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idden terminal problem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28초

IEEE 802.11 기반 이동 ad-hoc 망에서 TCP 성능 향상을 위한 적응적 DCF 알고리즘 설계 (Design of Adaptive DCF algorithm for TCP Performance Enhancement in IEEE 802.11 based Mobile Ad-hoc Networks)

  • 김한집;이기라;이재용;김병철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3권10호
    • /
    • pp.79-89
    • /
    • 2006
  • TCP는 신뢰성을 보장하는 전송 프로토콜로서 인터넷 등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전송 방식이다. 하지만 TCP는 유선망에 적합하도록 설계되었기 때문에 무선망에서 TCP를 사용할 경우 성능 저하가 발생된다. TCP의 성능 저하 원인으로는 MAC 계층에서의 무선 매체 경쟁, hidden-terminal 문제와 exposed terminal 문제, 링크 계층에서의 패킷 손실, 불공정성의 문제들과 노드의 이동에 의한 경로 단절시 발생되는 패킷 순서 바뀜 문제와 경로의 단절로 인한 재전송 타이머의 exponential backoff에 의한 대역폭의 낭비 등이 있다. 특히 이동 ad-hoc 망에서는 전송 범위(transmission range)와 간섭범위(interference range)의 불일치로 인해 발생되는 hidden terminal 문제로 인해 동시에 전송할 수 있는 노드의 수가 제한되며 이로 인해 성능저하가 크게 발생된다. 본 논문에서는 IEEE 802.11 기반 이동 ad-hoc 망에서 발생되는 hidden terminal 문제로 인해 노드가 전송을 하지 못하고 CW(contention window)만 크게 증가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MAC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기존의 802.11 MAC의 DCF(distributed coordination function)에서는 전송에 실패할 경우 CW를 지수적으로 증가시키지만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기법은 노드가 전송 실패를 하였을 경우 그 원인에 따라 CW를 적절하게 변화시킴으로 성능 향상을 얻을 수 있다. 이 기법을 사용하면 hidden terminal에 의해 전송을 실패하는 노드에게 공정한 전송 기회를 부여함으로써 TCP 성능 향상을 얻을 수 있음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보였다.

Multirate를 지원하는 애드 혹 무선 망에서의 Hidden Terminal 문제 분석 (Hidden Terminal Problem Analysis in Multirate Ad Hoc Networks)

  • 이민형;유준;김종권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3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2 (3)
    • /
    • pp.478-480
    • /
    • 2003
  • IEEE 802.11 무선 MAC 표준은 물리 계층에서 Multirate를 제공하며. 이를 이용하기 위한 다양한 Rate adaptation 알고리즘들이 제안되었다. 일반적으로 애드 혹 무선 망은 802.11의 MAC을 기반으로 하므로 Multirate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Multirate을 지원하는 상황에서 높은 Data Rate로 통신을 할 경우, 그에 따른 높은 SNR (Signal to Noise Ratio) Threshold가 요구되므로. 기존의 RTS/CTS로는 해결할 수 없는 심각한 Hidden Terminal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Multirate를 지원하는 애드 혹 무선 망에서의 Hidden Terminal 문제를 분석하고 분석의 수치결과를 제시한다. 또한. Hidden Terminal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방안을 제안한다.

  • PDF

An Energy Efficient Multichannel MAC Protocol for QoS Provisioning in MANETs

  • Kamruzzaman, S.M.;Hamid, Md. Abdul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5권4호
    • /
    • pp.684-702
    • /
    • 2011
  • This paper proposes a TDMA-based multichannel medium access control (MAC) protocol for QoS provisioning in mobile ad hoc networks (MANETs) that enables nodes to transmit their packets in distributed channels. The IEEE 802.11 standard supports multichannel operation at the physical (PHY) layer but its MAC protocol is designed only for a single channel. The single channel MAC protocol does not work well in multichannel environment because of the multichannel hidden terminal problem. Our proposed protocol enables nodes to utilize multiple channels by switching channels dynamically, thus increasing network throughput. Although each node of this protocol is equipped with only a single transceiver but it solves the multichannel hidden terminal problem using temporal synchronization. The proposed energy efficient multichannel MAC (EM-MAC) protocol takes the advantage of both multiple channels and TDMA, and achieves aggressive power savings by allowing nodes that are not involved in communications to go into power saving "sleep mode". We consider the problem of providing QoS guarantee to nodes as well as to maintain the most efficient use of scarce bandwidth resources. Our scheme improves network throughput and lifetime significantly, especially when the network is highly congested.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our proposed scheme successfully exploits multiple channels and significantly improves network performance by providing QoS guarantee in MANETs.

다중 홉 수중 음향 센서네트워크를 위한 MAC 프로토콜 설계 (Developing a new MAC Protocol for Multi-hop Underwater Acoustic Sensor Networks)

  • 임찬숙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97-103
    • /
    • 2008
  • 최근에 제안된 수중 음향 센서 네트워크용 MAC 프로토콜인 T-Lohi는 저가형 음향 모뎀들이 밀집되어 구성된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도록 설계된 프로토콜이다. 그러나 T-Lohi는 각 노드들이 모든 노드들의 신호를 수신할 수 없어 멀티 홉 라우팅이 필요한 네트워크에서 사용될 때 hidden terminal 문제로 인해 많은 패킷 충돌이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T-Lohi처럼 톤을 사용하여 전력 소모에 있어서의 경제성을 추구하면서도 RTS/CTS handshaking을 통해 hidden terminal 문제를 해결한 새로운 MAC프로토콜을 제안한다. 모의실험 결과는 새로운 MAC프로토콜이 T-Lohi와 비교했을 때 패킷 손실을 훨씬 줄이면서도 좋은 네트워크 활용률을 달성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 PDF

Adaptive Range-Based Collision Avoidance MAC Protocol in Wireless Full-duplex Ad Hoc Networks

  • Song, Yu;Qi, Wangdong;Cheng, Wenchi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3권6호
    • /
    • pp.3000-3022
    • /
    • 2019
  • Full-duplex (FD) technologies enable wireless nodes to simultaneously transmit and receive signal using the same frequency-band. The FD modes could improve their physical layer throughputs. However, in the wireless ad hoc networks, the FD communications also produce new interference risks. On the one hand, the interference ranges (IRs) of the nodes are enlarged when they work in the FD mode. On the other hand, for each FD pair, the FD communication may cause the potential hidden terminal problems to appear around the both sides. In this paper, to avoid the interference risks, we first model the IR of each node when it works in the FD mode, and then analyze the conditions to be satisfied among the transmission ranges (TRs), carrier-sensing ranges (CSRs), and IRs of the FD pair. Furthermore, in the media access control (MAC) layer, we propose a specific method and protocol for collision avoidance. Based on the modified Omnet++ simulator, we conduct the simulations to validate and evaluate the proposed FD MAC protocol, showing that it can reduce the collisions effectively. When the hidden terminal problem is serious, compared with the existing typical FD MAC protocol, our protocol can increase the system throughput by 80%~90%.

A simulation study on TCP performance for constrained IoT networks

  • Chansook, Lim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5권1호
    • /
    • pp.1-7
    • /
    • 2023
  • TCP is considered a major candidate transport protocol even for constrained IoT networks due to its ability to integrate into the existing network infrastructures. Since TCP implementations such as uIP TCP often allow only a single TCP segment per connection to be unacknowledged at any given time due to resource constraints, the congestion control relies only on RTO management. In our previous work, to address the problem that uIP TCP performs poorly particularly when a radio duty cycling mechanism is enabled and the hidden terminal problem is severe, we proposed a RTO scheme for uIP TCP and validated the performance through Cooja simulation.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effect of other factors that were not considered in our previous work. More specifically, the effect of traffic intensity, the degree of the hidden terminal problem, and RDC is investigated by varying the offered load and the transmission range, and the RDC channel check rate. Simulation results imply that we need to further investigate how to improve TCP performance when the radio duty cycling mechanism is used.

무선 인지 애드 혹 네트워크를 위한 휴지 노드를 활용하는 효율적인 다중 채널 MAC 프로토콜 (An Efficient Multi-Channel MAC Protocol for Cognitive Ad-hoc Networks with Idle Nodes Assistance)

  • 디니쉬 고텀;구인수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39-45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무선 인지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 다중 채널 숨겨진 지국 문제(hidden terminal problem)를 해결하고 네트워크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이웃 휴지 노드(idle node)들을 활용하는 효율적인 다중 채널 MAC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각 노드가 단일 송수신기를 갖고, 제어 메시지 교환을 위한 공동 제어 채널을 활용하는 무선 인지 애드 혹 네트워크에 활용될 수 있다. 특히, 제안된 알고리즘에서는 데이터를 교환하고자 하는 통신 노드들이 한 홉(hop) 밖에서 사용되고 있는 데이터 채널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이웃 휴지 노드들을 활용하여 데이터 채널을 선택함으로써 다중 채널 숨겨진 지국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된 알고리즘이 중 채널 숨겨진 지국 문제를 최소화하고 2차 사용자간의 데이터 채널 선택시 발생하는 출돌(collision)을 줄임으로써 네트워크의 처리율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보였다.

무선 애드혹 네트워크에서 수신자 중심 캐리어 센싱 기법 (A Receiver-Centric Carrier Sense Technique for Wireless Ad Hoc Networks)

  • 유준;김종권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37권4호
    • /
    • pp.307-311
    • /
    • 2010
  • 대부분의 애드혹 네트워크에서는 데이터 송신자가 채널 검사를 통해 전송 방법을 결정하는 송신자 중심의 캐리어 센싱 (carrier sensing)을 사용한다. 그러나 데이터 송신자 중심의 캐리어 센싱은 물리적 (physical) 캐리어 센싱과 가상 (virtual) 캐리어 센싱을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노출 터미널 문제(exposed terminal problem)와 숨겨진 터미널 문제 (hidden terminal problem)를 모두 야기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데이터 수신자가 지역적 채널 검사를 통해 패킷 전송을 시도하는 새로운 수신자 중심 캐리어 센싱 기법을 제안한다. 수학적 분석과 시뮬레이션 평가를 통해 본 논문에서 제안한 수신자 중심 캐리어 센싱 기법이 기존에 제안된 수신자 중심 센싱 기법에 비해 20.9% 이상의 성능 향상을 보인다.

홈 네트워크에서 고효율 전송을 위한 Zigbee Beacon Frame 설계 (Design of Zigbee Beacon Frame for High Efficiency Transmit in Home Network)

  • 한경헌;한승조;최현용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6권11B호
    • /
    • pp.1373-1382
    • /
    • 2011
  • 무선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넓은 확장성과 저전력이 통신이 기능한 Zigbee는 홈 네트워크에서 가장 이상적인 통신기술이다. 하지만 Zigbee는 숨겨진 단말 문제와 전송 지연 문제를 항상 가지고 있어 무선 홈 네트워크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지 못하고 있다. 이런 Zigbee가 가지고 있는 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프레임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프레임은 슈퍼프레임 구간을 줄여서 생기는 공간에 제어 프레임 구간을 추가하는 구조를 이루어져 있다. 새롭게 구성된 제어프레임 구간에서는 제어프레임을 이용하여 단말의 상태 정보를 교환하여 숨겨진 단말 문제를 해결할 것으로 예상한다. 또한 제어 프레임 구간과 슈퍼 프레임 구간사이에 동기화에 사용되는 비콘을 넣어 하위 계층에서 발생하는 전송 지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예상한다. 제안하는 프레임이 숨겨진 단말 문제와 전송 지연 문제를 해결하였는지 확인하기 위해 OPNET을 통해 Zigbee Qos Parameter 환경에서 시뮬레이션을 하였다. 전송 지연 문제를 해결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전송지연시간을 측정하였으며, 숨겨진 단말 문제를 해결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전송률과 처리율을 측정하였다.

Tone Dual-Channel Directional MAC Protocol for Mobile Ad-Hoc Networks

  • Jwa, Jeong-Woo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7권2호
    • /
    • pp.6-10
    • /
    • 2011
  • The directional MAC (DMAC) protocol improves the spatial reuse, but directional packets on the control channel cause the deafness problem. In this paper, we propose a tone dual-channel DMAC protocol for mobile ad-hoc networks. In the proposed MAC protocol, the use of omnidirectional transmissions using an omnidirectional out-of-band tone solves the deafness problem and decrease packet collisions on the control channel. The use of an omnidirectional out-of-band tone also mitigates the hidden terminal problem. We use the negative CTS (NCTS) mechanism to solve the exposed terminal problem. The throughput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AC protocol is confirmed by simulations using the Qualnet simula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