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uman rights

검색결과 675건 처리시간 0.022초

임상실습 1년차의 인권감수성, 환자권리에 대한 인식수준이 임상실습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Human Rights Sensitivity and Perception Level of Patient Rights on Adaptation to the First-year Clinical Practice)

  • 김지원;제남주;화정석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8
    • /
    • 2023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impact of human rights sensitivity and patient rights awareness of first-year students in clinical practice on clinical practice adaptation and to prepare practical and systematic personality development program education alternatives to foster high-quality medical personnel. Method: As for the research method, an online survey of 155 medical and nursing students from two universities in G-do (76 medical students and 79 nursing students) was conducted, and the collected data were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by-step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WIN/25.0. Finding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each variabl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human rights sensitivity had a significant impact on gender, patient rights recognition on personality type, and clinical practice adaptation had a significant impact on major selection motivation. Second, the factors affecting the adaptation of first-year college students to clinical practic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extroverted personality and patient rights perception among personality types (regression model results F=6.38 (p<).001), 24.2% explanatory power).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education and policy efforts are needed to foster accurate awareness of human rights issues by developing flexible and flexible extracurricular activity programs in the operation of the curriculum to strengthen medical and nursing students' ability to adapt to clinical practice and improve awareness of human rights issues.

  • PDF

국제인권법 및 인권규범의 주거권 규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Right to Housing in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s and Instruments)

  • 김용창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514-540
    • /
    • 2013
  • 오늘날 인권은 국제법 체계에서 가장 복잡하면서도 두드러진 쟁점이며, 주거권도 세계인권선언을 비롯하여 국제인권규범에서 기본인권으로 인정되고 있다. 본 연구는 85개 국제인권법 및 인권규범을 대상으로 인권으로서 주거권 규정을 종합적으로 검토한다. 주거권 일반, 노동자의 주거권, 사회적 취약집단의 주거권, 국제지역기구의 주거권으로 나누어 국제규범에 나타난 주거권의 내용과 특징을 분석한다. 주거권은 보편성, 불가분성, 상호의존성이라는 인권일반의 성격을 마찬가지로 가지고 있으며, 적절한 주거권이란 단순한 물리적 공간의 보장이라는 의미를 넘어 점유의 법적 안정성, 생활편익시설의 이용가능성, 비용의 적정성, 입지의 적합성 등 총체적인 의미로 해석하고 있다. 다양한 규범에 나타난 주거권에 대한 접근은 발전권적 관점, 양성평등의 관점, 차별금지의 원칙, 참여권적 관점 등을 종합적으로 반영하고 있으며, 인간존엄 및 안정과 평화 속에서 주거생활을 향유하는 것을 지향하고 있다.

  • PDF

장기요양기관 요양보호사의 노인인권옹호행동 영향요인: 개인의 인권의식과 조직의 서비스 지향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Human Rights Behavior of Korean Care Workerin Long Term Care Facilities: The Interaction Effect of Human Rights Awareness and Service Orientations)

  • 김민경;김미혜;김주현;정순둘
    • 한국노년학
    • /
    • 제36권3호
    • /
    • pp.673-691
    • /
    • 2016
  • 장기요양보험제도 시행의 정착에 따른 노인요양서비스 이용 노인 규모가 점차 확대되고 보편화됨에 따라 장기요양서비스 질 제고를 위한 제도적 기반이 마련되는 과정에서 기존의 욕구에 기반을 둔 서비스(need based service) 제공의 원칙으로부터 인권에 기반을 둔 서비스(human rights based service) 제공으로 패러다임 전환이 요구되고 있다. 노인장기요양기관 요양보호사들은 요양시설 인권실천의 최전방에 있는 주체로 이들의 인권옹호행동이 질 높은 서비스 전달의 중요한 요인이 된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장기요양기관 요양보호사들의 인권의식이 인권옹호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또한 그 과정에서 환경요인인 조직의 효과는 이들의 관계를 어떻게 조절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 기관은 2014년 7월 현재 등록된 전국 장기요양기관(정원 30인 이상) 3,983개소 중 사회복지법인 등 비영리법인이 운영하는 782개 시설을 대상으로 하였다. 노인장기요양기관에서 노인요양보호사들을 대상으로 개인수준에 해당하는 인권의식과 조직의 서비스 환경으로 조직수준의 서비스 지향성이 인권옹호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 인권의식(개인)과 인권환경(조직)의 상호작용 효과를 통합적으로 검증하였다. 개인수준과 조직수준 효과 검증을 위해 분석방법은 다층모형(multi-level model)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개인수준의 인권의식이 인권옹호행동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조직수준의 서비스 환경에 해당하는 서비스지향성(리더십/태도/인적자원관리/시스템)은 세부 요소에 따라 영향은 다르지만, 인권옹호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의 인권의식과 조직의 서비스 지향성 상호작용 효과를 살펴본 결과 인권옹호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는데, 특히 서비스 지향성구성요소 중 '인적자원관리'는 인권의식과 상호작용을 통해 인권옹호행동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본 연구에서는 인권옹호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요인과 조직 요인에 대한 이해를 제고하고, 노인장기요양기관 인권 증진을 위해 요양보호사와 장기요양보호기관에 어떤 정책적, 실천적 개입을 할 수 있을지에 대한 함의를 도출하였다.

노인 인권 보호·증진의 국제적 동향과 쟁점 (International Trend and Issues in Protecting and Promoting the Rights of Older Persons)

  • 최성재
    • 한국노년학
    • /
    • 제38권1호
    • /
    • pp.143-168
    • /
    • 2018
  • 21세기에 들어서면서 국제사회에서 노인에 대한 사회적 처우를 인권적 시각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주장이 대두되었지만 국제사회의 노인 인권 보호와 증진을 위한 정책적 노력은 느리게 진행되어 왔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제적 노인 인권 정책의 변화 노력을 전반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체계적 연구는 결여된 가운데 단편적 주제의 연구들만 이루어져 왔을 뿐이다. 본 연구는 기존 문헌자료 분석과 연구자의 국제 활동 경험을 통해 국제사회의 노인 인권 보장을 위한 전반적인 정책적 논의를 조망할 수 있는 체계적 기초자료를 제공하려는 목적으로 국제사회에서의 노인 인권 문제 제기 배경, 기존 국제사회의 노인 인권 관련 규정의 문제점 검토, 노인 인권 증진을 위한 개선방향과 쟁점을 정리하였다. 국제사회의 기존 인권 규정 가운데 노인에게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세계인권선언, 권리 분야별 및 대상 인구별 국제협약과 정책권고가 있으나 노인에게 적용하기에 권리의 범위가 좁을 뿐 아니라 법률적 강제성이 부족한 점이 많은 것이 문제이다. 국제사회는 노인 인권을 강화해야 한다는 데는 합의하고 있으나 그 방법론에서는 기존 국제 규정 이행을 강화하자는 것과 새로운 노인 인권 협약을 제정하자는 입장이 대립하고 있으며 두 가지 방법에도 많은 쟁점이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결론적으로 새로운 노인 인권 협약 제정에 찬성하는 입장에서 한국사회에 대한 함의와 연구에 대한 함의를 제시하고 있다.

장애인시설종사자의 인권수행과정의 어려움에 대한 탐색적 연구 -부산지역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를 중심으로- (Exploration on Difficulty of Human Rights Process Conducted in Caretaker Workers of the Disabled Residential Facilities -Focused on the Caretaker Workers of the Disabled Residential Facilities in Busan-)

  • 김선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771-781
    • /
    • 2016
  • 본 연구는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가 인권수행과정에서 겪게 되는 추상적인 어려움을 다차원척도법을 활용하여 명확화하고 개념화해보고자 하는 것이다. 부산지역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를 대상으로 서술문 리스트를 수집하고, 인덱스카드(index card)를 분류토록 하였다. 분석결과 6개의 군집명이 도출되었고, 종사자들은 시설 내에서는 거주인과의 의사소통 갈등, 서비스 제공자의 의도가 고려되지 않고 종사자의 겉으로 드러나는 단순 행위나 거주인의 주관적인 인권상황인식에 근거한 거주인과 종사자와의 갈등이 종사자의 인권 수행의 어려움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시설 외부적으로는 인권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장애인거주시설에 요구하는 인권관리 실무와 현장실무 간의 괴리로 인한 어려움, 외부 인권조사나 점검에 대한 경직성이나 종사자를 배려하지 않는 측면에서의 인권조사와 점검진행이 어려움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의 인권수행 어려움을 완화하기 위한 몇 가지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인권관점에 기초한 사회복지실천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장애인거주시설의 종사자 경험을 중심으로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Rights-Based Social Work Practice in a Residential Facility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김미옥;김경희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3권1호
    • /
    • pp.29-55
    • /
    • 2011
  • 이 연구는 질적 사례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지적장애인거주시설에서의 인권관점에 기초한 사회복지실천을 종사자의 경험을 중심으로 분석한 것이다. 이를 위해, 장애인거주시설 중 대표적으로 인권관련활동을 하는 기관으로 추천받은 A기관을 선정하고 사례연구방법을 통해 조직 및 개인차원에서의 경험,성과 및 딜레마를 심층적으로 탐색하였다. 조직차원에서 인권관점에 기초한 사회복지실천은 이용자의 욕구를 어떻게 충족해 줄 것인가에 대한 관심으로부터 시작되었다. 그 과정에서 인권보장위원회 구성,인권규정 제정 등의 조직의 정비와 인권교육 및 인권관점을 강조하는 조직 문화 구축이 나타났다. 개인 차원에서 종사자들은 인권관점에 기초한 사회복지실천으로 장애인의 자기결정권과 선택권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또한 인권관점에 기초한 사회복지실천은 이용자, 직원 및 기관 조직문화에 서 다양한 변화를 야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실천과정 안에서 나타나는 새로운 딜레마로 인해 또 다른 고민과 대안을 끊임없이 모색하는 역동적 과정으로 분석되었다. 이 연구는 인권관련 선행연구들이 정책적, 이념적, 개념적 논쟁에 집중되어있는 것과 대조적으로 미시적 측면의 사회복지실천에서 인권관점이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를 집중적으로 탐색한 국내 최초의 기초연구로서 그 함의가 크다.

  • PDF

노인요양시설 간호사 대상 웹기반 노인인권 교육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a Web-based Education Program for Nurses working in Nursing Homes on Human Rights of Older Adults)

  • 김기경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463-472
    • /
    • 2010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develop a web-based education program for nurses working in nursing homes. The focus was on the rights of older adults. Methods: The program was designed based on the Network-Based Instructional System Design (NBISD) model and was operated and evaluated between July 2007 and June 2008. Results: Out of nursing records of 40 residents from a nursing home, the final 7 cases were deducted through classification using the Resource Utilization Group (RUG)-III. The data on needs for education was collected from 28 nurses working in 15 nursing home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who agreed to complete a self-report questionnaire.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two focus groups interviews were used to search for risk factors and guidelines for protection of human rights. The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Kolb's experiential learning model and composed of 5 units, which included content on types of human rights and rights to death with dignity, elder abuse, physical liberty, and self-determination. The program was positively evaluated showing a score of 3.35 (SD=0.37) out of 4. Conclusion: The educational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should promote nurses' sensitivity to the rights of elders and improve nurses' behaviors in protecting the rights of elders residing in nursing homes.

The Effects of discrimination abuser experiences and discrimination victim experiences on consciousness of Human Rights's at community children centers :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 Bang, Sung-a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5호
    • /
    • pp.163-170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discrimination abuser experiences and discrimination victim experiences on the human rights consciousness of children in community children, In order to understand the role of self-esteem as a mediating role between these two variables, And to find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this purpose, we selected 662 elementary school sixth graders who participated in the second panel of the community children's center, the third year (2016), as the sample and use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validation method. 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 the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abuser against children in the community children's center has negative effects on self - esteem. Second, the self-esteem of children in the community children's center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human rights consciousness. Third, the experiences of child discrimination abuse and discrimination of local children's centers showed significant influence on children's consciousness of human rights through self - esteem. In conclusion, we proposed practical use measures to promote positive emotional development and human rights consciousness of children in community children's centers.

Human Rights and Civil Freedoms: Anthropological Approach in the Theory of Law in the Age of Information Technology

  • Gavrilova, Yulia;Dzhafarov, Navai;Kondratuk, Diana;Korchagina, Tamara;Ponomarev, Mikhail;Rozanova, Elizabeth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11호
    • /
    • pp.199-203
    • /
    • 2022
  • The article aims at studying the institution of human rights and civil freedoms with due regard to the anthropological approach in the theory of law. To the greatest extent, the provisions of non-classical legal science are confirmed in the Anglo-Saxon legal family, which endows the judge with law-making functions. In this regard, the role of a person in the legal sphere is increasing. The main research method was deduction used to study the anthropological approach to the institution of human rights and freedoms. The article also utilizes the inductive method, the method of systematic scientific analysis, comparative legal and historical methods. To solve the task set, the authors considered the legal foundations and features of human rights and freedoms in the modern world. The article proves that the classical legal discourse, represented by various types of interpretation, reduces the rule of law to the analysis of its logical structure and does not answer the questions posed. It is concluded that the prerequisite for the anthropological approach in the theory of law is the use of human-like concepts in modern legislation (guilt, justice, peculiar ferocity, child abuse, willful evasion, conscientiousness).

청소년의 인권존중과 학교적응의 융합적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on the Convergent Relationship between Respect for Human Rights and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 차유미;차성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207-214
    • /
    • 2019
  • 본 논문은 청소년의 인권존중과 학교적응의 융합적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분석자료는 2016년 한국아동 청소년인권실태조사의 중학교 2학년 2,366명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을 적용하여 모형 적합도를 검증하고, 부트스트랩을 적용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연구모형의 적합도가 적합하였으며, 청소년의 인권존중과 학교적응의 융합적 관계를 자아존중감이 유의미하게 매개하였다. 즉, 청소년들이 인권존중 경험이 많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고,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학교적응을 잘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청소년의 학교적응도를 높이기 위해 교사에 대한 인권교육 강화, 인권존중과 자아존중감을 접목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이 필요함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