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t pepper powder for gochujang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4초

청국장가루와 고춧가루의 비율을 달리한 볶음소스 품질특성 (Characteristics of Instant Hot Sauce prepared with Different Ratio of Cheongguk-Jang and Red Pepper Powder)

  • 엄혜민;정장호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1-9
    • /
    • 2017
  • Instant hot sauce was prepared to produce a similar product to Korean-style gochujang using different ratio of cheongguk-jang (0~20%) and red pepper powder (7~27%). Moisture content decreased from 43.21 (control: BS0) to 19.13%(maximum addition of cheongguk-jang: BS4). L value was the lowest with control (BS0), and a-value and the b-value were higher with BS4. pH tended to increase significantly as the addition amount of cheongguk-jang powder increased (p<0.001). Titratable acidity was lowest at 5.40 for BS0 and 6.30 for BS4. Salinity and soluble solids were also decreased but viscosity increased with addition of cheongguk-jang.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increased from 50.9% (BS0) to 77.6% with BS4. Overall preference was highly evaluated with the sample (BS3) prepared with red pepper, cheongguk-jang, japanese apricot extract, and water at 12, 15, 40 and 25% (w/w), respectively. Results showed that the instant hot sauce had a possibility to replace Korean-style gochujang requiring lengthy fermentation time.

관능적 특성에 의한 고추 품종별 고추장용 고춧가루 매운맛 등급화 (Spicy Hot Flavor Grading in Hot Pepper Powder for Gochujang in Various Cultivars using Sensory Characteristics)

  • 이인선;이현지;조은예;권순복;이준수;정헌상;황영;조명철;김행란;유선미;김혜영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51-364
    • /
    • 2011
  • Hot and spicy flavor grading in hot pepper powder for gochujang in various cultivars was studied using sensory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Chungyang, which had the highest capsaicin content had very low redness a value of 17.49 representing stronger red color does not relate to the stronger hot and spicy flavor. Sensory results showed that chungyang had significantly the highest value of hot and spicy aroma and flavor of 5.73 and 7.87, respectively(p<0.05). Although wurigun had the second highest capsaicin contents, it had relatively low hot and spicy aroma value as 3.87, some sweet flavor, and relatively low stingingness in the mouth value of 4.67, thus, comparatively weak hot and spicy flavor of 4.87 suggesting the difficulties in grading the hot and spicy flavor only by the capsaicin contents. Capsaicin content was high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hot and spicy flavor, aftertaste and stinging flavor,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sweet flavor. In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samples of chunyang, balita, and gumbit groups with greater hot and spicy aroma and flavor, were loaded in the first principal component. Classifying hot and spicy flavor of hot pepper powder for gochujang in various cultivars are suggested as 'very weak', 'weak', 'intermediate', 'strong', and 'very strong' with capsaicin contents under 40.00 mg/dL, 40~100 mg/dL, 100~150 mg/dL, 150~500 mg/dL, and those higher than 500 mg/dL, respectively. Since too many sample groups were located in the specific stages in the five stage grading, the nine staged classification is also suggested.

고수를 첨가한 고추장의 품질 및 관능적 특성 (Qual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Gochujang added with Coriander(Coriandrum sativum L.))

  • 최기철;최수근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73-85
    • /
    • 2009
  • 본 연구는 서구권 국가에서도 영양학적 우수성을 인정하고 소비가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며, 기능성이 있는 천연 향신료 중 독특한 향과 항산화, 항암효과를 갖고 중국인들이 가장 선호하는 고수(Coriandrum sativum L.)를 고추장에 첨가하여 기능성이 향상된 고수 고추장 개발을 통해 중국 시장에 고추장의 활용성과 소비를 확대를 높이고자 하였다. 고수 고추장의 고수는 파우더와 원액 넣어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CP7의 색(4.04), 고수의 향(3.72), 고수의 맛(3.92), 부드러운 정도(4.36)가 강하게 평가되었고, CJ4는 윤기(3.42), 고수의 향(3.04), 고수의 맛(4.29)이 강하게 평가되었다. 이는 고수의 첨가량이 증가할 수록 고추장의 향과 고추장의 맛은 약하게 평가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매운맛을 달리한 고추장 소스의 품질 및 관능적 특성 (Qual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Gochujang Sauce by Degree of Hot Taste)

  • 최수근;김수희;최은희;신경은;이지현;이민수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68-277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양념인 고춧가루와 고추장을 이용한 고추장 소스를 매운맛의 정도(4 수준)에 따라 만들어, 소스의 일반적인 품질 특성과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그리하여 고추장 소스의 산업화를 위한 기본적이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매운맛을 달리한 고추장 소수의 수분 함량 분석 결과, 소스 1이 53.9%로 수분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매운맛이 강해질수록 수분 함량은 다소 낮았다. pH의 경우 5.50~5.84로 나타났는데, 매운맛이 증가할수록 약간씩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Brix는 소스 3이 46.73%로 가장 높았으며, 소스 1은 약간 낮았다. 점도는 소스 4가 237.93 cp로 높게 측정되었고, 그 다음은 매운 맛이 낮은 순으로 낮아졌다. 고추장의 명도(L값)는 보통맛의 고춧가루를 사용한 소스 2가 24.89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캡사이신 함량 분석 결과, 소스 4가 27.00 mg/100 g으로 가장 높았고, 소스 1은 22.97 mg/100 g으로 나타났다. 관능평가에서는 색상 평가시 소스 4의 경우 6.10으로 가장 진하게 평가되었으며, 매운맛이 약해질수록 밝게 평가되었다. 매운맛의 평가에서는 소스 1이 가장 낮게 평가되었고, 소스 4가 5.75로 가장 높게 평가되었다. 전체적인 수응도에 있어서는 소스 2, 3, 4가 각각 4.95~5.50으로 소스 1보다 높게 평가되어 매운맛에 따른 평가자들의 기호도가 고르게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고추장 소스의 평가에서 대학생들이 매운맛에 대한 선호도가 있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상업화 단계에서 매운맛의 정도에 따른 소스 제품의 공급이 소비자들의 선택 만족도를 높여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앞으로도 고추와 고추장의 성공적인 산업화와 세계화를 위해서는 매운맛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이뤄져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