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lmet

검색결과 258건 처리시간 0.023초

헬멧의 충격응답 분석을 위한 단순진동 모델 (A Simple Vibration Model for the Imapct Response Analysis of a Helmet)

  • 최명진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68-74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헬멧의 충격응답을 분석하기 위한 단순진동모델을 제시하였다. 실제 헬멧 설계 및 검증과정에서 사용하는 데이터에 기반을 두고 단자유도 진동모델을 채택하였다. 충격에 의한 과도진동응답을 산출하여, 헬멧의 감쇠, 고유진동수, 충돌속도와 같은 인자들이 헬멧의 충격응답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최대 G-가속도는 감쇠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고, 감쇠비가 0.6 이상이 되면 최대 가속도의 값은 변화가 없었다. 고유진동수와 충돌속도에 관하여는 선형적으로 증가하였다. 두부 상해기준(Head Injury Criterion, HIC) 과 최대가속도의 관계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해석모델이 고품질 경량화 헬멧의 설계과정에서 경제성 제고에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소비자 맞춤형 개념설계 및 쿠션부 충격해석을 통한 외피형 에어백 헬멧 개발 (Development of Skin Type Airbag Helmet through Consumer Oriented Concept Design and the Cushion Part's Impact Analysis)

  • 정인덕;이용문;오미옥;김승철;이태구;강명창
    • 한국기계가공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101-108
    • /
    • 2016
  • This study was initiated to minimize head injuries, which is the largest cause of increased external activity, traffic accident injuries, and death. We developed a low cost airbag that can be covered by a safety helmet based on consumer needs. The results of the survey showed that safety is the most important aspect of consumers' safety helmets. It also predicted that increasing the weight would present the biggest problem. Curved airbag cushion parts that can be attached to a helmet and the sensor part of a block type were designed. Impact analysis was performed by specifying the pressure inside the airbag and the volume of the airbag as variables.

아두이노를 이용한 스마트 LED 사이클링 헬멧 (Smart LED Cycling Helmet using Arduino)

  • 안성우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86-389
    • /
    • 2016
  • 현대인들의 건강 및 환경에 대한 관심 증대로 레저, 스포츠, 교통수단으로 사이클링을 즐기는 인구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관련법규와 안전에 대한 인식 미비로 자전거 사고도 함께 늘어나고 있다. 특히 저녁시간에 도로를 달리는 자전거는 훨씬 그 위험성이 크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에 착안하여 사이클링 시에 사고의 위험을 줄이기 위한 스마트 LED 사이클링 헬멧을 제작한다. 외부에 자전거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자전거 헬멧에 LED를 부착하고 아두이노 보드로 제어를 한다. 자전거의 움직임 정보는 스마트폰앱과 블루투스 무선 통신을 통해 스마트폰의 센서 정보를 활용하여 표시한다.

  • PDF

방탄헬멧의 노화인자에 관한 연구 : 고온 환경 처리를 중심으로 (A Study for Aging Factor of Bulletproof Helmet : High Temperature Treatment)

  • 박호연;구승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332-339
    • /
    • 2020
  • 본 연구는 방탄헬멧의 저장 수명을 설정하기 위한 선행연구로 방탄헬멧의 노화인자에 대해 고찰해보았다. 방탄헬멧의 노화인자를 추정하기 위해 미군 방탄헬멧 구매요구서상의 환경 처리, 재료의 재질 등에서 공통적으로 요구하는 환경 처리에 관한 내용을 고려하여 '온도' 인자가 방탄헬멧의 수명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수립하였다. 이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방탄헬멧의 고온 가속 환경 처리를 수행하고 아레니우스 식을 적용하여 고온에 따른 수명을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방탄성능과 고온 환경 처리 간 음(-)의 상관관계를 확인했으며, 아레니우스 모델을 활용하여 수명을 도출해냄으로써 노화인자로서의 온도의 영향성은 크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 시험 대상이 가지고 있는 특수성(군수품)으로 인해 다양하고 많은 시료수를 확보하지 못했다는 것을 들 수 있다. 하지만 방탄헬멧의 수명 관련 연구가 진행되지 않았음을 고려할 때 이에 대한 선행연구를 수행했다는 데에서 본 연구가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으며, 한국군 방탄헬멧 규격의 개선에 대한 검토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echnology Trends for Developing Helmet Patents

  • Kwon, JuYoun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501-517
    • /
    • 2015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echnology trend on developing helmets based on the analysis of Korean, US, European and PCT patents. Background: The usage of the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such as the safety helmet would be essential for preventing injuries and reducing the severity of injuries depending on the type of activity and the exposed environment. Method: Database of WIPSON was used for searching the patents. The objects were the Korean, US, European and PCT patents registered or opened from January 2011 to December 2014. The keyword to investigate was helmet, and International Patent Classification (IPC) was used for investigating the technology trend of the patents. Results: The cases of US patents annually increased, but the cases of European patents decreased. US patents belonged to all sections but Korean and European patents and PCT patents did not. The largest number of IPC, to which four areas' patents belonged, was 'Headwear' and the second largest one was 'Hygiene'. In the subgroup level, the most common largest subgroups were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and 'Masks, shields, or hoods for welders'. Korean patents had the lowest ratio of single_IPC at 11%, but the ratios of single_IPC for US and European patents were 52%, respectively. 'Human necessities', 'Mechanical engineering', 'Physics', and 'Electricity' were used as a single_IPC, but lower levels of 'Performing operations', 'Chemistry', 'Textiles' and 'Fixed constructions' were used as multi_IPC. Most main applicants had patents which belonged to 'Human necessities'. Conclusion: The cases of US patents annually increased unlike others. The common technologies for creating the helmet were Parts of helmets under Headwear and Shields for welders under Hygiene. Many Korean patents tended to be categorized as multi_IPC, different from others. Application: To know the technological characteristic of patents would be helpful to initial stage developers.

손오공 머리띠를 이용한 간편한 사두증 치료결과 평가방법 (A Simple Evaluation Method Using a "Sun-Wukong's Headband" Wire for Positional Plagiocephaly Correction after Cranial Remodeling Helmet Therapy)

  • 김찬우;이영배;박대환
    •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8-32
    • /
    • 2011
  • Purpose: A cranioremodeling helmet for correcting plagiocephaly was recently developed. However, no discrete objective methods to evaluate how the deformity is being corrected have been developed. We have established an easy and cost-effective method that can be used not only to show the correction process, but can also be used by physicians to assess the degree of plagiocephaly two-dimensionally. Methods: For two-dimensional evaluation, a length of malleable memory wire (2 mm in diameter) resembling "Sun-Wukong's headband" was placed on the patient's head. The wire around the patient's head was positioned on a plane including points 1 cm above the eyebrow and 1 cm above the auricle. The wire was placed on a sheet of paper and the outline was marked using pens of various colors during each visit. The degree of plagiocephaly correction could then be shown to the patient's parents at every consultation. Results: The method established by the present study easily shows the horizontal cross-section transformation of the head, illustrates plagiocephaly correction by the helmet, and shows the degree of correction in a two-dimensional manner. Conclusion: A soft-shell helmet is widely used for correcting plagiocephaly. However,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the helmet has been determined in a subjective manner, and a more objective method is now in demanded. Our study found that a "Sun-Wukong's headband" wire can accurately measure two-dimensional changes. Future studies will be required to identify landmarks needed for assessing plagiocephaly correction.

이동체 내의 헬멧 방위각 추적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a Helmet Azimuth Tracking System in the Vehicle)

  • 이지훈;정해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4권4호
    • /
    • pp.529-535
    • /
    • 2020
  • 적군의 화력에 대비하여 사방이 철갑으로 둘러싸인 장갑차에서 조종수의 외부시야 확보가 필수적이다. 이를 위하여 차량에 360도 회전 가능한 감시카메라를 장착한다. 이 때 헬멧을 착용한 조종수의 머리 방향을 인식하여 외부의 카메라도 정확하게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것이 관건이다. 본 논문에서는 MEMS 기반의 AHRS 센서와 조도 센서를 사용하여 기존의 광학적 방식이 가지고 있는 단점을 보완하고, 저렴하게 구현하는 방안을 소개한다. 핵심 아이디어는 카메라의 위치에 장착된 센서와 헬멧에 장착된 센서가 검출하는 오일러 각의 차이를 이용하여 카메라의 방향을 설정하고, 센서의 드리프트 오차를 제거하기 위해 수시로 조도 센서로 보정하는 것이다. 구현된 시작품 통하여 조종수가 바라보는 방향으로 카메라의 방향이 정확하게 일치되는 것을 보여줄 것이다.

다중센서 및 아두이노를 활용한 Personal Mobility 스마트헬멧 (Personal Mobility Safety Helmet Device using Multi-Sensor and Arduino)

  • 김대현;양원영;한동욱;함주민;이붕주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723-730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Personal Mobility에 사용되는 스마트헬멧의 안전성 보강을 제안한다. 주요 내용은 헬멧이 안전 신호를 보낼 수 있도록 아두이노를 베이스로 사용하여 초음파 센서를 활용한 거리별, 각도별 변화에 따라 센서의 값을 설정하여 오차를 최소화하여 원활한 인식이 되도록 하였다. 또한, 자이로센서를 활용하여 각 기울기에 따른 방향지시등이 점등되도록 하였다. CDS 센서를 이용하여 야간에 150 lux 이하로 내려갈 시 LED가 점등되도록 설계하였다. 최종적으로 5cm 이내에서 헬멧 착용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평균속도 주행 시 10도에서 방향지시등이 점등되며, 150lux 이하에서 LED가 점등됨을 확인하였다.

선박 내 스마트 안전모 및 환경 센서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Smart Safety Helmets and Environmental Sensors in Ships)

  • 김도형;하연철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24권2호
    • /
    • pp.82-89
    • /
    • 2023
  • 선박 구조 특성상 격실 구조는 복잡하고 협소하여 작업 과정에서 안전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사고의 주된 원인은 구조물 충돌, 낙하물, 독성물질 누출, 화재, 폭발, 질식 등이 존재한다. 사고 발생 시 작업자의 현장 상황을 파악하는 것이 피해를 완화하는 요소 중 하나이다. 이에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선박 내 CCTV로 현장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있으나, 기존의 방식으로는 사고를 예방하기엔 어려움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안전 기술로 위치 식별, 음성/영상 통신 기능이 탑재되는 스마트 안전모가 개발 중에 있다. 또한, 작업 구역 내 환경 정보 수집 및 저장기능을 포함한 온도, 습도, 진동, 소음, 기울기(자이로 센서), 가스 센서를 사용하여 스마트 안전모를 착용한 작업자에게 위험 상황을 알릴 수 있다. 이를 통해 스마트 안전모 및 환경 센서의 사용으로 선박 내 작업자의 안전성을 강화할 수 있을 것이다.

추락사고 감소를 위한 안전모의 보호목적과 사용의도에 대한 고찰 (A Study on Protective Purposes and Intents of Use of Safety Helmets as for Reduction of Falls)

  • 김진현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83-89
    • /
    • 2013
  •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provides that industrial safety helmets are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PPE) to protect heads against falls from a height. Relevant domestic regulations are distinguished and different from other countries' cases. This study investigated industrial safety helmet's protective purposes and characteristics related to falls and the notion of fall prevention. A comparative analysis of regulations on safety helmets and fall prevention as well as standards on safety helmet's impact test requirements is followed by a literature review. It is also suggested that the term "fall" related to safety helmets should be changed to "impact on the upper part of head" in domestic regulations and standa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