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licopter

검색결과 945건 처리시간 0.029초

대 잠수함 HVU 호위 임무 분석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Modeling and Simulation for Anti-submarine HVU Escort Mission)

  • 박강문;이은복;신석훈;한승진;지승도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23권4호
    • /
    • pp.75-83
    • /
    • 2014
  • 함정 전투체계는 각종 센서 및 무장을 포함한 플랫폼들을 효율적으로 통제하기 위해서 운용자의 개입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다중 에이전트 기반의 M&S(Modeling and Simulation) 기술이 도입되어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다중 플랫폼간의 높은 임무 복잡도를 필요로 하는 대 잠수함 전투에 있어서는 M&S 시스템을 통한 전술에 관한 연구가 거의 진행되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중 에이전트 기반의 M&S 기술을 대 잠수함 전투에 적용하였다. 이를 위해 함정, 잠수함, 헬기 등 다수의 플랫폼을 에이전트 기반으로 모델링함으로써 HVU(High Value Unit) 호위 임무를 위한 모델 구조를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다양한 전장상황에 대한 다양한 전술 효과도를 분석할 수 있었다. 그 결과 조건별 최적의 전술적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국방 관계자들이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론을 도입하여 상세한 모델 변수값들을 대입한다면 보다 실질적인 대 잠수함 전술 효과도를 분석해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적층 시퀀스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복합재 날개 구조물의 최적화 설계 (Optimal Design of Thick Composite Wing Structure using Laminate Sequence Database)

  • 장준환;안상호
    • Composites Research
    • /
    • 제30권1호
    • /
    • pp.52-58
    • /
    • 2017
  • 본 논문에서 제시한 복합재 날개 구조물의 최적설계 기법은 파손모드를 통합한 최적화 프레임 웍을 사용하여 복합재 날개 구조물의 안전율을 자동으로 계산한다. 개발된 최적화 프레임 웍은 복합재 구조물의 설계요소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파손모드 즉, 최초 파손모드, 좌굴 파손 모드 및 베어링-바이패스 파손을 확인하여 구축된 적층 데이터베이스 안에서 적층수를 찾아낸다. 이는 개발과정에서 수정 및 반복되는 설계 및 해석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설계변수는 계단형태로 이루어진 적층 데이터베이스이며 응답은 변형률, 좌굴, 볼트 주변부의 응력장이며 목적함수는 날개구조의 질량이다. 그리고 최적화 프레임 윅을 구동하는 Composite Optimizer의 해석결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유한요소모델의 좌굴해석 결과와 비교하여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Relex를 이용한 항공기 시스템 안전성 평가 절차 사례분석 (A Case Study on Safety Analysis Procedure of Aircraft System using the Relex)

  • 이동우;김입수;나종화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179-188
    • /
    • 2018
  • 항공전자 시스템의 개발할 때 항공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 SAE ARP4761 (민간 항공 시스템 및 장비 안전성 평가 프로세스 수행 방법 및 지침) 규격에 명시된 안전성 분석 및 평가를 수행한다. 안전성 분석은 시스템의 정상상태가 아닌 비정상상태에 대한 지식과 다른 규격들 간의 상호 연관성에 대한 지식이 요구된다. 때문에, 안전인증규격의 준수를 입증하는 자료를 자동으로 출력하는 도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규격의 안전성 분석 절차를 도식화하고, 안전 분석 CAD 도구들을 개별 절차에 적용하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예시 연구로서, ARP4761 부록의 여객기용 휠 제동 시스템 (WBS; wheel brake system)을 대상으로 ARP4761분석을 수행하였다.

유전자 알고리즘을 적용한 로터 시스템의 동적 밸런싱 기법 개발 (Development of Dynamic Balancing Techniques of a Rotor System Using Genetic Algorithm)

  • 권혁주;유영현;정성남;윤철용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8권12호
    • /
    • pp.1162-1169
    • /
    • 2010
  • 블레이드 제작 공정 및 환경적인 요인에 의해 로터 시스템에는 다양한 불균형 특성이 존재하며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동적 밸런싱 과정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훨타워 시험으로부터 얻은 블레이드 트랙 결과를 토대로 헬리콥터 로터 시스템 동적 밸런싱의 지표가 되는 시험 D/B의 누적 모듈과 이를 바탕으로 최적의 조절 파라미터 이동량을 산출 할 수 있는 통합 해석 시스템 구축에 대해 고찰하였다. 해석의 간단을 기하기 위해 밸런싱 입력변수의 조절에 대한 블레이드의 응답 특성을 선형으로 가정하고 블레이드 간의 상호 영향성 계수를 도출하였으며, 이로부터 로터 시스템의 특성을 식별하였다. 아울러 유전자 알고리즘을 도입하여 동적 밸런싱을 위한 최적의 블레이드 개별 조절 값을 구하고 이를 시험결과와 비교하였으며, 제시한 방법이 매우 효율적임을 보였다.

제주 '오름'의 지형경관 특성과 활용방안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Geomorphic Landscape and Its Usage of 'Oreurn' on Jeju-Island)

  • 서주환;노재현;김상범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57-70
    • /
    • 2007
  • As a basic element of Jeju landscape, Oreum offers a beautiful and aesthetic view. Considering topographical and geological research achievements, however, an effort to discover implicit value in terms of landscape characteristics and value has been ignored. This paper has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and value of landscape by Oreum focusing on Jeju landscape characteristics and eco-touristic value and discussed a scheme to maximize the values. Under a theme of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RIO Declaration, tour industry has recently changed its focus from eco-tourism to gee-tourism. Fortunately, Jeju Oreum has very distinctive and unique landscape with depressed crater at a crest. Nevertheless, it's very difficult to see a true aspect of Oreum from the street or over the car window. Therefore, it's urgent to begin a research on how to make advantage of and preserve Oreum landscape in order to maximize its landscape values and improve its potential as a tourist attraction. Through diverse programs such as sky leisure sports(ex: light airplane and helicopter riding, paragliding), sky watching, and mountain hiking, in particular, a possibility that Oreum can succeed as LBD(Learning by Doing)-based tour program with volcanic features needs to be examined. Besides, it's also a good idea to develop Oreum tour program or Oreum Museum as an alternative plan. Above all, however, it's most urgent to protect the existing Oreum and restore ecological and landscape beauty of Oreum through proper land use.

비정렬격자계를 이용한 헬리콥터 덮개 꼬리 로터의 제자리 비행 유동 해석 (Detailed Flow Analysis of Helicopter Shrouded Tail Rotor in Hover Using an Unstructured Mesh Flow Solver)

  • 이희동;권오준;강희정;주진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1-9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비정렬격자계를 사용하여 덮개 꼬리 로터의 제자리 비행에 대한 압축성, 비정성 유동을 해석하였다. 유동계산을 위한 수치적 기법으로는 셀 중심에 기초한 유한체적법과 내재적인 시간적분법을 사용하였다. 계산은 로터의 한 블레이드에 대해 수행되었으며, 블레이드와 블레이드 사이에는 주기적 경계조건을 설정하였다. 덮개가 없는 로터 형상에 대한 성능은 실험 결과와 잘 일치함을 보였다. 덮개를 포함하는 로터 형상에 대한 계산은 비교된 실험 형상의 불확실성을 고려하여 추력이 일치하는 피치각을 가지는 경우에 대해 수행하였으며, 자세한 유동은 실험결과와 잘 일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결과로부터 본 방법이 블레이드 끝단간극을 포함하는 복잡한 3차원 덮개 꼬리 로터 형상 해석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항해중 선원의 상병 및 치료양상 (Morbidity Rate and Medical Care Utilization of Sailors during the Voyage)

  • 박재용;전정원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2권1호
    • /
    • pp.102-115
    • /
    • 198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morbidity rate and utilization pattern of medical services of sailors on a voyag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70 sailors who are sailors' trainee and safety-trainee for embarkation in a ship. Data were collected by means of personal survey conducted from September 5 to October 30, 1988. The subjects were sailed 12.6 months on the average. During the voyage, 49.4% of the sailors had sickness more than once, and 24.7% was unable to work more than a day because of illness. The average monthly morbidity rate was 85.7 per 1,000 and the monthly prevalence rate of disease that was unable to work more than a day was 21.2 per 1,000. The sailors of 40-49 years old had the highest morbidity rate of 103.6 per 1,000/month. The number of days activity restricted due to sickness was 93.4 days per 1,000 persons, and the average duration of illness was 11.2 days per sickness. The proportion of treatment days to sickness days was 48.8%. Considering morbidity unable to work more than a day, the number of those who had traumatic injury were 17.2%, which revealed the highest rate, influenza or cold were 15.5%, and the digestive disease 11.2%. Less than half(42.1%) of patients were treated with medicine kept in the cabin. However, 2.1% was transferred by helicopter and 29.5% was treated at hospitals or clinics in nearby port. In the cabin, 67.4% of patients was cured completely.

  • PDF

Rare Imaging of Fat Embolism Seen on Computed Tomography in the Common Iliac Vein after Polytrauma

  • Lee, Hojun;Moon, Jonghwan;Kwon, Junsik;Lee, John Cook-Jong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31권2호
    • /
    • pp.103-106
    • /
    • 2018
  • Fat embolism refers to the presence of fat droplets within the peripheral and lung microcirculation with or without clinical sequelae. However, early diagnosis of fat embolism is very difficult because the embolism usually does not show at the computed tomography as a large fat complex within vessels. Forty-eight-year-old male with pedestrian traffic accident ransferred from a local hospital by helicopter to the regional trauma center by two flight surgeons on board. At the rendezvous point, he had suffered with dyspnea without any airway obstruction sign with 90% of oxygen saturation from pulse oximetry with giving 15 L of oxygen by a reserve bag mask. The patient was intubated at the rendezvous point. The secondary survey of the patient revealed multiple pelvic bone fracture with sacrum fracture, right femur shaft fracture and right tibia head fracture. Abdominal computed tomography was performed in 191 minutes after the injury and fat embolism with Hounsfield unit of -86 in his right common iliac vein was identified. Here is a very rare case that mass of fat embolism was shown within common iliac vein detected in computed tomography. Early detection of the fat embolus and early stabilization of the fractures are essential to the prevention of sequelae such as cerebral fat embolism.

비정렬 적응 격자계를 이용한 비정상 로터-동체 공력 상호작용 모사 (Simulation of Unsteady Rotor-Fuselage Aerodynamic Interaction Using Unstructured Adaptive Meshes)

  • 남화진;박영민;권오준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1-21
    • /
    • 2005
  • 3차원 비정렬 격자를 이용한 로터-동체 공력 상호작용에 대한 수치적 해석을 수행하였다. 로터와 동체간의 상대적인 운동을 모사하기 위하여 해석 유동장을 회전하는 부분과 정지된 부분으로 나누어 계산하였다. 블레이드 끝단에서 생성되는 끝단 와류를 포착하기 위하여 준 비정상 적응 격자 기법을 도입하였다. 또한 낮은 속도로 전진 비행하는 헬리콥터 해석을 위해서 저 마하수 예조건화 기법을 적용하였다. 로터-동체 공력 간섭현상에 대한 검증을 위해 Georgia Tech 형상과 NASA에서 실험한 ROBIN 형상에 대한 실험 결과와 비교하여 본 연구 해석 기법이 타당함을 보였다.

금속재와 복합재 허브 Flexure를 갖는 무힌지 허브시스템의 공력탄성학적 안정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f Aeroelastic Stability of Hingeless Hub System with Metal and Composite Hub Flexure)

  • 송근웅;김준호;김덕관;이욱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98-105
    • /
    • 2005
  • 본 논문은 복합재 패들형 블레이드를 장착한 무힌지 허브 시스템의 정지 및 전진 비행시 공력탄성학적 안정성 시험에 대한 것이다. 블레이드와 허브 flexure의 리드래그 감쇠비를 측정하기 위해 무힌지 허브시스템을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의 GSRTS(General Small-scaled Rotor Test System)에 장착하여 가진 시험을 실시하였다. 리드래그 모드의 감쇠비를 산출하기 위해 MBA(Moving Block Analysis)기법을 사용하였다. 먼저 금속재 flexrue를 장착하여 시험을 수행한 후, 로터시스템의 동력학적 특성이 같도록 설계된 복합재 flexure를 장착하여 시험하였다. 시험은 정지 및 전진비행 조건에 따라 지상 및 풍동에서 수행하였다. 비회전 시험을 통해 복합재 flexure의 감쇠특성이 금속재보다 향상됨을 확인하였으며, 모든 시험 조건에 대해 복합재 flexure가 금속재보다 무힌지 허브시스템에 대한 공력탄성학적 안정성이 향상됨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