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g liver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6초

돈(豚)콜레라 바이러스 감염조직(感染組織)의 유리(遊離)아미노산(酸)에 관(關)한 비교연구(比較硏究) (Comparative Studies on the Free Amino Acids in Hog Cholera Infected Swine Tissues)

  • 용만중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31-36
    • /
    • 1966
  • The free amino acid contents in several tissues of swine were analyzed qualitatively by means of two dimentional paper chromatography. The tissues used were liver, kidney and spleen that were obtained from normal, immunized and hog cholera infected swines.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Liver: 20 amino acids were detected in normal, 17 in immunized and 15 in infected swines. 2. Kidney: 16 amino acids were detected in normal, 13 in immunized and infected swines. 3. Spleen: 15 amino acids were detected in normal in immunized and 13 in infected swines. 4. Glutamic acid, leucine, serine and threonine were present in high concentration in all of the cases examined. 5. The free amino acids were appeard to be decreased in the infected tissues with hog cholera virus.

  • PDF

Spreadable 돼지 간제품의 영양학적 품질 (An Analysis of the Nutritional Quality of Spreadable Liver Product)

  • 김영붕;전기홍;이남혁;이현정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21-26
    • /
    • 2008
  • 본 연구는 돼지 간을 이용한 spreadable liver product의 영양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원료용 간의 수분함량은 70.5%, 단백질 20.3%, 지방 5.2%, 회분 1.2%의 결과를 보였다. 또한 제품의 수분함량은 55.3%, 단백질 19.4%, 조지방 21.6%, 조회분 3.7%로 나타났다. 아미노산 함량은 원료용 간이 18.69 g/100 g이었으며 그 중 glutamic acid가 2.57 g/100 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제품에도 아미노산 총 함량은 18.03 g/100 g으로 나타났으며, glutamic acid가 2.28 g/100 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제품의 필수아미노산은 전체 아미노산 함량 중 42%를 차지하였다. 원료용 간에서 지방산 조성은 불포화지방산 중 oleic acid가 28.0%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포화지방산인 palmitic acid가 20.7%로 나타났다. 제품에서는 oleic acid의 함량이 40.0%, palmitic acid가 20.4%로 나타났다. 원료용 간 및 제품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178.1 mg/100 g 및 11.8 mg/100 g로 나타났다. 무기질 함량은 원료용 간이 K가 362.2 mg/100 g이었으며 P의 함량은 339.1 mg/100 g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제품의 무기질 함량은 원료용 간에 비해 Na가 894.5 mg/100 g로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P의 함량은 336.1 mg/100 g이며, K는 213.3 mg/100 g를 포함하였다. 그 외에도 Mg, Ca 및 Fe 등 다양한 무기질도 함유하고 있었다. 돼지 간을 이용한 spreadable liver product는 영양학적으로 매우 우수하며 가공제품으로 쉽게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Spreadable 간 제품의 저장온도별 품질변화 (Quality Changes during Storage of Spreadable Liver Product)

  • 김영붕;전기홍;이남혁;이현정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32-38
    • /
    • 2008
  • 돼지 도축부산물의 하나인 돼지 간의 활용도 증진을 위하여 퍼짐형 간 제품을 제조하여 저장온도별 품질변화를 알아보고자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저장시험은 $-2^{\circ}C,\;5^{\circ}C$$20^{\circ}C$에서 30일간 저장하면서 pH, TBA, VBN, 색도, 일반세균, 대장균군 및 관능검사를 분석하였다 pH는 저장온도별에 따른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TBA는 $-2^{\circ}C$ 저장구에서 30일째에 0.6 MA mg/kg의 값을 보이고, $5^{\circ}C$ 저장구에서는 21일째 0.80 MA mg/kg 이상을 나타냈으며, $20^{\circ}C$저장구는 14일째 0.91 MA mg/kg를 보였다. VBN함량의 변화는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계속적인 증가 경향을 보였으나 그 중 $20^{\circ}C$ 저장구가 10일째 가식권을 벗어났다. 색깔변화는 각 저장구간 전체적으로 명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적색도는 감소하였다. 관능검사 결과 저장온도별에 따라 유의적 차이는 있었지만 퍼짐성은 높은 온도에서 좋은 결과를 보였다. 일반세균수 및 대장균군의 변화는 $-2^{\circ}C$저장구에서는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크게 세균 증식이 일어나지 않아 저장 30일째에도 3.31 log CFU/g의 수준을 보였다. $5^{\circ}C$ 저장구 30일까지 저장 후에도 3.56 log CFU/g 정도였다. 반면 $20^{\circ}C$ 저장구에서는 저장 14일에 8.74 log CFU/g까지 증식하였다. 대장균군에서는 $-2^{\circ}C$$20^{\circ}C$ 저장구에서는 전 저장기간 동안 검출되지 않았으며 $5^{\circ}C$ 저장구 3일째에만 검출되었다. 따라서 종합적으로 돼지 간을 이용한 제조된 퍼짐형 간 제품은 이하에서 14일까지는 식용가능하다고 할 수 있겠다.

고지방식이로 유도한 지방간 마우스에서 기장 첨가식이가 지방간 및 인슐린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og Millet Supplementation on Hepatic Steatosis and Insulin Resistance in Mice Fed a High-fat Diet)

  • 박미영;장환희;이진영;이영민;김재현;박재학;박동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501-509
    • /
    • 2012
  • 비알코올성 지방간은 인슐린저항성을 근간으로 하는 대사증후군의 원인으로 생각되고 있으며 최근 그 발병율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진은 기장 열수추출물을 식이에 첨가하여 고지방식에 의해 인위적으로 지방간을 유도한 마우스에게 섭취시킨 후 혈청 내 생물학적 수치와 간조직 검사를 통하여 비알코올성 지방간 억제 효과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식이섭취량은 차이가 없었으나 간조직 무게가 1% 및 2% 기장 열수추출물 첨가식이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p<0.05) 간조직 내 지방 축적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기장 열수추출물 첨가식이군의 경우 고지방식 대조군에 비해 혈청 중성지방 및 총 콜레스테롤이 감소하였고(p<0.05), HDL과 HDL-/총 콜레스테롤의 비율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여(p<0.05) 혈액의 지질 조성이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HOMA-IR 및 포도당 내성 검사 결과 2% 기장 열수추출물 첨가군의 경우 이들 모두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고지방식에 의한 인슐린 저항성 및 당흡수 부전을 기장 열수추출물이 완화시켰다(p<0.05). 한편 간조직에서 지방산 대사와 관련된 인자들의 유전자 발현을 측정한 결과 지방산 합성에 관여하는 L-FABP와 SCD1은 2% 기장 열수추출물 섭취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p<0.05) 지방산 산화와 관련된 $PPAR{\alpha}$는 1% 및 2% 기장 열수추출물 섭취군에서 모두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이상의 혈청 및 조직의 생물학적 수치와 간조직 검사 결과를 미루어 볼 때 기장 열수추출물 첨가 식이는 고지방식이에 의해 유도된 마우스의 비알코올성 지방간 치유 혹은 예방에 긍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해 준다.

오리나무 열수 추출물이 실험적으로 유발된 흰쥐의 위염 및 위궤양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ot Water Extract of Alnus japonica Steud on the Experimentally-induced Acute Gastritis and Peptic Ulcers in Rats)

  • 나천수;이상범;김진범;정하숙;동미숙
    • 생약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72-78
    • /
    • 2012
  • Alnus japonica Steud (A. japonica) have long been used in the traditional medicine for gastric disorder, hepatitis and fatty liver in Korea. Antiulcer effects of A. japonica hot water extract (AJ ext) were evaluated by in vitro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H. pylori, by the inhibitory action against the in vitro gastric $H^+/K^+$-ATPase and using rat models of gastric mucosal damage and gastric ulcer induced by HCl-ethanol, indomethacin, and restraint and water-immersion stress. For the determination of antibacterial activity of AJ ext against H. pylori, the activity of urease which released from H. pylori was measured in culture. AJ ext showed weak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H. pylori with the growth inhibitions of 37% and 61% by adding final concentrations of 500 and $1000{\mu}g/ml$ culture, respectively at 24 h. To observe the inhibitory activity of AJ ext against the $H^+/K^+$-ATPase in hog gastric membrane vesicle, $IC_{50}$ value of AJ ext was $806.3{\mu}g/ml$. Pretreatment of AJ ext (200, 500 mg/kg, p.o.) prevented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 acute gastritis in HCl-ethanol model and the formation of gastric ulcer in indomethacin model and restraint and water-immersion stress model.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J ext can be used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gastric mucosal damage and ulcers induced by various stress.

Hog millet (Panicum miliaceum L.)-supplemented diet ameliorates hyperlipidemia and hepatic lipid accumulation in C57BL/6J-ob/ob mice

  • Park, Mi-Young;Jang, Hwan-Hee;Kim, Jung-Bong;Yoon, Hyun-Nye;Lee, Jin-Young;Lee, Young-Min;Kim, Jae-Hyun;Park, Dong-Sik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5권6호
    • /
    • pp.511-519
    • /
    • 2011
  • Dietary intake of whole grains reduces the incidence of chronic diseases such as obesity, diabetes, cardiovascular disease, and cancer. In an earlier study, we showed that Panicum miliaceum L. extract (PME) exhibited the highest anti-lipogenic activity in 3T3-L1 cells among extracts of nine different cereal grains tested. In this study, we hypothesized that PME in the diet would lead to weight loss and augmentation of hyperlipidemia by regulating fatty acid metabolism. PME was fed to ob/ob mice at 0%, 0.5%, or 1% (w/w) for 4 weeks. After the experimental period, body weight changes, blood serum and lipid profiles, hepatic fatty acid metabolism-related gene expression, and white adipose tissue (WAT) fatty acid composition were determined. We found that the 1% PME diet, but not the 0.5%, effectively decreased body weight, liver weight, and blood triglyceride and total cholesterol levels (P < 0.05) compared to obese ob/ob mice on a normal diet. Hepatic lipogenic-related gene ($PPAR{\alpha}$, L-FABP, FAS, and SCD1) expression decreased, whereas lipolysis-related gene (CPT1) expression increased in animals fed the 1% PME diet (P < 0.05). Long chain fatty acid content and the ratio of C18:1/C18:0 fatty acids decreased significantly in adipose tissue of animals fed the 1% PME diet (P < 0.05). Serum inflammatory mediators also decreased significantly in animals fed the 1% PME diet compared to those of the ob/ob control group (P < 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PME is useful in the chemoprevention or treatment of obesity and obesity-related disord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