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t melt adhesives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19초

수첨 DCPD계 석유수지를 이용한 SBCs계 핫멜트점착제의 접착성능 연구 (A Study on Adhesion Performance of Styrene-Block-Copolymer Based Hot Melt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with Dicyclopentadiene Based Hydrogenated Hydrocarbon Resins)

  • 심재호;김윤호;이정준
    • 접착 및 계면
    • /
    • 제15권4호
    • /
    • pp.145-150
    • /
    • 2014
  • Dicyclopentadiene (DCPD)계 석유수지는 많은 분야에서 점착부여수지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수소첨가 반응으로 수지 내 이중결합을 수소로 치환시킨 수첨(水添) DCPD계 석유수지는 무색투명의 색상과 빛과 열에 대한 우수한 안정성으로 인해, 고급 핫멜트접착제(hot melt adhesives, 이하 HMAs) 또는 열용융형 감압접착제(hot melt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이하 HMPSAs) 용도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수첨 DCPD계 석유수지가 SIS와 SBS와 같은 SBCs를 기본 엘라스토머로 사용한 HMPSAs에서 점착부여수지로 사용될 때의 접착성능에 대해 논의하며, 점착부여 수지의 특성과 HMPSAs의 접착성능과의 상관관계를 보여준다. 높은 연화점의 점착부여수지를 사용할 수록 HMPSAs의 $T_g$, 연화점 그리고 crossover temperature가 높아졌다. 높은 방향족 모노머 함량의 점착부여수지를 사용할 경우에는, PSAs의 crossover temperature 및 연화점 감소로 확인할 수 있듯이 PSAs의 내열온도를 저하시키는 경향을 보였다.

EVA계 핫멜트 접착제의 조성이 접착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mposition of EVA-based Hot-Melt Adhesives on Adhesive Strength)

  • 이정준;송유현;임상균;박대순;성익경;진인주
    • 접착 및 계면
    • /
    • 제11권4호
    • /
    • pp.155-161
    • /
    • 2010
  • 점착부여수지의 종류와 함량을 달리하여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EVA)를 베이스 폴리머로 하는 핫멜트 접착제를 제조하고, 그것들의 유변학적 거동과 폴리우레탄 기재에 대한 T-peel 접착력을 평가하였다. C5 지방족 석유수지, C9 방향족 석유수지, 수소가 첨가된 디사이클로펜타디엔 석유수지 그리고, 디사이클로펜타디엔/아크릴 모노머 공중합 석유수지가 각각 핫멜트 접착제의 점착부여수지로 사용되었다. 점착부여수지의 산소 함량을 분석하여 점착부여수지의 극성도를 측정하였는데, 디사이클로펜타디엔/아크릴 모노머 공중합 석유수지가 다른 점착부여수지보다 산소 함량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디사이클로펜타디엔/아크릴 모노머 공중합 석유수지만이 EVA와 완전한 혼화성을 보였고, 핫멜트 접착제는 모든 조성에서 균일상을 나타내었다. 핫멜트 접착제와 폴리우레탄 기재와의 T-peel 접착력은 핫멜트 접착제 자체의 저장탄성계수(G')보다는 핫멜트 접착제에 첨가된 점착부여수지의 극성도에 의해서 좌우됨이 확인되었다.

폴리아미드계 수지를 이용한 핫멜트 접착제의 기능 향상 -(I) 접착제의 물성- (Functional Improvement of Hot Melt Adhesive Using Polyamide Type Resin -(I) Physical Properties of Adhesives-)

  • 전영식;홍영근;정경호
    • 공업화학
    • /
    • 제7권1호
    • /
    • pp.194-202
    • /
    • 1996
  • 기존의 ethylene-vinyl acetate 핫멜트 접착제는 시간에 따른 크리프 특성과 내열성 등의 한계로 사용에 제한이 있으므로 물성의 향상을 위해 폴리아미드계 수지를 이용한 새로운 핫멜트 접착제 개발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폴리아미드 단일중합체의 경우 융점과 용융점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대신 나일론6, 나일론66, 나일론12로 이루어진 삼원공중합체 혹은 블렌딩 수지를 사용하므로써 분자쇄의 규칙성 파괴로 인해 용융점도와 용융점을 강하시킬 수 있었다. 이로써 선택된 수지가 핫멜트 접착제의 베이스 수지로 적절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베이스 수지에 테르펜 수지, butyl benzyl phthalate, 파라핀왁스 등을 첨가하여 접착제를 구성함에 따라 유변학적 거동도 쉽게 조절될 수 있었다. 용융점도와 접착제 자체의 인장물성 결과에 따르면 사용된 CM831과 843형 폴리아미드 수지를 약 75/25~50/50의 무게비로 블렌딩함이 최적의 접착력을 나타내리라 평가되었다. 또한 steel간의 접착력 평가 결과 steel 표면의 거칠음 정도가 접착력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얻었다.

  • PDF

메탈로센 폴리올레핀을 이용한 핫멜트 점착제의 제조 및 특성 (Adhesion Properties of Hot-Melt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Based on Metallocene Polyolefin)

  • 심재호;성익경;이정준
    • 접착 및 계면
    • /
    • 제14권2호
    • /
    • pp.95-100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메탈로센 폴리올레핀(metallocene polyolefin, me-PO)과 점착부여제(tackifier)를 이용해 열용융형 감압접착제(hot-melt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HMPSAs)를 제조하여 물리적 특성을 확인하였고, me-PO가 HMPSAs의 용도에서 스타이렌계 블록 코폴리머(styrenic block copolymers, SBCs)를 대체하여 사용 가능한지에 대해 고찰하였다. 또한, me-PO를 베이스 폴리머로 사용한 HMPSAs의 성능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점착부여제가 가져야 할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me-PO를 이용하여 Dahlquist Criterion을 만족하는 HMPSAs를 얻기 위해서는 점착부여제와 함께 10% 이상의 프로세스 오일을 혼합 사용하여야 했고, Spray Type의 Applicator에 적합한 수준의 점도를 가지는 HMPSAs를 얻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결정화도가 낮은 제2의 me-PO를 사용해야 했다. 그리고, 분자량이 큰 점착부여제를 사용하면 SBCs계 HMPSAs에 비해 부족한 유지력을 개선시키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