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istological finding

검색결과 106건 처리시간 0.029초

키토산올리고당이 카드뮴을 투여한 생쥐의 간독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Chitosanoligosaccharide on the Hepatotoxicity in Cadmium-treated Mice)

  • 윤중식;노영복
    • Applied Microscopy
    • /
    • 제33권1호
    • /
    • pp.59-78
    • /
    • 2003
  • 본 연구는 카드뮴으로 유발된 생쥐 간중독에 대한 키토산올리고당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Mouse를 대상으로 카드뮴 (5.0 mg/kg; i.p.) 단독투여군(group Cd), 카드뮴과 키토산올리고당 (0.5% solution) 동시투여군 (group Cd+Chi) 그리고 키토산올리고당 1주일 전처치군 (group Chi7+Cd)으로 구분한 후 간손상 억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혈청중 효소활성도와 glutathione peroxidase (GSH-Px)의 활성도 그리고 glutathione reductase (GR)의 활성도를 비교측정하였다. 또한 간조직의 형태학적 손상을 확인하기 위해 조직학적 관찰을 실시하였다. 혈청 효소활성결과, AST, ALT 그리고 LDH의 활성도는 키토산올리고당을 처치한 Cd+Chi군과 Chi7+Cd군이 Cd군보다 감소되었다. 그러나 TP와 Alb의 활성도는 키토산올리고당을 처치한 Cd+Chi군과 Chi7+Cd군이 Cd군보다 증가되었다. GSH-Px활성은 Cd군에 비해 Cd+Chi군과 Chi7+Cd군이 현저하게 증가되었다. GR활성은 Cd군에 비해 Cd+Chi군과 Chi7+Cd군이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광학현미경적 관찰 결과, Cd군은 카드뮴 독성에 의한 간세포의 괴사가 관찰되었다. Cd+Chi군과 Chi7+Cd군은 정상군과 유사한 소견을 보였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키토산올리고당이 생쥐 간조직에 미치는 카드뮴의 독성을 감소시킴을 알 수 있었다.

YBR의 간섬유화(肝纖維化)억제 효과(效果)에 관한 연구(硏究) (Inhibitory Effect of YBR on Hepatic Fibrogenesis)

  • 승현석;우홍정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314-330
    • /
    • 2010
  • Objective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anti-fibrogenic effect and changes of inflammation-related genes by YBR I and YBR II (YBR I: Arteisiae Capillaris Herba, Atractylodis Rhizoma Alba, Hoelen/ YBR II: YBR I +Sanguisorbae Radix, Biotae Cacumen, Cirsii Japonici Herba) on HSC(hepatic stellate cells)-T6 and TAA-induced rat liver tissue. Materials and Methods : HSC-T6 were trea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distilled-water extract YBR I and YBR II extract for 24, 48 and 72 hours. After the treatment, cell viability, proliferation, procollagen levels and IL-6 levels were measured by using MTT Assay, BrdU Assay, Procollagen Type 1 C-peptide EIA kit, and Murine IL-6 ELISA Development kit. Rat liver fibrosis was induced by intraperitoneal TAA injection of 150mg/kg 3 times a week for 6 weeks. After the treatment, body weight, liver & spleen weights, liver function test, complete blood cell count and change of portal pressure were studied. In addition, gene expressions of ASMA, IL-6, MMP-2, TIMP-1 and TIMP-2, all of which are known to be associated with liver fibrosis, were analyzed by using Real-Time PCR. After YBR I and YBR IItreatment, percentages of collagen in TAA-induced rat liver tissue were measured. Results : The viability and proliferation of the HSC-T6 decreased as the concentration increased. The production of procollagen decreased as the concentration increased. The production of IL-6 was little influenced by YBR I and YBR II. There was no difference in rat body weight between the TAA-only group and the YBR groups. Compared with rat liver weight of TAA-only group, that of the YBR groups increased. In the YBR I group, the serum level of AST elevated by TAA injection significantly decreased and in the YBR I and II group, the serum level of ALP and ALT elevated by TAA injection decreased. In the YBR I group, white blood cell count elevated by TAA injection decreased but platelets increased. In the YBR I group, the portal pressure elevated by TAA injection significantly decreased. Decreases in the gene expression of ASMA and MMP-2 were observed in the YBR I group. The gene expression of IL-6 was little influenced by YBR I and YBR II -treated groups. In the histological finding, TAA injections caused severe fibrosis, but YBR I and YBR II treatment significantly reduced the amounts of hepatic collagens.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YBR I and II have inhibitory effects on the hepatic fibrogenesis.

Low Dose Exposure to Di-2-Ethylhexylphthalate in Juvenile Rats Alters the Expression of Genes Related with Thyroid Hormone Regulation

  • Kim, Minjeong;Jeong, Ji Seong;Kim, Hyunji;Hwang, Seungwoo;Park, Il-Hyun;Lee, Byung-Chul;Yoon, Sung Il;Jee, Sun Ha;Nam, Ki Taek;Lim, Kyung-Min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6권5호
    • /
    • pp.512-519
    • /
    • 2018
  • Phthalates widely used in the manufacture of plastics have deeply penetrated into our everyday lives. Recently, a concern over the toxicity of phthalates on thyroid, has been raised but in most of cases, the doses employed were unrealistically high.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hthalates on thyroid,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repeated oral exposure to low to high doses (0.3, 3, 30 and 150 mg/kg) di-2-ethylhexylphthalate (DEHP) from weaning to maturity for 90 days in juvenile rats on the thyroid. The histological examination revealed that DEHP significantly induced hyperplasia in the thyroid from the doses of 30 mg/kg, which was confirmed with Ki67 staining. In line with this finding, increased mRNA expression of thyrotropin releasing hormone (Trh) was observed in the thyroid of female at 0.3 mg/kg and 150 mg/kg as determined by RNAseq analysis. Moreover, significantly increased expression of parathyroid hormone (Pth) in the female at 0.3 mg/kg, and thyroglobulin (Tg) and thyroid hormone responsive (Thrsp) in the male at 0.3 mg/kg were noted in the blood, of which changes were substantially attenuated at 150 m/kg, alluding the meaningful effects of low dose DEHP on the thyroid hormone regulation. Urinary excretion of mono-2-ethylhexyl-phthalate (MEHP), a major metabolite of DEHP was determined to be 4.10 and 12.26 ppb in male, 6.65 and 324 ppb in female at 0.3 and 30 mg/kg DEHP, respectively, which fell within reported human urine levels. Coll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a potential adverse effects of low dose phthalates on the thyroid.

간섬유화 동물에서 D-페니실라민의 항섬유화 효과 검색 (The Antifibrotic Effects of D-penicillamine in Liver Fibrosis Animal)

  • 김기영;윤기중;문형배
    • 약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550-557
    • /
    • 1996
  • One of therapeutics in liver disease (morbus wilson) is D-penicillamin (D-pen: D-3-mercapto-valin). Especially the cross-linking of collagen molecules could be inhibited by D-pe n in extracellular spac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fibrotic effects of D-pen in rats that were induced the liver fibrosis by bile duct ligation and scission (BDL/S). Rats were treated for 4 weeks with D-pen after BDL/S operation or sham operation. The balance between fibrogenesis-marker (PNIIIP) and the fibrolysis-maker (PNIVP) were observed in sera by RIA (radioimmunoassay), and the parameter of collagen deposition in liver tissue (hydroxyproline: HYP) was measured by colorimetry. The weight of liver in BDL/S operated group was increased significantly in compared with sham operation group (15.2g${\pm}$1.1, vs 11.9g${\pm}$3.9: p<0.005, p<0.05). The rats group treated by D-pen showed the lower level of PNIIIP (6.7ng/ml${\pm}$1.5, vs 9.5ng/ml${\pm}$2.8) and the higher value of PIVCP (14.0ng/ml${\pm}$1.9, vs 7.9ng/ml${\pm}$1.5) in sera that compared to untreated rats. The content of HYP was decreased by 141% in BDL/S with D-pen treated group than that of it in BDL/S group. No correlation was revealed between collagen parameters in sera and HYP in liver tissue of BDL/S operated and D-pen treated rats. The group treated with D-pen showed the lower value of clinical biochemistry parameters (GOT: glutamate oxalacetate transaminase, Total-Bilirubin) in compared with only BDL/S operated rats, but the value of GPT (glutamate pyruvate transaminase) and Alkaline phosphatase in two BDL/S groups was nearly same. In the histological finding, we observed mild bile duct proliferation, weak inflammation and fibrosis in BDL/S with D-pen treated group, but BDL/S operated group showed the formation of septum (island of hepatocytes), massive bile duct proliferation. This result represents that the BDL/S operation induces liver fibrosis (cirrhosis) in 4 weeks, and D-pen inhibits the synthesis of collagen weakly and stimulates the degradation of collagen in the extracellular space. We conclude that the monitoring of PNIIIP, PIVCP in sera is useful parameter for screening of antifibrotic effect, and D-pen delay the liver fibrosis.

  • PDF

흉골늑골 쇄골간 과골증의 장기추시결과 (Long-term Follow-up Study of Sternocostoclavicular Hyperostosis)

  • 김정일;서근택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03-111
    • /
    • 2006
  • 목적: 흉골늑골 쇄골간 과골증은 흉골, 쇄골, 상부 늑골 및 주변 연부조직의 골화와 골막반응이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질환으로 골종양과의 감별이 요구되고 있다. 이질환은 비교적 잘 알려져 있으나 병인이 불분명하고 흔하게 나타나지는 않기 때문에 장기관찰에 대한 보고는 거의 없다. 저자들은 이 질환을 가진 환자들의 장기간 추적관찰을 통해 이질환의 치료 경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86년 6월부터 2000년 6월까지 본원 정형외과에서 흉골늑골 쇄골간 과골증으로 진단되어 치료 받은 환자 중 2년 이상 추시관찰이 가능하였던 17명의 환자에 대해서 이학적 검사, 방사선 소견, 조직학적 소견, 치료에 대한 반응 등을 분석하였다. 결과: 성별분포는 남자가 4례, 여자가 13례로 여자가 더 많았다. 이환된 시기의 환자의 나이는 17세부터 60까지로 평균나이는 48.7세였다. 전례에서 흉쇄골 관절 및 흉골, 늑골 주위의 흉골, 쇄골, 상부 늑골에 과골화 소견을 보였고 이것은 시간 경과후에도 변화 없거나 증가되는 양상을 보였다. 피부과 질환을 동반한 경우가 5례가 있었다. 치료에 대한 반응은 대부분의 환자에서 소염진통제에 반응을 하였지만 2년 이상의 소염진통제 및 항상제의 치료에도 반응하지 않은 경우가 3례가 있었다. 결론: 흉골 늑골 쇄골간 과골증은 골주사와 전산화 단층촬영으로 진단이 되어질 수 있는 비교적 드문 양성 질환으로 비교적 항염증 약물, 항생제, 항류마치스약물등의 보존적인 치료에 잘 반응하나 동통이 지속되는 경우에서 비스포스포네이트 같은 약제의 사용이 추천되어진다. 장기간 추시관찰시 동통은 대부분 소실되나 방사선학적 검사에서 골화부분은 변화 없거나 더욱 커지는 양상을 보였다. 대부분의 경우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지 않으나 연부조직의 침범이 있거나 악성종양과의 감별이 어려운 경우 조직검사가 필요할 수 있고 외형상문제로 수술적 치료가 요하는 경우가 있다.

  • PDF

자궁근종을 동반한 원발성 기관지 평활근종 (Primary Endobronchial Leiomyoma Combined with Uterine Leiomyoma)

  • 심현정;임정환;이석;김대현;박강진;이세련;정종필;손준광;김수옥;오인재;김규식;김유일;임성철;김영철;김석모;나국주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1권5호
    • /
    • pp.490-495
    • /
    • 2006
  • 자궁근종의 병력을 가진 51세 여자가 기침, 가래, 발열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기관지내시경하 조직 생 검상 평활근종이 발견되었고 환자의 자궁근종의 병력을 고려했을 때 양성 전이성 폐평활근종과의 감별이 필요하였다. 좌하엽 절제술과 동시에 자궁 절제술을 시행하였고 두 병변의 조직학적 소견을 비교해 보았을 때 폐의 병변은 자궁근종과는 무관한 원발성 기관지 평활근종으로 확진되었으며 이후 증상의 호전을 보여 현재 경과관찰 중이다.

백서의 하악골 골절 치유에서 Simvastatin이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imvastatin on Bone Healing in Mandible Fractured Rats.)

  • 정재우;권용석;김석권;이근철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6권5호
    • /
    • pp.525-530
    • /
    • 2009
  • Purpose: The hydroxymethylglutaryl coenzyme A reductase inhibitors (statins) are widely used in the treatment of dyslipidemia for the lowering of cholesterol. And studies about simvastatins have been shown to enhance bone formation in vitro and in vivo in rodents. But some other researchers have reported that there was no anabolic effect abouts simvastatins on bone. The peripheral distribution beyond the liver represents a small fraction of an orally administered dose. We hypothesize that this poor peripheral distribution is the likely reason that simvastatins, yield ambiguous results as anabolic agents. We therefore investigated whether the effects of simvastatins on bone may be enhanced by subcutaneous administration, providing better peripheral delivery of these drugs. Methods: 36 rat unilaterally mandible fractured models were prepared and divided into two groups. The simvastatin treated group where 1 mg/kg of simvastatin was daily injected subcutaneously. The same dose of normal saline was injected on the control group. And 3 rats in each group were sacrificed and taken bone samples in each week. Bone sample was evaluated with tensile strength and histological morphology after 1, 2, 3, 4, 5 and 6 weeks. Results: In simvastatin treated group, the fracture healing process, chondrocyte aggregation, collagen formation and trabecular bone formation was rapidly proceeded than the control group in histologically. The tensile strength of the simvastatin treated group was 1.02, 2.25, 3.95, 4.42, 5.49 and $6.00N/mm^2$ by weeks. The control group data was 0.60, 1.05, 2.17, 3.75, 4.15 and $5.17N/mm^2$ by weeks. The average tensile strength was higher by $1.04N/mm^2$ in simvastatin treated group. Conclusion: The currently available data on the effects of simvastatin on bone has done to confirm the finding that simvastatin helps fracture healing. And the potential for simvastatin to be used as anabolic agents for bone when delivered by the subcutaneous route.

말초 신경병증성 통증 모델에서 소경활혈탕의 진통 효과 (Analgesic Effects of Sokyungwhalhyul-tang on Constriction Nerve Injury-Induced Neuropathic Pain in Rats)

  • 김경윤;정현우;최찬헌;김형우;김기도;심기철;김계엽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95-201
    • /
    • 2011
  • Nardostachys chinensis;Anti-proliferation;Cell cycle arrest;Differentiation;U937 cell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analgesic effect of Sokyungwhalhyul-tang(SKWHT) using the model of peripheral neuropathic pain model. A model of neuropathic pain was made by ligating left 5th lumbar spinal nerve of rats. After 1 days, the extract of SKWHT was orally administered daily. Ra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1) Control group(n=6), (2) Experimental group I(SKWHT-OA1, 100 mg/kg, n=6), (3) Experimental group II(SKWHT-OA2, 300 mg/kg, n=6), (4) Experimental group III(SKWHT-OA3, 500 mg/kg, n=6). After that, we examined the withdrawl response of neuropathic rats legs by von Frey filament and Hot plate at pre, $1^{th}$, $4^{th}$, $7^{th}$, $14^{th}$, $21^{th}$ days after the induction of neuropathic pain. And also we examined c-fos, GOT, GPT and histological study of Liver at 21th days. von Frey filament and Hot plate were increase in experimental group I, II, III than Con. especially group III was most significantly analgesic effect than the other groups at $14^{th}$, $21^{th}$ days. In c-fos protein expression on spinal cord, group III was most significantly reduction immunoreactivity at $21^{th}$ days and in blood serum GOT & GPT levels and histologic finding of Liver in all experimental groups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with Con at $21^{th}$ days.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SKWHT(500 mg/kg) may have a significant analgesic effect on the neuropathic pain.

소아의 Helicobacter pylori 감염에 있어서 위내시경 소견의 진단적 의의와 CLO 및 HpKit 검사의 검출률 (The Diagnostic Usefulness of Endoscopic Findings and Detection Rates of CLO and HpKit Test for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in Children)

  • 이승연;유지형;정기섭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5권4호
    • /
    • pp.482-488
    • /
    • 2002
  • 목 적 : 신속 요소분해효소 검사는 H. pylori 감염 진단에 있어서 위내시경 검사가 시행되는 병원에서 우선적으로 시행되는 검사이다. 또한 위내시경상 검사상 결절성 위염을 보이는 경우 H. pylori 감염 빈도 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위내시경 소견인 결절성 위염의 진단적 의의와 신속 요소분해 효소 검사인 CLO 및 HpKit 검사의 양성 반응 시간별 검출률을 전향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방 법: 1999년 7월부터 2000년 5월까지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소아과에서 상복부 동통을 주소로 위내시경 검사를 시행받은 환아 212례를 대상으로 위전정부, 위체부에서 각각 3회씩 조직 생검을 시행하였고 각각 1조각씩 CLO 검사, HpKit 검사 및 조직 검사에 이용하였다. CLO 및 HpKit 검사는 생검조직의 양성 반응 시간을 각각 15분, 30분, 1시간, 2시간, 3시간, 24시간에 따라 나누어 판독하였고, 24시간 이후는 CLO 검사의 경우 6일째까지, HpKit 검사의 경우 5일째까지 판독하였다. 생검 조직의 Hematoxylineeosin 염색 또는 Alcian-yellow 염색을 기준지표로 하여 결절성 위염, CLO 및 HpKit 검사의 예민도, 특이도, 양성기대치 및 음성기대치를 구하였다. 결 과: 일반적 판정 기준 시간인 3시간째 판정한 CLO 검사의 진단적 예민도는 68.4%, 특이도는 100%였고, HpKit 검사는 위전정부 및 위체부에서 시행한 경우 진단 예민도는 모두 65.8%, 특이도는 100%였으며, CLO 및 HpKit 검사의 예민도와 특이도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CLO 검사와 HpKit 검사에서 검체와의 반응 후 시간 경과에 따른 양성률은 CLO 검사의 경우 24시간 경과시에는 예민도와 특이도가 각각 73.7% 및 99.4%로 특이도에 큰 변화 없이 예민도가 점차 증가하였고, 144시간(6일)째에도 특이도는 94.8%로 다소 감소하였으나 예민도는 89.5%로 3시간이나 24시간째와 비교하여 현저히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HpKit 검사는 위전정부의 경우(HpKit-A) 24시간 경과시 예민도는 68.4%로 3시간 경과시에 비하여 3% 정도 증가하였으나 특이도는 91.4%로 9% 정도 감소하였고, 120시간(5일) 경과시는 예민도는 86.8%로 증가하였으나 특이도는 59.2%로 현저히 감소하였다. 위체부의 경우(HpKit-B) 24시간 경과시 예민도는 3시간 경과시에 비하여 65.8%로 변화가 없었으나 특이도는 97.1%로 3% 정도 감소하였고, 120시간(5일) 경과시는 예민도는 84.2%로 증가하였으나 특이도는 77.0%로 현저히 감소하였다. 또한 24시간 경과시 위전정부와 위체부의 예민도는 각각 68.4% 및 65.8%로 비슷하였으나 특이도는 각각 91.4% 및 97.1%로 위체부의 특이도가 전정부보다 높았다. 내시경 소견상 결절성 위염의 H. pylori 감염의 예민도와 특이도는 각각 78.9% 및 93.7%로 CLO 검사 및 HpKit 검사보다 예민도는 더 높고 특이도는 비슷하였다. 결 론: CLO 검사와 HpKit 검사는 3시간 이내에 신속히 판정을 요구하는 경우 매우 예민하고 특이도가 우수한 검사 방법이나 소아의 경우 3시간째의 예민도가 너무 낮기 때문에 CLO 검사는 6일 지나서 판정함으로서 높은 예민도를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결절성 위염의 위내시경 소견은 신속 요소분해효소 검사가 유용하지 않을 경우 H. pylori 감염을 진단할 수 있는 좋은 지표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홍삼이 정상 흰쥐의 혈압 및 대동맥 조직 소견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Korean Red Ginseng on Blood Pressure and Aortic Vascular(endothelial) Histological Changes in Rats)

  • 주일우;성경화;박정민;류재환;오한진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2권4호
    • /
    • pp.324-331
    • /
    • 2008
  • 1. 1개월, 2개월, 3개월 투여 시 혈압은 세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한국 홍삼군 및 중국 홍삼군은 대조군에 비해 혈압 감소가 나타났다.(P<0.05) 각 군별로 보면 한국 홍삼군의 경우 0-1개월, 1-2개월 사이에 혈압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중국 홍삼 투여군의 경우 0-1개월에만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P<0.05) 2. 1개월 투여 그룹의 경우, 혈관벽 두께는 세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각 군 간의 차이를 비교하였을 때 중국 홍삼군의 경우 다른 두 군에 비해 혈관벽두께 감소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2개월 투여 그룹의 경우, 혈관벽 두께는 세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각 군 간의 차이를 비교하였을 때 중국 홍삼군의 경우 다른 두 군에 비해 혈관벽 두께 증가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3개월 투여 그룹의 경우, 혈관벽 두께는 세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각군 간의 차이를 비교하였을 때 중국 홍삼군의 경우 한국 홍삼군에 비해 혈관벽 두께의 증가가 유의하였으며 대조군에 비해서는 혈관벽 두께 감소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한국 홍삼군의 경우 두 군에 비해 혈관벽 두께의 감소가 유의하였다.(P<0.05) 3. 대동맥 조직 병리 검사 변화상 한국 홍삼군은 모두 대동맥 벽이 잘 유지되어 있고 단층 혈관 내피 세포가 잘 유지되어 있으나, 중국 홍삼의 경우 1개월, 2개월, 3개월 투여시 세포핵의 비후가 비교적 뚜렷하게 관찰되며 세포핵의 방향성(Orientation)과 극성(Polarity)의 소실이 특징적으로 관찰되었고 평활근 섬유가 갈라지거나 찢어진(Split or tearing) 양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상으로, 홍삼 투여 시 혈압 강하 효과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고, 한국 홍삼이 중국 홍삼에 비해 혈압 하강 효과를 좀 더 지속시킬 가능성 및 대동맥 조직 병리 소견 상 혈관 보호 효과에 대한 추론을 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