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terogeneous computing resources

검색결과 78건 처리시간 0.031초

이질적인 네트워크 환경에서 MPEG 비디오 서비스를 위한 미디어 계층화 기법 (Media Scaling Technology for MPEG Video Service on Heterogeneous Network Environment)

  • 유우종;이흥기;이성인;이중인;유관종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7권12호
    • /
    • pp.3896-3909
    • /
    • 2000
  • 연속성과 대용량의 특징을 가지는 MPEG을 이용한 비디오 서비스에서는 대용량의 네트워크 대역폭을 필요로 하게 된다.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이질적인 네트워크 환경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동일한 비디오 스트림을 이용하여 모든 사용자에게 서비스 한다는 것은 네트워크 자원의 효율성 측면에서 상당한 낭비가 있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비디오 서비스를 요청한 사용자의 환경을 고려하여 그에 적절한 용량의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기술이 비디오 서비스 시스템에 필요로 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불필요한 네트워크 자원의 낭비를 막으면서 사용자에게 적절한 MPEG 비디오 스트림을 서비스 해주기 위해, TFS기법을 이용하여 MPEG 비디오 스트림을 계층화 시킨 후 네트워크 QoS에 따라 선택적으로 전송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모델을 이질적인 환경을 갖는 망들이 서로 연동되는 인터넷에 적용하여 인터넷 VOD 나 인터넷 방송 등의 서비스에 응용한다면, 대역폭 변화를 동적으로 반영하며 실시간으로 비디오 서비스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할 수 있고, 불필요한 통신 자원의 낭비를 막음으로써 통신 자원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스마트 디바이스로 구성된 클러스터를 위한 상대속도 기반 작업 분배 기법 (Relative Speed based Task Distribution Algorithm for Smart Device Cluster)

  • 이재훈;강수용
    •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60-71
    • /
    • 2017
  • 스마트 폰, 스마트 TV, 스마트 패드 등의 스마트 디바이스는 최근 없어서는 안 될 필수적인 기기가 되었다. 인기가 많아지고 수요가 늘어감에 따라 스마트 디바이스의 성능 또한 점차 좋아져 교육, 비즈니스 등 많은 일을 처리하기 위해 번거로운 데스크탑 PC 대신 스마트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사용자들이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성능이 좋아졌다해도 여전히 데스크탑 PC에 비해 부족한 성능을 지닌 스마트 디바이스는 제한된 자원으로 인해 고성능을 요구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자원 제한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주변 스마트 디바이스의 자원 활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과 고려해야 할 사항에 대해 살펴보고, 스마트 디바이스의 특성을 적용한 작업 분배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알고리즘을 검증하기 위해 안드로이드 플랫폼 내 분산 처리 시스템 서비스를 추가 후 알고리즘을 구현하였고, 스마트 디바이스에 탑재해 클러스터를 구성 후 다양한 실험을 진행했다. 실험 결과 분석을 통해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노드 간 성능이 균일하지 않은 클러스터에서도 각 노드의 성능을 파악해 서로 다른 양의 작업을 분배함으로써 전체적인 분산 처리 성능이 효율적으로 향상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로컬 2단계 브로커를 이용한 그리드 자원 할당 시스템 구현 및 설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Grid Resource Allocation System Usinn the local two-level Broker)

  • 김경수;이관옥;김법균;황호전;안동언;정성종;두길수;장행진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2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3)
    • /
    • pp.107-110
    • /
    • 2002
  • A grid computing environment is one in which applications can be built over multiple resource nodes at widespread geographic locations. Grid environments seek to integrate and enable access to widely distributed compute resources. The compute resources in a grid environment are typically heterogeneous, with varying qualify and availability Hence, how computations are allocated to individual resources is extremely important in the design of a grid. This paper j\ulcorners concerned with resource management for metacomputing. We describe a resource management architecture using the two-level resource broker.

  • PDF

그리드 환경에서 분산된 자원을 이용한 다단 로켓의 유동해석 (Flow Analysis of Multi-stage Rocket using Heterogeneous Resources based on Grid Environment)

  • 고순흠;정명우;김종암;노오현;이상산
    • 한국전산유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유체공학회 2002년도 추계 학술대회논문집
    • /
    • pp.78-93
    • /
    • 2002
  • 통신 기술의 비약적 발전에 힘입어 기존의 Parallel Computing만으로는 해석할 수 없었던 거대 규모의 문제를 원격지에 있는 고성능의 자원간 연동을 통해 해석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중이며, 이와 같은 개념을 Grid Computing이라 한다. 본 연구에서는 Grid 환경을 이용한 CFD 해석 방안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이를 위하여 분산된 컴퓨팅 자원을 다양하게 조합하여 Grid 환경에서의 Load Balancing을 위한 병렬 효율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리고, 다양한 성능 테스트의 결과를 기반으로 Grid 환경에서 두 개의 보조 부스터를 가지는 병렬형 다단 로켓에 대한 유동 해석을 수행하였다.

  • PDF

Energy Aware Task Scheduling for a Distributed MANET Computing Environment

  • Kim, Jaeseop;Kim, Jong-Kook
    •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11권4호
    • /
    • pp.987-992
    • /
    • 2016
  • This study introduces an example environment where wireless devices are mobile, devices use dynamic voltage scaling, devices and tasks are heterogeneous, tasks have deadline, and the computation and communication power is dynamically changed for energy saving. For this type of environment, the efficient system-level energy management and resource management for task completion can be an essential part of the operation and design of such systems. Therefore, the resources are assigned to tasks and the tasks may be scheduled to maximize a goal which is to minimize energy usage while trying to complete as many tasks as possible by their deadlines. This paper also introduces mobility of nodes and variable transmission power for communication which complicates the resource management/task scheduling problem further.

An Adaptively Speculative Execution Strategy Based on Real-Time Resource Awareness in a Multi-Job Heterogeneous Environment

  • Liu, Qi;Cai, Weidong;Liu, Qiang;Shen, Jian;Fu, Zhangjie;Liu, Xiaodong;Linge, Nigel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1권2호
    • /
    • pp.670-686
    • /
    • 2017
  • MapReduce (MRV1), a popular programming model, proposed by Google, has been well used to process large datasets in Hadoop, an open source cloud platform. Its new version MapReduce 2.0 (MRV2) developed along with the emerging of Yarn has achieved obvious improvement over MRV1. However, MRV2 suffers from long finishing time on certain types of jobs. Speculative Execution (SE) has been presented as an approach to the problem above by backing up those delayed jobs from low-performance machines to higher ones. In this paper, an adaptive SE strategy (ASE) is presented in Hadoop-2.6.0. Experiment results have depicted that the ASE duplicates tasks according to real-time resources usage among work nodes in a cloud. In addition, the performance of MRV2 is largely improved using the ASE strategy on job execution time and resource consumption, whether in a multi-job environment.

Global Manager - A Service Broker In An Integrated Cloud Computing, Edge Computing & IoT Environment

  • Selvaraj, Kailash;Mukherjee, Saswati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6권6호
    • /
    • pp.1913-1934
    • /
    • 2022
  • The emergence of technologies like Big data analytics, Industrial Internet of Things, Internet of Things, and applicability of these technologies in various domains leads to increased demand in the underlying execution environment. The demand may be for compute, storage, and network resources. These demands cannot be effectively catered by the conventional cloud environment, which requires an integrated environment. The task of finding an appropriate service provider is tedious for a service consumer as the number of service providers drastically increases and the services provided are heterogeneous in the specification. A service broker is essential to find the service provider for varying service consumer requests. Also, the service broker should be smart enough to make the service providers best fit for consumer requests, ensuring that both service consumer and provider are mutually beneficial. A service broker in an integrated environment named Global Manager is proposed in the paper, which can find an appropriate service provider for every varying service consumer request. The proposed Global Manager is capable of identification of parameters for service negotiation with the service providers thereby making the providers the best fit to the maximum possible extent for every consumer request. The paper describes the architecture of the proposed Global Manager, workflow through the proposed algorithms followed by the pilot implementation with sample datasets retrieved from literature and synthetic data. The experimental results are presented with a few of the future work to be carried out to make the Manager more sustainable and serviceable.

Co-allocation 환경의 그리드 시스템에서 통신비용에 따른 스케줄링 알고리즘의 성능 분석 (Performance Evaluation of Scheduling Algorithms according to Communication Cost in the Grid System of Co-allocation Environment)

  • 강오한;강상성;김진석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14A권2호
    • /
    • pp.99-106
    • /
    • 2007
  • 지역적으로 분산되어 있는 이기종의 시스템들을 하나로 묶어 사영하는 그리드 컴퓨팅이 차세대 병렬.분산 연산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관심을 끌고 있다. 고속 네트워크로 연결된 다수의 컴퓨터 시스템이 사용자에게 통합된 가상의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그리드 시스템은 통신비용에 대한 중요성이 매우 크다. 따라서 그리드 환경에서 스케줄링 알고리즘은 작업의 실행시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자원들의 연산능력과 함께 통신에 대한 비용을 고려하여야 한다. 그러나 현재까지 발표된 대부분의 스케줄링 알고리듬들은 작업이 한 클러스터에서 처리되는 것을 가정함으로써 통신비용을 무시하였으며, 작업이 다수의 클러스터에 분산되어 처리되는 경우에도 통신비용에 관한 오버헤드를 고려하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그리드 시스템에 적합한 기존 스케줄링 알고리즘들의 성능을 분석하였으며, 작업이 다수의 클러스터에 분산되어 수행되는 co-allocation 환경에서 통신비용을 고려하여 알고리즘들의 성능을 비교하고 분석하였다.

그리드 시스템을 위한 포인트 기반 스케줄링 알고리즘 (A Point-based Scheduling Algorithm for GRID Environment)

  • 오영은;김진석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32권11_12호
    • /
    • pp.639-645
    • /
    • 2005
  • 과학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대량의 정보를 분석하고 처리하기 위해 대두된 그리드 시스템은 이질적인 시스템 위에 구축된 환경이므로 사용자 작업을 효율적으로 할당하기 위한 스케줄링 알고리즘이 필요하다. 현재까지 여러 스케줄링 알고리즘이 연구되어 왔지만, 대부분 자원 사이의 네트웍 대역폭을 고려하지 않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글로벌 그리드 시스템에서의 스케줄링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또한 글로벌 그리드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여러 알고리즘의 점수를 각각 계산하여 가장 점수가 낯은 알고리즘을 선택하는 포인트 기반 스케줄링 알고리즘을 제안하였으며,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다른 스케줄링 알고리즘보다 성능이 뛰어남을 보였다.

Why Dynamic Security for the Internet of Things?

  • Hashemi, Seyyed Yasser;Aliee, Fereidoon Shams
    • Journal of Computing Science and Engineering
    • /
    • 제12권1호
    • /
    • pp.12-23
    • /
    • 2018
  • The Internet of Things (IoT) ecosystem potentially includes heterogeneous devices with different processing mechanisms as well as very complicated network and communication models. Thus, analysis of data associated with adverse conditions is much more complicated. Moreover, mobile things in the IoT lead to dynamic alteration of environments and developments of a dynamic and ultra-large-scale (ULS) environment. Also, IoT and the services provided by that are mostly based on devices with limited resources or things that may not be capable of hosting conventional controls. Finally, the dynamic and heterogeneous and ULS environment of the IoT will lead to the emergence of new security requirements. The conventional preventive and diagnostic security controls cannot sufficiently protect it against increasing complication of threats. The counteractions provided by these methods are mostly dependent on insufficient static data that cannot sufficiently protect systems against sophisticated and dynamically evolved attacks. Accordingly, this paper investigates the current security approaches employed in the IoT architectures. Moreover, we define the dynamic security based on dynamic event analysis, dynamic engineering of new security requirements, context awareness and adaptability, clarify the need for employment of new security mechanism, and delineate further works that need to be conducted to achieve a secure I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