalls, or fountains, grouping plants together were also helpful. But spraying water on leaves increased injury to ferns growth because of excess evaporation from the leaves. Though these studies, we learn that ferns are susceptible to water condition such as air humidity, soil water and water management. If other environmental factos are maintained with optimal conditions, water condi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ferns growth in indoor environments.

  • PDF

재배시기가 착색단고추의 과병무름증 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ultivation Time on the Incidence of Brown Fruit Stem of Glasshouse Sweet Pepper (Capsicum annuum L.))

  • 유근;김재철;곽성희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62-166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시설 착색단고추(cv. 적색계 Special)의 동계작형에서 재배시기에 따른 과병무름증 발생정도를 조사하고 환경적 원인을 구명하기 위함이었다. 8월 31일(T1)에 정식한 재배구가 11월 24일(T2)에 정식한 재배구에 비해서 과병무름증이 더 많이 발생하였다(6.1% vs. 2.9%; P<0.01). 과병무름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하는 착색기 부근에서 측정된 재배환경 중에 두 재배구간 가장 두드러진 차이는 일일누적광량과 야간습도에 있었다. 착색기동안 T1에서 일일누적광량과 야간습도부족(Humidity Deficit, HD)은 T2보다 더 낮았는데, 이러한 환경조건은 T1에서 뿌리압의 상승에 더 유리한 조건이었다. 야간습도가 과병무름증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재확인하기 위해서 익년에 T1재배구와 비슷한 시기에 정식한 재배구(T3)를 준비하였는데, T3에서는 뿌리압 생성을 억제하기 위해서 야간에 가온하였다. 결과적으로 T3에서 착색기동안 야간HD는 T1에 비해서 상당히 증가되었고($5.9g{\cdot}m^{-3}\;vs\;1.9g{\cdot}m^{-3}HD$) 과병무름증도 전혀 발생하지 않았다. 그러므로 착색단고추의 하계파종형(동계수확)에서 과병무름증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과실비대가 종료된 후부터 수확까지 야간에 가온을 실시하여 야간 습도를 낮춰줘야 할 필요가 있다.

Effects of High Relative Humidity on Weight Loss, Color Change, and Microbial Activity of Tomatoes during Refrigerated Storage

  • Pai, Tongkun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3권4호
    • /
    • pp.250-253
    • /
    • 2000
  • The effects of high relative humidity (RH)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microbial activity of mature green tomatoes ('Dombito') during refrigerated storage were determined at three temperatures (5, 10, and $15^{\circ}C$) and four different RH levels (91, 94, 97, and 99%). At each temperature, the weight loss rates of tomatoes at different levels of RH were significantly (p<0.05) different from each other. For the samples stored at $10^{\circ}C$, the weight losses were generally higher than those for the samples at $15^{\circ}C$ within the same RH level (i.e., greater vapor pressure deficit). The color change rates ('a' value) showed positive slopes, indicating that the tomato color was changing from green to red. Neither bacteria nor fungi caused visible damages to the samples, and the microbial counts were below 650 colony forming units/$cm^2$ during the test period.

  • PDF

토마토 암면 고형배지경에서 급액방식에 따른 급배액량, 생육 및 과실 수량 비교 (Comparison of Irrigation and Drainage Volumes, Growth and Fruit Yield under Different Automated Irrigation Methods in Tomato Rockwool Hydroponics)

  • 윤범희;조은경;백정현;조일환;우영회;최은영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28-35
    • /
    • 2020
  • 본 연구는 봄에서 여름 재배기에 토마토를 암면배지 재배에서 누적일사량급액방식(ISR)과 물관수액흐름 속도에 따른 급액방식(SF)에서 급배액량, 수분흡수량, 과실 생육 및 과실 생산량, 과실비대속도를 관찰하였다. 정식 후 28일에서 82일까지 총급액량은 SF 제어구에서 약 5.0L 적게 소비되었으나 지상부와 과실 생체중은 유의차가 없었고 수분이용효율(WUE)과 과실 200g을 생산하는데 소요된 물량도 두처리 간 유의차가 없었다. 정식 후 58일에서 82일까지 급액방식에 따른 실시간 광량과 물관수액흐름속도 상관관계를 관찰하였을 때 상관관계(r2)는 SF제어구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정식 56일부터 82일까지 실시간 측정된 과경비대속도와 배지함수율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SF제어구에서 야간과 낮 시간대에 ISR제어구 보다 높았고 특히 야간 시간대에 상관관계가 더 높게 나타났다. SF제어구의 물관수액흐름속도와 수분부족분(Humidity Deficit: HD)과의 상관관계(r2=0.6286)도 광량과의 관계만큼 높게 나타났다. 더 많은 현장 연구를 통해 수확량, WUE 및 센서의 정확도과 같은 특성에 관한 결과들을 도출하였을 때 상업적 수경재배 농장 재배자의 관심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대기-엽 수증기압차에 의한 산마늘과 울릉산마늘의 광합성 반응 비교 (Comparison of Photosynthetic Responses in Allium microdictyon Prokh and Allium ochotense Prokh from Atmosphere-Leaf Vapor Pressure Deficit (VPD))

  • 이경철;김하선;노희선;김종환;한상섭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71-176
    • /
    • 201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tmosphere-leaf vapor pressure deficit (VPD) in Allium microdictyon Prokh. and Allium ochotense Prokh. The vapor pressure deficit (VPD) was rapidly increas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 and decreasing relative humidity. Taken as a whole, the stomatal transpiration reaction was slightly late with increading of VPD. Maximum photosynthetic rate at high-VPD condition was 5.98 ${\mu}mol$ $CO_2{\cdot}m^{-2}{\cdot}s^{-1}$ in Allium microdictyon, which was a little lower than 6.59 ${\mu}mol$ $CO_2{\cdot}m^{-2}{\cdot}s^{-1}$ in Allium ochotense, respectively. After 2 p.m, stomatal transpiration of Allium microdictyon at the high VPD condition were rapidly decreased. Ci/Ca began to decline sharply at 8 a.m and showed the lowest value at 2 p.m, The results showed that Ci/Ca decreased with being used $CO_2$ in the mesophyll intercellular space for photosynthesis. In high VPD condition, The water potential values showed the highest at 5 a.m, and the lowest at 1 p.m in high VPD condition. The water saturation deficits (WSD) in high VPD condition showed about 1.5 times higher than in low VPD condi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physiological activities in Allium microdictyon is more limited from high VPD conditions.

대기 증기압차가 참외 발효과 발생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Atmospheric Vapor Pressure Deficit on Fruit Fermentation of Oriental Melon(Cucumis melo L. var makuwa Makino))

  • 신용습;서영진;최충돈;박소득;최경배;윤재탁;김병수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74-179
    • /
    • 2007
  • 참외 발효과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증산과 관련된 몇 가지 요인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참외의 증산율은 지온이 높고 토양수분 함량이 많을수록 높았으며, 광도가 약하여 온도가 낮을 경우 증산율과 기공 전도도가 낮아졌고, 저온 다습한 기상조건에 의한 증산의 억제는 식물체와 대기사이의 증기압기울기가 낮아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발효과 발생은 과실의 비대가 느린 착색기 이후에 토양수분이 -10 kPa로 많고, 저온 다습하여 참외와 대기 사이에 증기압기울기가 낮게 형성되어 증산이 억제될 때 발생하였다. 따라서 참외의 발효과 발생은 착색기 이후 참외의 과실 비대가 지연되는 반면 지온이 높아 뿌리로부터 지상부로 수분의 공급이 원활하고, 저온 다습한 기상조건하에 수분의 증산이 억제되어 수분이 태좌부로 유입되면 발효과가 발생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류체 포그 냉방시스템의 제어알고리즘 개발 (Development of Control Algorithm for Greenhouse Cooling Using Two-fluid Fogging System)

  • 남상운;김영식;성인모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38-145
    • /
    • 2013
  • 최근 국내에 많이 보급되고 있는 이류체 포그 냉방시스템의 효율적인 제어알고리즘을 개발하기 위하여 다양한 조건의 분무사이클을 설정하여 토마토재배 온실에서 냉방실험을 실시하였다. 냉방효과는 평균 $1.2{\sim}4.0^{\circ}C$를 보였고, 냉방효율은 평균 8.2~32.9%로 나타났다. 분무간격에 따른 실험에서 90초 분무사이클의 냉방효율이 가장 높았고, 대체로 분무시간이 길수록, 정지시간이 짧을수록 냉방효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류체 포그시스템의 분무량이 증가할수록 냉방효율이 높아지는 경향을 찾을 수 있었다. 그러나 분무량을 증가시키더라도 내부공기가 포화상태에 가까워지면 더 이상 증발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내부공기가 포화상태에 도달하기 전까지 분무량을 증대시키는 방법으로 냉방효율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냉방효율이 증가함에 따라 실내공기의 포차는 감소하였고 실내외 절대습도 차이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포그의 증발량이 증가할수록 실내와 실외의 절대습도 차이는 커지고, 이에 따라 환기에 의한 수증기 배출이 잘 되어 다시 증발효율을 상승시키므로 냉방효율이 높아지는 순환구조를 갖게 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분무시간과 정지시간에 따른 실내공기의 포차변화를 회귀분석한 결과 $10g{\cdot}kg^{-1}$의 포차 변화에 필요한 분무시간은 120초, 정지시간은 60초로 나타났다. 그러나 온도의 진동폭을 줄이고 냉방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포차의 변동범위를 $5g{\cdot}kg^{-1}$으로 설정하여 60초 분무, 30초 정지가 더 적당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류체 포그시스템의 제어방식을 컴퓨터 제어시스템과 현재 보급되고 있는 간편제어시스템으로 분류하여 제어알고리즘을 유도하였다. 자연환기 온실에서 간편 제어시스템을 사용한다면 분무사이클을 60초 on, 30초 off로 설정하고 온도하한은 30~$30{\sim}32^{\circ}C$, 습도상한은 85~90%로 설정할 것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