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t water extracts

검색결과 831건 처리시간 0.035초

솔잎추출물이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흰쥐의 혈청, 간장의 효소 및 간조직구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ine Needle Extracts on Enzyme Activities of Serum and Liver, and Liver Morphology in Rats Fed High Fat Diet)

  • 박용곤;강윤한;하태열;문광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74-378
    • /
    • 1996
  • The effects of pine needle extracts on lipid contents and antioxidative enzyme activities in liver of rat were evaluated. Thirty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and fed high fat diets for four weeks. Each group was administered with pine needle extract in the following doses: control, water ; WE-3, hot water extract(3% PN) ; WE-6, hot water extract(6% PN) ; AE-3, acetone extract(3% PN) ; AE-6, acetone extract(6% PN).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experiment were as follows: GOT activiti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experimental groups but GPT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low in the experimental group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Liver superoxide dismutase(SOD) activity of pine needle extract administered groups was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Catalase activities of liver had a similar tendency to SOD activities, but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groups. Liver TBARS of WE-3 WE and AE-6 groups were slightly lower than those of other groups. Microscopic observation of liver tissue revealed that pine needle extracts increased cellular swelling, which was markedly increased in WE-6 group compared with control group.

  • PDF

추출방법에 따른 복분자 추출물의 생리활성 (Physiological Activities of Rubus coreanus Miq. Extracts Using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 권지웅;이희권;박희전;송지영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25-32
    • /
    • 201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biological activities concerning extracts according to extraction methods from unripened fruit of Rubus coreanus Miq. The extraction methods were HWE (hot water extraction for 4 hr at $100^{\circ}C$), SFE (extraction for 3 hr at $40^{\circ}C$ under 300 bar, 100% of $CO_2$ fluid), USE (ultrasonification extraction for 4 hr at $50^{\circ}C$ with water), USE+HWE (hot water extraction for 2 hr at $100^{\circ}C$ after ultrasonification process for 2 hr), VE (vacuum extraction for 4 hr at $90^{\circ}C$ under 0.9 bar with water). VE extract showed the highest contents of total polyphenol ($178.78{\pm}3.79\;mg/g$) and total flavonoid ($40.93{\pm}0.68\;mg/g$). $IC_{50}$ values of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linoleic acid peroxidation inhibition activity and LDL (low density lipoprotein) oxidation inhibition activity of HWE extract showed the lowest $35.39{\pm}0.25{\mu}g/mL$, $12.61{\pm}0.31{\mu}g/mL$ and $1.31{\pm}0.02{\mu}g/mL$ among other all extracts, respectively. $IC_{50}$ values of ${\alpha}$-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ies of VE and HWE extracts showed lower $14.34{\pm}0.20{\mu}g/mL$ and $15.83{\pm}0.20{\mu}g/mL$ than those of other extracts, respectively. Specifically, HWE and VE extracts have relatively better biological activities than other extracts; these could be potentially used as a bioactive source for health functional foods.

서해안 조개류의 껍질과 열수 추출물의 무기질 함량 (Mineral Contents of Hot Water Extracts and Shell of Shellfishes from Western Coast of Korea)

  • 김미정;이예경;김순동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89-294
    • /
    • 2001
  • 서해안에서 수집한 모시조개, 바지락. 맛조개. 꼬막, 소라 및 굴 등 6종의 조개류의 껍질수율과 외관, 껍질 및 열수 추출물의 무기질 및 중금속 함량을 조사하였다. 조개류 껍질의 비율은 70.1~80.5% 범위였으나 맛조개는 40.7%로 낮았다. 개체당의 껍질무게는 소라가 26.2 g으로 가장 높았고 맛조개가 5.6 g으로 가장 낮았다. 모시조개껍질은 노랑색을 띈 갈색, 바지락은 밝은 갈색. 맛조개와 꼬막은 검은색이었고 소라는 녹색을 띄는 갈색을, 굴은 어두운 회색을 띄었다. 조개류의 주 무기질은 Ca로 36.23~38.78%였으며, K는 0.23~4.54%, Na는 1.48~l.59%였다. 그외 Na, Mg, Fe, Mn, Zn, Cu, P, S 등은 0.0l~0.21% 범위로 함유되어 있었다. 중금속으로 Pb는 1.90~7.75 ppm, Cd는 0.5~4.50 ppm, As는 1.40~4.30 ppm, Se는 0.2~l.50 ppm Cr은 1.00~8.30 ppm, Hg는 0.002~8.2ppm이었다. 조개류 껍질로부터 물에 의하여 추출되는 Ca의 함량은 l15~2.448 mg/100g으로 맛조개가 가장 높았으며 바지락이 가장 낮았다. 물에 의하여 추출되는 K는 10~952 mg/100 g으로 모시조개가 가장 낮았고, 맛조개가 가장 높았다. 조개껍질의 무기질 추출율은 맛조개에서 전반적으로 높았으며 종류에 따라서 상당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특히. P는 맛조개가 201 mg/100 g으로 바지락 0.36 mg/100g에 비하여 현저히 높았다. Pb. As, Se 및 Cr의 물추출량은 맛조개에서 가장 높았으며 각각 110. 40, 90 및 20 $\mu$g/100 g이었다. 그러나 Cd는 바지락껍질에서만 검출되었다.

  • PDF

느타리버섯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과 그 성분에 대한 연구 (Studies on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Active Components of the Extracts from Pleurotus ostreatus)

  • 김민희;정은정;김용석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19-125
    • /
    • 2016
  • 느타리버섯을 기능성 식품 소재로 활용하기 위해 에탄올 추출 농도에 따라 느타리버섯의 기능성 성분인 ergothioneine, total phenolic compounds 및 flavonoid 함량 측정과 항산화 활성을 시험하였다. 물 추출물(에탄올 0%)의 ergothioneine과 total phenolic compounds 및 flavonoid 함량이 각각 $2.98{\pm}0.05mg/g$, $9.51{\pm}0.45mg/g$, $2.83{\pm}0.03mg/g$으로 가장 높았고, 에탄올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그 함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능은 물 추출물에서 각각 $80.41{\pm}0.56%$, $91.47{\pm}0.11%$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고, FRAP 값도 물 추출물이 $8.86{\pm}0.33\;FeSO_4\;eq$. mM로 가장 높은 환원력을 나타냈다. 느타리버섯 추출물의 ergothioneine은 total phenolic compounds (r = 0.818)와 flavonoid (r = 0.837)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DPPH (r = 0.614) 및 ABTS라디칼 소거능(r = 0.483)과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항산화성분 및 항산화활성과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느타리버섯의 기능성 성분과 항산화 활성은 물로 추출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암 처방에 사용되어온 한약재 복합 처방전의 항산화 및 항균활성에 관한 연구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Herb-combined Remedies used i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for Treating Breast Cancer)

  • 최은옥;손다희;김민영;황보현;김홍재;정진우;홍수현;박철;최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680-688
    • /
    • 2016
  • 본 연구에서 동의보감에 기록된 유암 치료에 사용되어온 5가지 한약재 처방전인 십육미류기음, 단자청피탕, 지패산 Ⅰ, 지패산 Ⅱ와 청간해울탕의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총 페놀 함량의 비교 분석과 항산화능 및 항균활성능을 비교 조사하였다. 열수와 70% 에탄올 추출물의 수율은 각각 지패산 Ⅱ와 단자청피탕이 가장 높았으며, 총 페놀 함량은 다른 한약재에 비해 단자청피탕이 가장 높았다. 열수 추출물의 총 페놀 함량은 지패산 Ⅰ < 청간해울탕 < 지패산 Ⅱ < 십육미류기음 < 단자청피탕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70% 에탄올 추출물의 총 페놀 함량은지패산 Ⅱ < 지패산 Ⅰ < 청간해울탕 < 십육미류기음 < 단자청피탕 순으로 풍부하였다. 그 중 단자청피탕과 십육미류기음의 환원력과 DPPH radical과 ABTS radical 소거능이 가장 뛰어났으며, 이들 시료의 총 페놀 함량과 그들의 항산화능과의 밀접한 상관도가 관찰되었다. 또한 Staphylococcus aureus 및 Escherichia coli에 대한 항균활성은 열수보다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효과가 높게 관찰되었다. 결론적으로 유암의 치료에 사용되었던 조사 대상 한약재 처방전은 항산화와 항균 활성은 그들의 총 페놀 함유량과 연관성이 높았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각 처방전에 대한 구체적인 생리활성 비교를 위한 자료로서 활용될 것이다.

염소고기 열수추출물 처리에 따른 항산화 활성 및 암 세포주에서 항암 관련 단백질 발현량 확인 (Antioxidant Activity of Goat Meat Hot Water Extract and Effect of Extract on Expression of Apoptosis-Related Proteins)

  • 오제이;윤요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551-556
    • /
    • 2023
  • 본 연구는 in vtiro 상에서 부위별 염소고기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고 추출물 처리에 따른 암세포 주의 세포자멸사 관련 단백질 발현 수준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부위별 염소고기 열수 추출물의 경우, 앞다리, 뒷다리, 등심 및 갈비 부위의 분할육으로 제조하였다. 제조된 열수추출물 중 앞다리와 뒷다리 부위 추출물의 ABTS 라디칼 소거능이 다른 두 부위 추출물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BAX, p53, p21의 단백질 발현량은 부위에 따른 염소고기 열수추출물 처리 시 AGS 세포주 및 HT-29 세포주에서 모두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단지, 등심 부위 열수 추출물 처리 시 HT-29 세포주의 p53 발현량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본 연구 결과는 염소고기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일부 세포자멸사 관련 단백질 발현량 변화가 부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남을 보이고 있으나 본 결과는 in vitro에서만 수행된 것으로써 결과의 적용 또는 일반화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in vivo에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추출 방법에 따른 삼나무 잎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평가 (Antioxidant Activities of Cryptomeria japonica Leaves Extracts by Extraction Methods)

  • 김선홍;이수연;조성민;홍창영;박세영;박미진;최인규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5호
    • /
    • pp.495-510
    • /
    • 2017
  • 본 연구는 삼나무 잎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여 잠재적인 천연 항산화제로의 적용 가능성 구명에 관한 연구이다. 삼나무 잎 추출물은 세 가지 추출방법에 의해 정유, 메탄올 추출물, 열수 추출물로 획득하여 항산화 활성을 평가 하였고, 대조구와 비교하여 DPPH radical 소거활성, FRAP 활성, zanthin oxidase 저해활성, 철이온 chelate 활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메탄올 추출물과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이 정유의 항산화 활성보다 우수했다. 정유가 함유하고 있는 테르펜 화합물은 항산화 활성이 비교적 낮은 성분으로 사료된다. 활성이 우수했던 메탄올추출물과 열수 추출물은 다양한 유기용매(n-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n-butanol, methanol, ethanol, acetone)와 물을 사용하여 분획을 실시하였고, 메탄올 추출물의 acetone 및 물 분획물, 그리고 열수 추출물의 에탄올 분획물이 천연 항산화 성분으로 알려진 ${\alpha}$-tocopherol과 유사한 활성을 나타내거나, 보다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다. 이들은 공통적으로 수산기 및 당류를 가지는 성분을 함유하고 높은 페놀성 화합물 함량을 나타냈기 때문에 삼나무 잎 추출물은 수산기 및 당류를 가지는 페놀성 화합물에 의해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것이라 판단되었다.

섬오갈피 추출물 중 acanthoic acid 및 Kaurenoic acid 함량 분석 및 기능성 활성 평가 (The Evaluation Functional Activity and Indicator Component Analysis and According to the Extraction Method of Eleuthrococcus Gracilistylus)

  • 김현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2호
    • /
    • pp.73-80
    • /
    • 2024
  • 우리는 섬오갈피의 70% 에탄올과 열수추출물의 지표성분인 Acanthoic acid과 Kaurenoic acid 함량을 확인하기 위해 시료 내 각 화합물의 정량분석을 HPLC-UVD로 실시하였다. 또한, LC-MS 분석을 통해 시료 내 각 화합물의 성분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70% 에탄올 추출물의 Acanthoc acid와 Kaurenoic acid의 함량은 각각 28.84±0.21 mg/g(2.88%), 26.38±1.63 mg/g(2.64%)로 나타났다. 그러나 열수추출물에서는 두 가지 화합물의 Acanthoc acid와 Kaurenoic acid의 함량이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섬오갈피 추출물로부터 Acanthoc acid과 그 대사산물을 추출하기 위한 최적의 추출용매로서 70% 에탄올이 열수용매보다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DPPH 라디컬 소거능, total polyphenols, flavonoids 함량이 삼채+섬오갈피 복합추출물의 70% 에탄올 복합 추출물이 열수용매보다 더 우수한 효과를 보였다. 삼채와 섬오갈피 등 에탄올복합추출물(SEC) 처리에 의해 유의적 또는 부분적으로 항염증을 감소되었다.

Comparative Study of Antioxidant Activity of Apple and Pear Peel

  • Kim, Kyung Soon;Roh, Kwang Soo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47-354
    • /
    • 2013
  • Apple and pear are popular fruits consumed in Korea and are common fruit in daily diet. In order to compar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apple and pear peels, total polyphenol contents, total flavonoid contents, $ABTS^+$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ere measured from hot water, ethanol, and methanol extracts of the two fruit peels. The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were highest in 95% methanol extracts of the apple peelsand 70% ethanol extract of the pear peels, respectively. Total polyphenol contents of the pear peels were higher than that of apple peels, and total flavonoid contents of the apple peels were higher than that of pear peels. The apple and pear peels had the highest $ABTS^{+{\cdot}}$ and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 95% methanol extracts and 70% ethanol extracts, respectively. $ABTS^{+{\cdot}}$ and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pear peels was higher than that of apple peels, and the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apple and pear peels were detected in hot water, 95% methanol, and 70% ethanol extracts, respectively. Ascorbic acid, a synthetic antioxidant used as positive control, had significantly higher scavenging activity than the apple and pear peels. In conclusion, the apple and pear peelshave great potential as natural antioxidants. Therefore, above results should be considered to provide the possibility for the development of high functional antioxidants.

한양재 열수추출액 첨가 깍두기의 가식기간 연장효과 (Extension of Shelf-life of Kakdugi by Hot Water Extracts from Medicinal Plants)

  • 김미리;모은경;김진희;이근종;성창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786-793
    • /
    • 1999
  •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edicinal plants on the shelf life of kakdugi, various kakdugies, added with hot water extract from 62 natural plants, were fermented at 20oC for 15 days. In case of control without the addition, the shelf life required to reach the acidity of 1%(as lactic acid) was 7 days. Morethan two fold extension of shelf life was observed with twenty seven extracts, of which six extracts maintained the hardness of kakdugi higher than that of control over the entire fermentation time. And the number of lactic acid bacteria in above kakdugies was not remarkably different from that of control, and the color(a value) of the liquid of kakdugi, added with Chaenomeles lagenaria, Moringa oleifera, Peaonia lactiflora or Citrus tangerina extract, was similar to that of control. In sensory test, the extracts from the above plants except Moringa oleifera were found to be acceptable. It is suggested that the addition of above three extracts may lead to extension of shelf life of kakdugi, based on the acidity, hardness, color and sensory tes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