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rd immunity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3초

한국 코로나19 유행기에 대한 제안 (Suggestions for Setting on Period of Epidemic Waves in COVID-19 Epidemic of South Korea)

  • 이무식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7권2호
    • /
    • pp.61-66
    • /
    • 2022
  • Objectives: In the epidemiology of communicable diseases, the term epidemic period, also referred to as "wave" is often used in the general and academic milieu. A wave refers to a natural pattern of increase in the number of sick individuals, a defined peak, and then a decline in the number of cases. It implies a pattern of peaks and valleys after a particular peak is taken. The idea of epidemic waves is a useful tool for predicting the course as well as helping to accurately describe an epidemic. However, in many domestic and foreign news as well as in various research results in Korea, most of the reports either had no standard, were inaccurate, had a questionable classification of the period of the epidemic, or the basis for classification of a given wave was not presented. Methods: The author reviewed and organized related literature with epidemic wave. The author made several suggestions of an epidemic wave as follows. Results: To start with, it should be based on the number of incident cases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outbreak, then the period from the bottom to the peak and then reaching the next bottom; also, the period over a certain scale based on the number of incident cases; and the period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major infection type (mutation-dominant species).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eriod of change in the vaccination rate (formation of herd immunity), as well as the content and duration of the intervention, that is,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applied quarantine stage. Furthermore, the classification of epidemic periods by the time-dependent reproduction number or time-varying reproduction number (Rt), and lastly the application of mathematical methodology. Conclusions: Therefore, classifying the epidemic period into generally known and accepted time frames is considered to be a very important task for future research analysis and development of intervention strategies.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of SARS-CoV-2 That Hinder Effective Control

  • Seongman Bae;Joon Seo Lim;Ji Yeun Kim;Jiwon Jung;Sung-Han Kim
    • IMMUNE NETWORK
    • /
    • 제21권1호
    • /
    • pp.9.1-9.8
    • /
    • 2021
  •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transmission that makes it difficult to control are 1) asymptomatic and presymptomatic transmission, 2) low incidence or lack of dominant systemic symptoms such as fever, 3) airborne transmission that may need a high infectious dose, and 4) super-spread events (SSEs). Patients with COVID-19 have high viral loads at symptom onset or even a few days prior to symptom onset, and most patients with COVID-19 have only mild respiratory symptoms or merely pauci-/null-symptoms. These characteristics of the virus enable it to easily spread to the community because most patients are unaware of their potential infectivity, and symptom-based control measures cannot prevent this type of transmission. Furthermore,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 (SARS-CoV-2) is also capable of airborne transmission in conditions such as aerosol-generating procedures, under-ventilated indoor spaces, and over-crowded areas. In this context, universal mask-wearing is important to prevent both outward and inward transmission until an adequate degree of herd immunity is achieved through vaccination. Lastly, the SSEs of SARS-CoV-2 transmission emphasize the importance of reducing contacts by limiting social gatherings. The above-mentioned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of SARS-CoV-2 have culminated in the failure of long-lasting quarantine measures, and indicate that only highly effective vaccines can keep the communities safe from this deadly, multifaceted virus.

성인기의 홍역 특이 IgG (Measles Specific IgG in Adults)

  • 최정훈;신영규;정지태;독고영창;윤재균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6권2호
    • /
    • pp.245-252
    • /
    • 1999
  • 목 적 : 우리나라 성인을 대상으로 홍역 특이 IgG 항체의 혈중 농도를 측정하여 각 연령층의 홍역특이 IgG 항체의 양성들과 항체 역가를 알아봄으로써 우리 나라의 홍역 집단 면역의 실태를 파악하고 궁극적으로 홍역 퇴치를 위한 자료를 제시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97년 6월부터 7월까지 고대 안산 병원 외래 검사실을 방문한 20세 이상의 성인 156명(남 78, 여 78)을 대상으로 혈액을 채취하여 효소결합흡착검사(ELISA)로 홍역 특이 IgG를 측정하였다. 검사는 SIATM Measles IgG kit(Sigma Co. St Louis)를 이용하였으며, 홍역 특이 IgG의 농도는 정해진 방법에 따라 110AU/ml 이상인 경우 항체 양성으로 판정하였다. 결 과 : 1) 홍역 특이 IgG 항체 양성률은 전체적으로 94.9% 였고, 연령 별로는 20대 90.3%, 30대 96.9%, 40대 96.7%, 50대 95.5%, 60대 94.7%, 70대 95.5% 였으며, 연령별 항체 양성률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2) 전체 대상자들의 평균 홍역 항체 역가(평균${\pm}$표준편차, AU/ml)는 전체적으로 $238{\pm}84$이었으며, 연령별로 20대 $251{\pm}117$, 30대 $208{\pm}72$, 40대 $235{\pm}82$, 50대 $268{\pm}76$, 60대 $232{\pm}58$, 70대 $240{\pm}67$ AU/ml 등이었으며, 30대에서 평균 홍역 항체 역가가 다른 연령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으나, 연령증가와 평균 홍역 항체 역가사이의 상관관계는 없었다. 결 론 : 성인기의 홍역 특이 IgG 양성률은 94.9%였으며, 연자들의 이전의 연구에서 나타난 소아 및 청소년기의 항체 양성률에 비해 성인층에서의 홍역에 대한 집단 연역이 높은 수준임을 보여주었다. 성인중 홍역 항체 음성률이 소아 및 청소년에 비해 낮고 또한 성인층에서 항체 음성인 경우에 대한 대책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만큼 앞으로는 백신 접종세대인 소아 및 청소년기의 홍역 유행의 주요 문제인 일차 백신 실패를 최소화하기 위한 더욱 더 많은 노력이 기울여 져야 할 것이다.

  • PDF

2000-2001년 동안 발생한 홍역 환아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Features of Patients with Measles during 2000-2001)

  • 안성연;박수은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5권8호
    • /
    • pp.980-986
    • /
    • 2002
  • 목 적 : 예방접종의 도입이후 발생이 현저히 감소를 보이다가 1989-1990년, 1993-1994년의 유행에 이어 2000년부터 2001년까지 다시 홍역의 대유행이 있었다. MMR 접종이 시행된 후 일정 기간이 경과한 뒤인 최근 유행의 특징은 특히 홍역백신 접종 이전의 어린 영아와 이전에 접종했던 소아에서 발생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인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2000-2001년에 발생한 홍역 환자들을 대상으로 임상소견을 조사함으로서 이전 유행과 비교해보고 접종 실패의 원인에 대해 분석해 보고자 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2000년 1월부터 2001년 10월까지 홍역으로 부산대학교병원 소아과에 입원한 환자의 의무기록을 조사하여 이들의 연령, 월별 분포, 예방접종 여부, 합병증 등을 조사하였다. 예방접종 시행여부에 따라 접종군과 비접종군으로 나누어 연령 분포 및 항체양성률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항체가는 발진이 나타난 후 5일 이내에 혈청에서 홍역 특이 IgM과 IgG 항체를 EIA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결 과 : 1) 발병 연령은 2세 이하가 43명(72.9%), 5세 이상이 14명(23.7%)으로 이분화되는 소견을 보였다. 이중12개월 이하의 영아는 28명으로 47.5%에 해당하였다. 2) 예방접종률은 접종력이 있는 환아는 18명(30.5%)이었고 접종력이 없는 환아는 41명(69.5%)이었다. 접종군과 비접종군의 평균 나이는 각각 $9.25{\pm}4.27$세, 0.95{\pm}0.30$세였다. 3) 연령 분포별 예방접종 여부는 2세 이하의 발병에서는 43명 중 41명이 비접종자였으며 2세 이상의 발병에서는 모두에서 MMR의 접종력이 있었다. 4) 혈청검사를 시행한 환아에서 IgM의 양성은 접종군 15명 중에서 13명(86.7%), 비접종군 31명 중에서 28명(90.3%)이었다. 홍역 특이 IgG 항체의 양성은 접종군과 비접종군에서 각각 11명(73.3%), 13명(41.9%)으로 나왔으며 IgG 항체가는 접종군에서는 평균 $3.48{\pm}3.28$, 비접종군에서는 $1.36{\pm}1.32$로 접종군에서 높게 나왔다. 5) 유행기간 동안의 합병증은 호흡기계가 44.0%, 위장관계 15.2%, 경부 임파절 종대 13.5%, 구강내 궤양 3.4% 순으로 나타났으며, 2례(3.4%)가 호흡기 합병증으로 사망하였다. 결 론 : 본 연구에서 홍역에 이환된 환아 중 예방접종군에서 IgM 항체의 양성률이 86.7%로 나온 것은 1차 백신 실패가 임상적으로 중요한 문제임을 의미한다. 1차 백신 실패와 미접종으로 인한 홍역의 이환을 극복하고 국내 홍역 발생의 근절을 위해서는 적극적인 홍보를 통한 소아에서의 1, 2차 홍역백신 접종률을 높게 유지하는 것이 필수적이며, 현재 접종연령(9개월) 미만의 미접종 영아의 경우에 홍역에 감수성이 높기 때문에 환자 발생을 철저히 감시하여 유행기에는 이들의 홍역감염 예방에 특별한 주의를 기울여야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