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avy metal distribution

검색결과 291건 처리시간 0.026초

A Study of Heat Input Distribution on the Surface during Torch Weaving in Gas Metal Arc Welding

  • Kim, Y.;Park, H.
    •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Welding Society
    • /
    • 제4권1호
    • /
    • pp.23-29
    • /
    • 2004
  • In weaving welding where a V groove exists, the heat input distribution is an important factor that determines the defectiveness of the bead shape, undercut and over-lap. In this study, the amount of heat input, which is determined by the welding current, voltage, speed and weaving conditions is calculated through mathematical development and numerical methods. Furthermore, the heat input distribution as a two- dimensional heat source was observed when applied to each groove.

  • PDF

X-선 형광분광법을 이용한 대기부유분진중 중금속의 농도분포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Distribution of Heavy Metal Concentrations in Ambient Suspended Particulate Matters Using the X-ray Fluorescence Spectroscopy)

  • 이태정;김동술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20-28
    • /
    • 1992
  • The x-ray fluorescence(XRF) is one of the most convenient and widely used techniques for analyzing trace elements in ambient particulate matters. The objects of the study were to estimate the optimum exposure time using the XRF,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s of heavy metal levels in particulate matters, and finally to study seasonal variation for the concentrations of total suspended particulate matters(TSP) and size fractionated particulate matters. The suspended particulate matters had been collected by a cascade impactor having 9 size fragnated stages for 3 years(Dec. 1988 to Nov. 1991) in Kyung Hee University-Suwon Campus. The particulate matters were then collected on each stage by membrane filters. The weight concentrations were determined by the XRF system. Thus, seasonal variations and relationship between concentration and particle size could be investigated. Resulting distribution was bimodal with the coarse and the fine particle groups minimum occurring around 2.1 to 3.3 $\mu$m as an aerodynamic diameter. To determine optimum exposure time of the XRF for various trace inorganic elements, membrane filters and the NIST standard filters were extensively studied. Using a statistical technique, optimum exposure time was estimated for each trace element and overall elements. The time was then determined as 20 seconds for the XRF system. The concentration of TSP was 123.9$\mum/m^3$ on an arithmatic average. The levels of each inorganic metal were Si 2420.0ng/$m^3$, Fe 977.1ng/$m^3$, and so on. The Pb. Zn, and Cu abounded in the fine mode group, while Ca, Fe, Si, Al, and K in the coarse group. Marked seasonal variation of TSP and metal concentrations was observed. The concentration of heavy metals in the fine mode was highest in winter : on the other hand, that in the coarse mode was highest in spring.

  • PDF

논토양 중금속 함량의 장기변동 모니터링 (Long-term monitoring of heavy metal contents in paddy soils)

  • 김원일;김명숙;노기안;이종식;윤순강;박병준;정구복;강창성;조광래;안문섭;최승출;김현주;김영상;남윤규;최문태;문영훈;안병구;김희권;김현우;서영진;김종수;최용조;이영한;이신찬;황재종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190-198
    • /
    • 2008
  • 토양환경보전법(1996)에 의해 농경지의 중금속 함량에 대한 토양오염 우려 및 대책기준과 2000년 식품의약품안전청 고시에 따른 쌀의 카드뮴 함량의 허용기준 0.2 mg/kg의 설정으로 인하여 우리나라 논토양과 이들 포장에서 생산되는 쌀의 중금속 함량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농촌진흥청은 전국 도 농업기술원과 공동으로 전국 논토양의 중금속 함량의 현황과 장기적인 변화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1999년부터 4년 1주기로 모니터링 사업을 수행하고 있으며 3주기의 조사 결과를 검토하였다. 2007년에 조사한 전국 논토양 2,010 지점의 비소, 카드뮴, 구리, 니켈, 납, 아연의 평균함량은 각각 0.87, 0.08, 3.33, 1.19, 4.95 and $4.67mg\;kg^{-1}$이었고, 조사 논토양의 몇 지점을 제외하고는 토양오염 우려기준을 초과하지 않았다. 비소의 경우 2003년 및 2007년 조사에서 니켈의 경우 1999년과 2007년 조사에서 토양오염 우려기준 초과지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장기적인 변화에서는 비소, 니켈, 아연이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카드뮴과 구리의 함량은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납의 함량은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토양내 침출성 중금속의 함량별 분포양상은 중금속별로 최빈수가 토양내 평균함량과 유사하였다. 구리를 제외한 모든 논토양의 중금속 함량의 평균값이 중간값보다 높음으로 논토양의 중금속이 정규분포보다 하향으로 편중된 분포를 보였다.

진해만의 퇴적물, 해수 및 참굴 내의 중금속 분포 (Distribution of Heavy Metals in Sediments, Seawater and Oysters (Crassostrea gigas) in the Jinhae Bay)

  • 이인숙;김은정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3권1호
    • /
    • pp.59-64
    • /
    • 2000
  • 진해만의 중금속 오염도를 평가하기 위해 해저퇴적물, 해수 및 참굴의 중금속 농도를 측정하였다. 해저퇴적물내 카드뮴, 코발트, 구리, 니켈, 납, 아연의 농도범위는 0.1∼2.4, 12.6∼14.4, 25.3∼92.3, 32. 4∼93.5, 24.1∼81.2, 124∼477 ㎍/g 으로 나타났다. 인간의 산업활동과 관련된 카드뮴, 구리, 납, 아연의 농도는 마산 내만에서 높게 나타났다. 해수내의 용존성 카드뮴, 코발트, 구리, 니켈, 납, 아연의 농도범위는 <0.010∼0.043, 0.008∼0.120,0.31∼0.90,0.25∼3.10, 0.010∼0.142,0.27∼9.04 ㎍/L로 나타났다. 해수의 카드뮴, 구리, 납, 아연의 농도도 퇴적물에서처럼 마산 내만에서 높게 나타났으므로 마산만이 진해만의 주오염원임을 알 수 있었다. 참굴의 아연, 구리, 카드뮴, 납, 코발트, 니켈 둥의 생물농축계수(BCF)는 647373, 280861, 145069, 44559, 13524, 2745 순으로 나타났으며, 다른 이매패류에 비해 강한 중금속 축적종으로 나타났다.

  • PDF

만경강·동진강 유역의 토양, 현미, 저질토중의 중금속 함량 및 분포 (Heavy Metal Contamination in Soil, Rice, and Sediment from ManKyeong and DongJin River Area)

  • 권용훈;성금수;황갑수;장재철
    • 환경영향평가
    • /
    • 제9권2호
    • /
    • pp.143-153
    • /
    • 2000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heavy metal contents and distribution in soil, sediment, and rice from the downstream area of ManKyeong and DongJin River. Of the sites on Mankyeong river area, site M-1(Mokchon bridge) showed the highest average contents of Cd, Cr and Pb in paddy soil. In DongJin river area, site D-3(Munpo) and D-4(Gerjeonri) showed relatively high level of average contents of Cr, Pb and Zn in paddy soil. The average contents of heavy metals in brown rice from ManKyeong river area were 0.10mg/kg for Cd, 0.99mg/kg for Cr, 2.07mg/kg for Pb, 4.44mg/kg for Cu and 32.03mg/kg for Zn while those in brown rice from DongJin river area were 0.14mg/kg for Cd, 0.74mg/kg for Cr, 1.78mg/kg for Pb, 4.57mg/kg for Cu and 33.60mg/kg for Zn. Zn showed the highest transportation-rate from paddy soil to brown rice while Pb showed the lowest. From the results of heavy metal analysis in sediments, the average contents of Cd, Cr, Pb and Cu were generally high in site M-5(Euonri) and D-4(Gerjeonri), the most downstream sites in Mankyeong river and DongJin river, respectively.

  • PDF

몽골 버러지역 토양의 중금속 오염 현황 조사 (A Study on Heavy Metal Pollution in Mongolia Boroo Soil)

  • 박주현;박제현;김탁현;연규훈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23권5호
    • /
    • pp.17-25
    • /
    • 2018
  • The Boroo area in Mongolia is known to have been contaminated with heavy metals due to irregular gold mining activities and the release of mercury from gold extraction process. Soil and mine tailings were collected to analyze contamination patterns of heavy metals in the Boroo area. Analyses revealed that mercury, arsenic and cadmium concentrations exceeded the regulatory standard of the nation (Mongolia National Standard). In case of mercury, about 80% of the survey area was over the limit and the concentration distribution heavily influenced by influx of mercury through water transport. Soil contamination by arsenic was most severe that the concentration exceeded the regulatory limit in almost entire survey area, showing peak concentrations at nearby streams and river along with ore processing facilities. For cadmium, about 20% of the survey area was over the limit with the concentration distribution similar to that of arsenic.

식물정화공법에서 다양한 중금속의 식물체로의 흡수 및 축적 특성 비교: 식물체 종류, 중금속 종류, 토양 내 중금속 농도를 중심으로 (Characteristics of Heavy Metals Uptake by Plants: Based on Plant Species, Types of Heavy Metals, and Initial Metal Concentration in Soil)

  • 정슬기;김태성;문희선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5권3호
    • /
    • pp.61-68
    • /
    • 2010
  • Phytoextraction, one type of phytoremediation processes, has been widely used in the removal of heavy metals from polluted soil. This paper reviewed literature on metal uptake by plants and characterized the metal uptake by types of metals (Zn, Cu, Pb, Cd, and As), plant species, initial metal concentrations in soil and the distribution of metals in different parts of plants. The potential of metal accumulation and transport by plants was closely related to plants species, types of metals, and initial metal concentrations in soil. The plants belonging to Brassicaceae, Solanaceae, Poaceae, and Convolvulaceae families have shown the high potential capacity of Cd accumulation. The Gentianaceae, Euphorbiaceae, and Polygonaceae families have exhibited relatively high Pb uptake potential while the Pteridaceae and Cyperaceae families have shown relatively high Zn uptake potential. The Pteridaceae family could uptake a remarkably high amount of As compared with other plant families. The potential metal accumulation per plant biomass has increased with increasing initial metal concentration in soil up to a certain level and then decreased for Cd and Zn. For As, only Pteris vittata had a linear relationship between initial concentration in soil and potential of metal uptake. However, a meaningful relationship for Pb was not found in this study. Generally, the plants having high metal uptake potential for Cd or Pb mainly accumulated the metal in their roots. However, the Euphorbiaceae family has accumulated more than 80% of Pb in shoot. Zn has evenly accumulated in roots and stems except for the plants belonging to the Polygonaceae and Rosaceae families which accumulated Zn in their leaves. The Pteridaceae family has accumulated a higher amount of As in leaves than roots. The types of metals, plant species, and initial metal concentration in soil influence the metal uptake by plants. It is important to select site-specific plant species for effective removal of metals in soil. Therefore, this study may provide useful and beneficial information on metal accumulation by plants for the in situ phytoremediation.

포장지역 강우유출수에서의 입자성물질의 입도 분포 및 중금속 특성에 관한 연구 (Characteristics of Particle Size Distribution and Heavy Metal Concentration in Pavement Road Runoff)

  • 박해미;김영준;고석오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1권3호
    • /
    • pp.141-149
    • /
    • 2009
  • 본 연구는 고속도로 강우 유출수에서 입도 크기 분포 특성(PSD)을 이해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경기도내 4곳의 포장도로 지역에서 2번의 강우사상동안 강우유출수 샘플 모니터링을 수행하였고, 시료내 입자의 크기분포를 분석하였다. 또한, 강우량, 유량 및 각 오염물질들을 분석하였다. 시료내 입자의 시간별 변화농도는 강우유출수의 시작 시 높은 값을 보였다가 급속히 감소하였으며 탁도, 총부유물질, BOD, 총질소 및 총인과 같은 오염물질과 유사한 유출경향을 보여주었다. 특히 총부유물질과 탁도와의 높은 상관성을 보여주었다. 강우유출수와 퇴적물내에 포함된 중금속에 있어서 구리, 납, 아연은 높은 농도를 보였으며 대부분의 중금속은 넓이에 대한 부피의 비율이 큰 세립입자에 강하게 결합된 형태로 존재한다.

  • PDF

금호강(琴湖江) 및 그 지류(支流)의 하상(河床) 퇴적오니중(堆積汚泥中) 중금속(重金屬) ( Zn, Cu, Cd, Pb) 분포(分布)와 그 형태(形態) (Heavy Metal (Zn, Cu, Cd, Pb) Distribution and its Form of the Sludges on Keumho River and Her Branches)

  • 이정재;최정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30-34
    • /
    • 1986
  • 하상(河床) 퇴적오니(堆積汚泥)의 중금속(重金屬) 오염현황(汚染現況)과 하천수(河川水)의 수질오염(水質汚染)이 하상(河床) 퇴적오니(堆積汚泥)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파악(把握)하고자 대저시(大邸市)를 관류(貫流)하는 금호강(琴湖江)과 그 지류(琴湖江)들의 하상(河床) 퇴적오니(堆積汚泥)에 대해서 몇가지 중금속(重金屬) 함량(含量)과 그 화학적(化學的) 형태(形態) 및 추출(抽出)에 미치는 pH의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하였다. 하상(河床) 퇴적오니(堆積汚泥)의 중금속(重金屬) 오염(汚染)은 신천(新川), 공단천(工團川) 및 달서천(達西川)에서 가장 높았으며 $0{\sim}5cm$의 표면부분(表面部分)에 대부분(大部分)의 중금속(重金屬)이 분포(分布)되어 있었다. 오니중(汚泥中)의 중금속(重金屬)들의 화학적(化學的) 형태별(形態別)로 fractionation해 본 결과(結果) 유기물(有機物)에 결합(結合)됐거나 잔류형태(殘留形態)의 중금속(重金屬)이 주된 fraction이었다. pH를 조정(調整)한 용액(溶液)으로 오니중(汚泥中)의 중금속(重金屬)을 추출(抽出)했을 경우(境遇) pH가 낮을수록 더 많은 양의 중금속(重金屬)이 추출(抽出)됐으며 유기물(有機物)을 연소(燃燒), 회화(灰化)시킨 시료(試料)에서 더 많은 중금속(重金屬)이 검출(檢出)되었고 pH의 용액(溶液)에서도 상당량(相堂量)의 중금속(重金屬)이 추출(抽出)되지 않았다.

  • PDF

광양만의 퇴적물에 대한 이화학적 조성 및 중금속 함량 (Physicochemical Composition and Heavy Metal Contents on the Sediment of Kwangyang Bay)

  • 박종천;김진;이우범;이성우;주현수
    • 생태와환경
    • /
    • 제33권1호통권89호
    • /
    • pp.31-37
    • /
    • 2000
  • 본 연구는 광양만 퇴적물의 이화학적 조성과 중금속 함량을 알아보기 위해 함수율, COD, $H_{2}S$, 입도 및 10가지의 중금속을 17개 조사지점에 대해 분석${\cdot}$조사하였다. 조사기간동안 나타난 결과로서 퇴적물의 함수율 변화는 35.5${\sim}$53.8%를 나타내었다. COD와 $H_{2}S$는 각각 3.8${\sim}$12.9 mg/g, 0.1${\sim}$11.4 ${\mu}g/g$를 나타내었다. 퇴적물 입도의 구성은 입경 $74{\mu}m$ 이하가 40.5${\sim}$86.7% 74${\mu}m$ 이상이 11.5${\sim}$43.0%로 나타났다. 등농도 분포도를 이용한 중금속의 공간분포로부터 광양만 퇴적물에 영향을 미치는 몇 곳의 배출원을 추정할 수 있었다. 중금속 배출원 중 여천공단 내의 신풍천, 쌍봉천 그리고 하수처리장의 방류수역이 주요 배출원으로 판정되었다. 중금속의 분석 결과를 US, EPA 비오염해역의 guideline에 비교할 때 납과 수은은 guideline에 모두 적합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망간, 아연, 구리, 철, 비소, 크롬 등은 guideline을 모두 상회하고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