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rror films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초

로만 폴란스키의 영화에 나타난 불안과 공포의 미학 - <악마의 씨>, <차이나타운>, <유령작가>를 중심으로 (Aesthetic of Anxiety and Horror in Roman Polanski's Films -focusing on < Rosemary' baby >, < Chinatown >, < Ghost Writer >)

  • 김형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133-142
    • /
    • 2012
  • 폴란스키의 영화는 폭력과 공포로 얼룩진 폐쇄 공간 속의 인간을 일관된 주제로 삼아 동시대의 불안정과 폭력의 경향, 사회 가치로부터 고립된 개인의 무능력과 고독을 제시하고, 그가 꾸준히 제기해 온 존재의 근원적 공포를 다룬다. 이 연구는 로만 폴란스키 감독의 영화들에서 보이는 독창적이고 고유한 연출스타일의 분석을 통해 영화 속에 나타난 불안과 공포의 미학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서스펜스 구축의 고전적인 원리와 다채로운 이미지 직조술에 기초한 그의 영화 스타일에서 보여주는 닫힌 상황 속에서 무력한 개인이 겪는 곤경, 알 수 없는 외부세계로부터 숨통을 조여 오는 공포의 기운, 야만적 폭력에 깨어지는 인간의 신념은 로만 폴란스키 영화와 흔히 연결되는 테마이다.

영화에서 나타나는 비가시적 공포요소의 카니발적 표현 연구 (Research on the Cannibal Expression of Invisible Horror Elements in Films)

  • 이윤석;진주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190-200
    • /
    • 2011
  • 시각적 공포요소가 등장인물과 직접적으로 대치하고 물리적으로 영향을 끼치는 것과 달리 비가시적 공포요소는 암시와 상상을 통해 표현되며 그 실체가 드러나지 않는다. 비가시적 공포요소가 실체를 드러내기 위해서는 '디아더스'와 같이 공포의 주체와 피해자의 관계가 전복되거나, '해프닝'과 '파라노말 액티비티'에서처럼 신체강탈이라는 방법으로 표현된다. 관계의 전복은 갑작스러운 성격의 변화를 야기하고, 신체강탈은 타인의 신체를 취한다는 점에서 식인행위와 연결된다. 식인행위와 성격의 변화는 카니발리즘에서 따르는 하위질서의 공식화와 비논리성에 속하는 것이다. 영화에서 나타나는 비가시적인 공포요소가 지니는 의미는 유토피아적 자유의 영역으로 들어간다는 카니발리즘의 본래의 의미와는 상반되어 보이지만 역할을 뒤집어 공포로 인한 갈등과 긴장이 해소되고 공포로부터 해방된다는 면에서 볼 때, 카니발의 정신인 '자유의 영역'으로 들어간다는 것과 의미가 상통할 것이다. 저자는 본 연구에서 비가시적 공포요소가 나타나는 영화의 표현과 플롯이 카니발리즘과 어떠한 관계를 가지는지 분석해 보려고 한다.

공포영화흥행에 성공한 주연 여배우들에 대한 음성 특징 규명 (Identification of the Voice Characteristics of Main Actresses in Big Hit Horror Films)

  • 조동욱;박영;정연만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42권5호
    • /
    • pp.1020-1026
    • /
    • 2017
  • 우리나라 영화는 이제 국내 시장에 머물지 않고 세계적 시장에 진출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예전과 달리 외국 영화들이 대단히 많이 국내에 수입, 개봉이 됨에도 불구하고 정작 흥행에 성공하고 있는 것은 국산 영화가 더 많은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국내 영화의 다양한 장르 중 공포를 느끼게 영화들의 목소리 특징은 무엇인지를 규명해 내는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영화에 있어 흥행 성공의 기준이 유료 관객 수인 관계로 이를 기준으로 흥행에 성공한 공포 영화의 주인공들의 음성과 흥행에 실패한 공포 영화의 주인공들의 음성을 분석하여 그 들 각 각의 음성의 차이점이 무엇인가를 규명해 내고자 한다. 또한 이 같은 규명 결과를 통해 음성학적 관점에서 공포 영화가 흥행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어떤 음성이어야 하는지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20세기 영화 특수 분장사와 캐릭터 특수 분장 연구 (A Study of Make-up Artists and Character's Special Make-up Effects in the Twentieth Century's Films)

  • 장미숙;양숙희
    • 복식
    • /
    • 제55권6호
    • /
    • pp.141-158
    • /
    • 2005
  • This study was motivated not only by the important role of the special make-up effects in films, but also by the prominent contributions created by make-up artists. The first objective was to study of Jack Pierce, Dick Smith, Tom Savini, Rick flake., and Stan Winston's impact in the most challenging and creative field of all make-up artistry. The second objective was to examine both affinities and differences in artistic styles as well as in make-up techniques through a comparative study of special make-up effects of horror and sci-fi movies in the 20th century films produced by Hollywood studios. The sci-fi films were designed to thrill the audience through the potential of futuristic ideas by fantastic special effects of futuristic creatures such as an extra-terrestrial, a mutant, a robot and a cyborg. In contrast, the horror films were designed to frighten the audience with more reliance on horrifying special effects including a vampire, a werewolf, a zombie and a psycho killer. Their features were shown in a common thread (masquerade, otherness and surrealism) as well as a number of different themes between horror and sci-fi films (transformation vs. extension, satanism vs. monstrosity, and primitivism vs. futurism).

프랑켄슈타인에서 고문 포르노까지 -괴물화하는 테크놀로지와 호러영화 (From Frankenstein to Torture Porn -Monstrous Technology and the Horror Film)

  • 정영권
    • 대중서사연구
    • /
    • 제26권1호
    • /
    • pp.243-277
    • /
    • 2020
  • 본 논문은 브라이언 N. 두채니(Brian N. Duchaney)의 『공포의 불꽃: 테크놀로지, 사회, 호러영화 The Spark of Fear: Technology, Society and the Horror Film』(2015)를 중심으로 호러영화의 사회문화사를 테크놀로지라는 키워드로 고찰한다. 영화장르에서 테크놀로지와 가장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는 장르는 SF이다. 이에 반해 호러는 테크놀로지와 반대되는 자연/초자연으로 주로 설명되어 왔다. 이런 점에서 『공포의 불꽃』이 호러영화의 역사를 테크놀로지에 대한 (반)작용으로 설명하는 것은 주목할 만하다. 고딕 소설의 영향 하에서 제작된 초기 호러영화는 산업자본주의가 야기한 테크놀로지에 대한 두려움을 반영한다. 예를 들어 <프랑켄슈타인 Frankenstein>(1931)에서 성난 군중들은 테크놀로지의 산물인 괴물을 가혹하게 린치하는데, 이는 테크놀로지가 주는 이질감과 공포에서 비롯한 행동이다. 이 군중행동은 또한 대공황 시기 산업자본주의에 의해 소외된 대중의 봉기를 연상시킨다. 전후 호황기에 등장한 SF호러 영화들에서 외계인으로 상징되는 타자들은 전후 미국의 번영의 가치를 파괴하는 존재이다. 이 때 번영은 교외화에 따른 중산층의 삶과 관련되며, 그들은 TV, 냉장고 등 생활 테크놀로지에 둘러싸여 순응주의적 삶을 살아간다. 베트남전 시대에 호러영화는 고립과 폐쇄의 공간인 집을 무대로 반문화 세대인 아이들을 악마화한다. 여기에서 공포는 테크놀로지의 완전한 부재에서 발생한다. 1980년대 이후 비디오, 인터넷, 스마트폰 등의 미디어는 외부세계와의 연결을 강화했지만 우리가 통제하지 못하는 또 하나의 외부 영향력이 되었다. 9.11 이후 호러 영화에 만연하는 '파운드-풋티지'와 '고문 포르노'는 관음/감시와 노출/전시의 테크놀로지가 포화 상태에 이르렀음을 드러낸다. 이런 점에서 『공포의 불꽃』은 테크놀로지 진보에 대한 기대와 공포가 우리의 일상적 삶과 불가분의 관계가 되고 있는 오늘날 시의적절한 통찰을 제공한다.

대중문화의 크로스오버와 콜라보레이션 유행에 따른 한국 공포영화에서의 가능성 (A Study on the Possibilities in Korean Horror Movies Due to Popular Culture Crossover and Collaboration Trends)

  • 안일환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31-43
    • /
    • 2021
  • 요즘 시대의 화두는 바로 혁신과 융합이다. 혁신을 통해 융합이 탄생하고 융합을 통해 혁신이 이루어지니 융합이 곧 혁신이라고도 볼 수 있다. 대중문화에서 융합이라는 개념으로 쓰이는 크로스오버와 콜라보레이션(*크로스오버로 통칭)은 서로 다른 장르나 분야 간의 결합, 통합을 의미하며 최근 영화나 음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크로스오버의 활용은 타 분야와의 경계를 허물고 자유롭고 다양한 시도를 통해 새로운 작품을 창조해 내는 데 도움을 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중문화의 융합, 즉 크로스오버를 한국의 공포영화 장르와 연계하여 분석해본다. 현재 한국 공포영화는 90년대에서 2000년대 초반까지 인기를 끌다가 현재는 연속된 흥행 부진으로 인해 소수의 작품만이 나오는 실정이다. 하지만 본 연구 결과 한국 공포영화에서도 이미 크로스오버 시도는 시작되었고 몇몇 흥행한 작품들에서 크로스오버의 흔적이 강하게 발견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거기에서 더 나아가 <어벤저스> 같은 캐릭터 콜라보레이션까지 적용해서 한국 공포영화의 새로운 방향성까지 제시해본다.

한국 영화와 TV 드라마에 나타난 베트남 여성상 고찰 (A study on Vietnamese Women in Korean Films and TV Dramas)

  • 육상효
    • 동남아시아연구
    • /
    • 제20권2호
    • /
    • pp.73-99
    • /
    • 2010
  • To properly answer the question 'Why have Vietnamese Women kept appearing in Korean Films and TV dramas?', We need to induce Postcolonial discourse along with historical and cultural similarities between Korea and Vietnam. It is because the relationship of two countries can be defined as a neocolonialism specially in view of economic relationship. Koreans need to locate themselves on the superior position by othering Vietnamese women, who are close enough to be compared and also distant enough to be othered. This paper is intended to bring their being in Korean films and TV dramas under the light of postcolonial discourse. According to the postcolonial concepts such as ambivalence, stereotyping and subaltern, Korean films and TV dramas a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which are Vietnam war melodramas, Horror movies based in Vietnam, and TV dramas with Vietnamese brides. War melodramas have been othering Vietnamese woman through ambivalence of the fear of Vietcom warrior and the fascination of exotic beauty. Horror movies, produced about 10 years later, brought the Vietnamese women back to Korean audience, stereotyping them into ghosts, which are incarnated through the suppression and eruption of sexual desire. The third group consists mainly of TV dramas. Their story usually evolves around Vietnamese brides migrating into Korea. The women are forced into the position of Subaltern, not representing themselves in their own voices. Facing multi-cultural society, our visual media are requested to modify their neocolonial approach of presenting Vietnamese women. To accomplish the goal, they have to find ways of storytelling to show the women in their everyday lives and help them to speak for themselves.

슬래셔 영화에 나타난 사이코패스의 분장 코디네이션 연구 (A Study of Psychopaths' Make-up Coordination Expressed on the Slasher Films)

  • 장미숙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399-406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ow how psychopaths' psychological factors are expressed on the characters' visual styles in the make-up coordination of slasher films. Psychopath is an ordinary person who has suffered some terrible trauma (humiliation, the death of a loved one, rape, psychological abuse), and features a disorder that consists of multiple components ranging on the emotional, interpersonal, and behavioral spectrum. Slasher films are sub genre of horror films that psychopathy characters, namely, Leather Face, Michael Myers, Jason Voorhees, Kenny Hampson, Harry Warden, Freddy Kruger and Billy kill the unfamiliar victims by cruel weapons with mercilessly. Their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make-up coordination were shown in concealment, cruelty and suggestion. The concealment was presented by killers' masks, the cruelty was represented by their weapons, and the suggestion, especially space-time and status was depicted by their garments.

Augmented Reality in Children's Literature

  • Kim, Ilgu
    • 영미문화
    • /
    • 제14권2호
    • /
    • pp.77-96
    • /
    • 2014
  • As the cyberspace several decades ago created a cyber fiction fever, the augmented reality as the future of imagination can generate another kind of literary genre and new social ambiance where books tend to come to life more realistically. This newly created "smart fiction," "smart movies," and "smart environment" will be full of fun, hopes and conveniences. But addiction to smart kinds will create unwanted dangerous plethora like ghost-like avatars, wild animals and Farid due to the limitations of human control over hi-technology. If so, the adventures we plan to take will turn fantasy into horror in no time. Instead of loving new scientific things blindly, the emphasis hereafter must be put rather on the potentially negative aftermaths of the new innovative technology. Some viewers after watching the film Avatar are still suffering from the syndrome called "avatar blues," a homesick for Pandora. After their experiencing of the experimental 3D effects in books and media, audience and readers are required to actively deal with the increased lack of the darker cave which the comparatively unsatisfactory present can never fill with fixity and limit. Like the prevention against the addictive online game or the manual of 3D television or 3D printer, the extreme off-limits and safety zone for this virtually and expendably subverting technology must be seriously reviewed by community before using and adopting it. Also, these technologically expanded and augmented environments must be prudently criticized by the in-depth study of literature just as cyber space begun by Gibson's cyber fiction and its criticism.

스플레터 영화 분장의 미적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Splatter Films' Make-up)

  • 장미숙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0권6호
    • /
    • pp.827-835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splatter films' make-up. Splatter films are one of horror movies that consist of gore and excessive violence. These represent the cruelty with the victims' physical damages made by special effect make-up. Splatter make-up is classified into the trickle of blood, the cutting of body, and the exposure of the inner parts of body, and changes a fake into a fact with reality.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splatter make-up were shown in the uncanny, the abjection and the irony. The uncanny which is strange and displeasure feeling is presented by the fragmentation of body, and the living of nonliving thing. The abjection means humble image, and the concept of border or ambiguity. The former is expressed by the matters of body's secretion and excretion. The latter is shown by the use of blood(the life and death) and corpses(the human and inhuman), and animatronics(the human and instruments). The irony which is a sense of humor caused by conflict between external appearance and reality. This is represented by comics induced by discord between excessive violence and make-up tricks, and the brutality and the weak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