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rse type

검색결과 103건 처리시간 0.019초

아시아 Kaftan양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Kaftan Style in Asia)

  • 오춘자
    • 복식
    • /
    • 제35권
    • /
    • pp.45-66
    • /
    • 1997
  •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kaftan styles iin Asia. The purpose of he study was to examine the origin o the kaftan concentrating on the history and cultural backgrounds of nomads in he Western Central and North Eastern Asia. Secondly for more thorough study and expla-nation on how these kaftans contributed to East-West trade along the silk road. wall paintings and miniature illuminations along Oasis roads persia and Saracen period were compared, Also real kaftan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Western (Turkey palestine) Central(Kazakistan Uz-bekistan Tadzhistan Qyrgyztan Turkmenistan) and the North Eastern Asian(Mongol) area. Thirdly an attempt has been made to provide the North Eastern Asian(Mongol) area. Thirdly an attempt has been made to provide the style classifications according to their peculiarities of the various kaftans as well as how kaftan gave important influences on custumes of different religious sects. The kaftan is a long coat-like garment with front openings fastened with long sash having an extra long sleeves which were worn by middle and high class nomadics throughout the West Central and North Eastern Asia This type of kaftans were a basic clothing for nomadics since they were constantly moving fromone to another areas on their horse back riding. They also wore tight trousers with boots. Kaftans seem to be originated from nomads of Steppe around B.C. 800 On B. C 400 west asian areas such as Solokha Kul-oba Kulogan had pictures sculptues on vases showing kaftans of half coat type length with front opening tied with band. Also the materials used were the products of animals such as wool or felt with animal designs showing Scythian nomads. In the North Eastern Asia Hsiung-Nu were active in Kazakha North Altai and Mongol The Clothing and fabrics exfavated near Noin-ula Pazyrik showed many samples of kaftan with trousers with other interment be-longings with a corpse around B.C 300 to A. D 100 when trades along the silk roads were proven by many historians Kaftans excavated in this area wore red front opening silk materials which suggesting settling down of nomads. in he central Asia Dol-gull near Altai mountain area were mainly miners who later had many trades with Persia and Bizantine. After Dol-gull Bezeklik temple Samarkant Kizil cow Budda sculture wall paintings of Astana tomb showed typical kaftan of this re-gion. These were both hip covered length as well as long coat with narrow sleeves. Es-pecially they had different color band fron the main kaftan with grogeously and splendously designed silk. In perusia during A. D 1400 to 1600 minia-ture illumination showed kaftan as a high class symbol more than clothing purpose. They had best quality silk with extra long sleeves draping and had a layers of kaftans one on top of anther as a symbol of wealth These Kaftans with different colors and designs were even more beautiful with their effective combinations and contrast of colors. On the other hand the lower class common people and servants wore simple kaftan with the front part of the kaftan were slipped into the belt in order to be more active and con-venient to work, The real kaftans discovered at Topkapi Saray palace of Turkey from A. D 1300 to 1900 were also compared. These kaftans were very numerous in numbers as well as designs The materials and designs used were also vari-ous such as Chinese to Italian silk. The shaped and pattern itself were not much different from the previous nomad's Kaftans. The Palestian kaftans remained were from the beginning of 19th and 20th century. Since this area is hot and dry desert they used black and navy blue colors mostly in order to exclude the sun lights. The patterns used were similar to Nomads and Bedouin with cross stiches and patch work decorations. In the central Asia they had similar life style and natural environmental cnditions with Turkish tribe which resulted in similar kaftan styles as nomads. Mongols conserved basic patterns of kaftan since Cinggis Khan with deep folding in order to keep warm. At last the kaftans studided in this thesis were classified in to four such as half coat long coat jacket and vest style. A pattern used in the Central Asia were zigzag and ani-mal design whereas in the West Asia were floral plant arabesk and circle pattern. As I discussed previously kaftan styles of nomads in the Asia maintained its basic pat-tern throughout the history except slight changes in color gusset sleeve shapes. These slight changes were made according to the need to adapt the need of environmental natu-ral conditions, The reason for aboriginality of kaftan in Asia was its simplicity and con-venience Most interesting fact is that for all these years Mongols are still wearing kaftan in their life ensuring us that they art the preserves of old kaftan. Since this thesis dealt enormous Asian regions I had a limitation of not being able to cover the Far Esatern asian areas such as Korea China and Japan how these kaftans were influenced in their clothing history as well as Eastern and Western culture. This topic along with the studies on materials and designs of patterns of kaftan will be another research project in the future.

  • PDF

북한산 조계동 송계별업(松溪別業) 정원 복원을 위한 경관해석 (A Study on the Landscape Interpretation of Songge Byeoleop(Korean Villa) Garden at Jogyedong, Mt. Bukhansan near Seoul for the Restoration)

  • 노재현;송석호;조장빈;심우경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1-17
    • /
    • 2018
  • 문헌연구와 현장연구를 바탕으로 17C 중반 북한산 조계동(曹溪洞)에 조영된 송계별업의 장소성과 별업의 정원상 및 경관상을 추적하여 송계별업 원림의 복원을 전제로 한 경관해석을 시도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송계별업은 인조의 3남이자 효종의 아우인 인평대군 이요가 인조 24년에 조성한 왕가별업이다. 본제는 직선거리로 약 7km 떨어진 건덕방 타락산 아래의 궁집 석양루로서, 대군이라는 조영주체의 신분적 특수성 때문에 송계별업 또한 단청 및 건물의 제도가 매우 화려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곳의 장소정체성이자 핵심경관은 구천은폭으로 중국 여산폭포에 비견되는 다층의 폭포를 갖는 관폭과 청음의 공간이었으며, 별업 멸실 이후에는 왕릉 부석장으로 역할과 부석금표처의 장소이미지가 더해졌다. 조계동천을 중심으로 한 송계별업 내원은 구천은폭을 비롯하여 한담과 창벽 등의 자연경관과 비홍교, 보허각, 영휴당 그리고 계당 등의 인공요소가 절묘하게 조화되었다. 또 현존하는 '송계별업'과 '구천은폭' 바위글씨는 별업원림의 조영자와 영역성을 상징하는 경관언어이자 장소 표식으로, 보허각을 중심으로 비홍교, 창벽, 한담 등의 경물명을 바위에 세기고 의미를 부여하였다. 특히 시각적 종점의 역할을 하는 구천은폭은 캐스캐이드형의 다단폭포로서 그 하부는 말구유 형상의 절리상 포트홀의 지형경관적 특성을 보인다. 한편 외원은 별업 정문과 행랑채 성격을 갖는 공간과 내 외원 양자를 연결시켜주는 계당과 돌다리 그리고 기거를 목적으로 한 영휴당 등으로 구분된다. 영휴당에서는 보허각만 관망되는 반면 보허각에서는 구천은폭을 비롯하여 영휴당 등 사방의 조망이 가능하도록 한 이원적 조망 틀짜임이 읽혀진다. 또한 비홍교에서 구천은폭과 창벽 그리고 한담을 상호 부감 앙시하게 되며, 비홍교를 건너 보허각에 올라 구천은폭과 조계동천을 바라보는 단계적 행위를 체험케함으로써 속세에서 선계로 이행되는 시각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아프가니스탄 틸랴 테페의 사르마티아(Sarmathia)식 검집 패용 방식의 전개 과정으로 본 동서교섭 (Thinking in Terms of East-West Contacts through Spreading Process of Sarmathia-Pattened Scabbard on Tillya-Tepe Site in Afghanistan)

  • 이송란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5권4호
    • /
    • pp.54-73
    • /
    • 2012
  • 최근 북방유목민족인 사르마티아에 관한 고고학적 자료들이 증가하면서 사르마티아인들의 활동 양상과 그 실체들이 조금씩 규명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사르마티아인들의 동서 교역의 활동 양상을 사르마티아식 검집의 확산 지역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사르마티아인들의 검은 스키타이나 페르시아인들이 사용한 아키나케스(Akinakes)의 계보를 잇는 것이지만 손잡이나 패용 방식에서 손쉽게 칼을 뺄 수 있도록 변화되었다. 즉 양 측면에 달린 4개 돌기에 끈으로 연결한 검집을 허벅지에 부착시키는 패용 구조로 변한 것이다. 사르마티아식 검은 기원전 5세기 파지리크시기 알타이 지역에서 처음 등장한 이래 사르마티아인들의 활동 중심지인 남시베리아, 박트리아, 파르티아, 로마로 확산되었다. 이 글에서는 동서 교섭의 요충지인 박트리아지역에 속하는 아프가니스탄 틸랴 테페 4호묘에서 출토된 검집에 관심을 두었다. 사르마티아식 검을 패용한 채 매장되었던 틸랴 테페 4호묘의 묘주는 당시 쿠샨왕조의 지배하에 있었던 박트리아에서 상당한 위치의 인물로 파악된다. 묘주가 2자루의 사르마티아식 검을 패용하고 있었던 것은 박트리아에 사르마티아의 영향이 상당이 수용된 사실을 의미한다. 사르마티아인들이 동서교섭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중국산 물자를 실크로드에 공급하였던 이들의 역할과도 관련이 있다. 이에 사르마티아인들이 활동한 북방 초원 루트에 중국 한대 동경, 메론형 구슬, 수정구슬 등의 장식구슬, 금환연접구슬 등 중국 특히 비단이 생산되었던 남중국의 공예품들이 출토되는 경위에 관심을 가졌다. 모자이크 구슬은 당시 남중국 그리고 사르마티아와의 관계에 의한 것으로 살펴보았다. 거리적으로 먼 사르마티아와 남중국이 교섭할 수 있었던 중간 매체로는 흉노가 주목된다. 이와 관련하여 흉노의 유적에서 남중국에 가장 많은 분포를 보이는 금환연접구슬이 발견되는 점을 참고하였다. 남인도와 동남아시아에서 유행한 금환연접구슬이나 모자이크구슬이 아프카니스탄의 틸랴 테페 유적에는 없는 반면 같은 초원길로 연결되는 사르마티아 유적이나 흉노의 몽골 유적에서 등장하는 점이 흥미로운 것이다. 이는 남중국과 사르마티아, 흉노와의 연결 루트를 상정하게 한다. 한편 사르마티아인들의 중심연대인 기원전 2세기에서 기원후 2세기 사이 초원루트와 남중국을 잇는 교통로로는 운남에서 미안마를 지나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을 지나 인도 동부로 들어가는 서남실크로드로 판단된다. 1세기 동서교섭의 루트에는 북방 초원 루트, 남해 루트, 오아시스 루트 등 다양한 루트가 존재한다. 이들 루트들은 운반, 집산되는 물자의 특성이나 당시 정치적 관계에 의해 다양하게 사용되고 형성되었다. 이 글에서는 인도와 중앙아시아, 그리고 남중국을 잇는 최단거리의 길인 서남루트가 북방 유목민들인 사르마티아인들에 의해 사용되고 개척된 상황을 살펴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