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mocysteine

검색결과 223건 처리시간 0.035초

Homocysteine levels are associated with diabetes mellitus in Chinese with H-type hypertension

  • Dejian Fu;Wanbao Gong;Xiaomin Bao;Bo Yang;Feng Wang;Yubing Qiao;Yuanjiang Wu;Guangzhen Chen;Weixun Sun;Qiongzhi Xiao;Wenbo Zou;Ning Fang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8권4호
    • /
    • pp.511-522
    • /
    • 2024
  • BACKGROUND/OBJECTIVES: The study examined the association between homocysteine and diabetes mellitus in patients with H-type hypertension and assessed the possible effect modifiers. SUBJECTS/METHODS: This cross-sectional study included 1,255 eligible participants in the 'H-type Hypertension Management and Stroke Prevention Strategic Inter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Cooperation Project' among rural Chinese people with H-type hypertension. A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model was us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homocysteine and diabetes mellitus. RESULTS: The mean level of total homocysteine (tHcy) in the diabetes mellitus population was 19.37 μmol/L,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non-diabetic patients (18.18 μmol/L). When tHcy was analyzed as a continuous variable, the odds ratio (OR) of diabetes was 1.17 (95% confidence interval [CI], 1.01-1.35; per interquartile range). When tHcy was stratified according to the quintile, the ORs for diabetes were 2.86 (95% CI, 1.22-6.69) in the highest quintile (tHcy ≥ 20.60 μmol/L) compared to the reference group (tHcy < 12.04 μmol/L). When tHcy was grouped by 15 μmol/L and 20 μmol/L, patients with tHcy ≥ 20 μmol/L had a significantly (P = 0.037) higher risk of diabetes (OR, 2.03; 95% CI, 1.04-3.96) than in those with tHcy < 15 μmol/L. Subgroup analysis showed that the tHcy-diabetes association was unaffected by other variables. CONCLUSION: In this study of rural Chinese people with H-type hypertension, the tHcy levels showed a positive association with diabetes mellitus. This independent association is unaffected by other potential risk factors.

임신초기 모체의 엽산영양상태와 동 영향인자 (Maternal Folate Status and Its Influencing Factors in Early Pregnancy)

  • 이정아;이종임;임현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331-338
    • /
    • 2004
  • 임신초기 모체의 엽산영양은 태아의 신경관 손상을 예방하는 측면에서는 물론이고 엽산 필요량이 증가하는 임신후기를 대비한다는 점에서도 중요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임신초기에 있는 151명의 임신부들을 대상으로, 이들이 식사를 통해 얼마의 엽산을 섭취하는지를 조사하고, 혈청과 적혈구의 엽산 농도와 혈장 호모시스테인 농도를 분석하여 엽산영양상태를 평가하고, 이들의 엽산영양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이 무엇인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대상자의 조사당시 임신기간은 9.1$\pm$2.3주이었으며, 초산부가 46%이었고 나머지는 경산부이었다. 에너지 및 엽산 섭취량은 각각 1559$\pm$589 ㎉/day 및 230.8$\pm$145.2 $\mu$g/day로 각 권장량의 72.5%및 46.2%로 낮았다 혈청과 적혈구의 엽산 농도는 각각 5.5$\pm$1.9 ng/mL 및 266.6$\pm$75.0 ng/mL으로, 연구 대상자의 7.8%가 혈청 엽산 수준이 3 ng/mL미만인 결핍상태에 해당하였고 60.3%는 경계역(3∼5.9 ng/mL)에 속하였으며, 적혈구 엽산 농도가 l57 ng/mL미만인 결핍상태에는 4.3%가 해 당하였다. 그러나 혈청 호모시스테인 농도는 정상범위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대상자의 엽산영양상태는 비교적 양호하다고 판정되었다. 혈청 엽산 농도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유의한 인자는 건강상태점 수(+), 혈장 호모시스테인 농도(-), 연령 (-), 임신기간(-) 및 엽산 섭취량(+) 순으로 그 영향력이 높았고, 적혈구 엽산 농도의 영향인자는 교육수준(-), 혈장 호모시스테인 농도(-), 지난번 출산 영아의 출생시 신장(+),연령(-)및 에너지 섭취량(+)이었고, 혈장 호모시스테인 농도의 영향인자는 지난번 출산 영아의 출생시 신장(-), 경제수준(+),혈청 엽산 농도(-)와 임신전 체중(+)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혈장이나 적혈구의 엽산 농도나 혈장 호모시스테인 농도를 분석하지 않고도, 임신초기에 있는 모체의 엽산영양상태를 개략적으로 판정하는데 있어 주관적으로 평가한 불량한 건강상태, 높은 교육수준 또는 경제수준, 지난번 출산에서 작은 체위의 영아를 출산한 경력, 고연령 또는 엽산이나 에너지섭취량 부족을 위험 인자로 활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아울러 임신기간이 진행되었을수록 엽산영양상태가 저하되었을 가능성이 있음도 나타내준다. 앞으로 임신초기 임신부의 엽산영양상태를 어떤 위험인자를 몇 가지나 가졌느냐에 따라 평가하는 연구결과가 나와야 이들 위험 인자의 실용성 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우선 이들 위험 인자를 많이 지닌 임신부라면 임신초기부터 엽산 섭취량을 늘리거나 엽산보충제 섭취를 일찍 시작하는 등의 방법으로 엽산영양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일부여대생의 혈장 호모시스테인 함량과 비타민 $B_6, B_12$ 및 엽산 영양상태 (Studies on Plasma Homocysteine Concentration and Nutritional Status of Vitamin $B_6, B_12$ and Folate in College Women)

  • 안홍석;정은영;김수연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5권1호
    • /
    • pp.37-44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20대 초반의 젊은 여성인 일부 여대생을 대상으로 영양소 섭취량. 인체계측, 혈장 호모시스테인 및 혈중 비타민 농도를 분석하여 혈장 호모시스테인 농도와 비타민 영양상태 간의 상관성을 조사하였다. 조사대상자의 평균연령은 22.4세였으며 평균 수축기, 이완기 혈압은 각각 115mmHg, 71.5mmHg였다. 조사대상주중 13%(4명)만이 영양 보충제를 섭취하였고 33%(10명)정도가 월 3회 이상 음주를 하였으며 흡연자는 3%(1명)에 해당하였다. 평균 신장과 체중은 각각 160.9cm. 54.5kg이었으며 BMI는 21.0 체지방률은 24.9%로 모두 정상수준 범위에 해당하였다. 일일 평균 열량 섭취량은 1731.9kcal로 권장량의 86.6%에 해당하는 다소 낮은 수준이었다. 비타민 B$_{12}$의 일일 평균 섭취량은 2.2mg이었으며 비타민 B$_{6}$와 엽산의 일일 평균 섭취량은 각각 0.9mg, 139.8$\mu\textrm{g}$으로 권장량의 58.7%와 55.9%로 나타나 낮은 섭취수준을 보였다. 이들 비타민의 주요 급원 식품으로 비타민 B$_{6}$는 곡류 및 전분류(61.4%), 비타민 B$_{12}$는 육류 및 달걀류(49.0%) 그리고 엽산은 야채 및 과일류 (55.2%)로 조사되었다. 조사대상자의 혈장 호모시스테인의 평균농도는 12.4$\mu$mol/l로 정상범위를 나타내는 5~15$\mu$mol/l에 해당하였으며 전체 조사대상자중 5명은 15$\mu$mol/l이상의 혈장 호모시스테인 농도(15.1~17.8$\mu$mol/l)를 나타내었다. 혈장 비타민 B$_{6}$(PLP)의 평균 농도는 77.5nmol/l로 정상수준인 30nmol/l이상이었으며. 비타민 B$_{12}$의 평균농도 역시 267.4pmol/l로 정상범위인 147.6~664pmol/l에 속하였다. 적혈구와 혈청의 평균 엽산 농도는 각각 736.5nmol/l, 17.1nmol/l였으며 조사대상자 모두 적혈구 엽산의 한계결핍 수준인 315~359nmol/l 이상과 혈청 엽산 농도의 적정 수준인 13.5nmo/l/이상의 양호한 영양상태를 나타내었다. 또한 적혈구와 혈청의 엽산 농도 사이에 유의한 양의 상관성이 있었다 비타민 B$_{6}$, B$_{12}$ 및 엽산의 섭취가 증가할수록 혈장 호모시스테인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이들 비타민의 혈중 농도와 혈장 호모시스테인 농도 사이에도 음의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유의한 상관성은 없었다. 엽산 섭취량의 증가에 따라 적혈구와 혈청의 엽산 농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비타민 B$_{6}$의 섭취량과 혈중 총 비타민 B$_{6}$의 90%이상을 차지하는 혈장 PLP농도 사이에는 유의한 양의 상고나성이 있었다. 혈중 호모시스테인 농도는 질병의 위험요인으로서 뿐 아니라 대사적으로 밀접하게 연관된 비타민 영양상태의 biomarker로서도 그 영향력이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성별에 다른 다양한 연령집단에서 건강한 일반인과 심혈관계 질환자 등을 대상으로 호모시스테인과 비타민 영양상태에 대한 연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Pseudomonas sp. RP-222와 변이주 MR-3966 의 생육 및 Protease 생산에 Cysteine이 미치는 저해효과 (Inhibitory Effects of Cysteine on Growth and Protease Production of Preudomonas sp. RP-222 and its Mutant MR-3966)

  • 이광수;강신권;손봉수;노종수;김경숙;전성식;성낙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621-626
    • /
    • 1994
  • Cysteine showed strong inhibitory effect on growth and protease production of Pseudo- monas sp. RP-222 and its mutant, MR-3966. Mid- to late-log phase cells were most sensitive to the presence of 10 mM cysteine. The inhibition caused by cysteine was almost completely overcome by addition of isoleucine, leucine and valine mixture to the medium, and inclusion of iso#leucine alone could greatly reduce the inhibitory effects of cysteine. Homocysteine and #cysteine, sulfur compounds having similar structure as cysteine, inhibited to varying degrees the growth of both strains. Cysteine and homocysteine were strong inhibitors of threonine deaminase but not transa#- minase B. These results suggest a relationship between the growth-inhibitory effects of cysteine and other sulfur compounds and the inhibition of isoleucine synthesis at the level of threonine deaminase.

  • PDF

Homocysteine 과다증과 관련된 반복 자연유산에서 Methylenetetrahydrofolate Reductase돌연변이에 대한 분석 (The Analysis of Methylenetetrahydrofolate Reductase Mutation in Recurrent Spontaneous Abortion Associated with Hyperhomocysteinemia)

  • 남윤성;최종순;하권수;이지원;오도연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6권3호
    • /
    • pp.441-445
    • /
    • 1999
  • Objective: To analyze the methylenetetrahydrofolate reductase (MTHFR) mutation in recurrent spontaneous abortion associated with hyperhomocysteinemia. Material and Method: The blood sample of habitual aborter with high fasting homocysteine level was tested by PCR - RFLP method. Results: The patient was found to be a homozygosity for MTHFR gene mutation that was confirmed by the finding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mutation at the nucleotide 677 C to T, corresponding to Ala to Val. Conclusions: Hyperhomocysteinemia due to MTHFR mutation is a cause of recurrent spontaneous abortion. Therefore, the MTHFR mutation should be examined in the workup of recurrent spontaneous abortion showing hyperhomocysteinemi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