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ated tallow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9초

튀김온도에서 가열한 우지 중의 콜레스테롤 산화 생성물 (Oxidation Products of Cholesterol in Tallow Heated at Deep-Fat Frying Temperatures)

  • 신효선;양주흥;김종승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199-203
    • /
    • 1994
  • The oxidation of cholesterol in tallow heated at three frying temperatures, 130, 150 and 18$0^{\circ}C$ was studied by assaying cholesterol oxidation products(COP)by GC-MS. The correlation between levels of COP and changes of physicochemical parameters (peroxide value, polymer, polar components and dielectric constant) in tallow heated were studied. As temperature increased, the amount of cholesterol was decreased proportionally with heating time. However, the levels of COP did not increase considerably with increased frying temperature. The rate of cholesterol disappearance was the greatest at 18$0^{\circ}C$ and the smallest at 13$0^{\circ}C$. Larger amounts of COP formed were found at 15$0^{\circ}C$ than at 18$0^{\circ}C$. The levels of COP formed in tallow heated showed highly correlation with(r=0.94, n=30, p<0.01) polymer, polar components and dielectric constant, respectively.

  • PDF

TLC를 이용한 가열우지중 콜레스테롤 산화생성물의 분리 및 확인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Cholesterol Oxidation products in heated tallow by TLC)

  • 장영상;양주홍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338-344
    • /
    • 2001
  • 가열우지중 콜레스테롤 산화안정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130, 150 및 18$0^{\circ}C$ 가열온도에서 일정시간 가열하였을 때 생성되는 각종 콜레스테롤 산화생성물을 TLC에 의하여 분리.확인하고, 지방산 조성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지방산 조성은 가열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linoleic과 linolenic acid등의 불포화 지방산은 약간씩 감소한 반면 포화지방산의 함량은 다소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이러한 변화는 가열온도가 높을수록 심하였다. 추출한 비비누화물의 반점과 Rf값은 콜레스테롤 산화물의 표준품들과 일치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TLC상으로 확인된 콜레스테롤 산화물은 7-$\alpha$-hydroxycholesterol, 7-$\beta$-hydroxycholesterol, 7-ketocholesterol 및 cholesterol epoxide의 4가지였으며, 이들 4가지 콜레스테롤 산화물은 가열 온도와 가열시간에 따라 생성되는 종류와 그 생성량이 상이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튀김조건에 따른 가열 우지의 산화안정성 (Oxidative Stability of Tallow Heated by Different Frying Conditions)

  • 장영상;양주홍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331-337
    • /
    • 2001
  • 가열우지의 산화 안정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우지를 130, 150 및 18$0^{\circ}C$의 세가지 튀김온도 조건에서 하루에 10시간씩 총 240시간 가열하였을 때 가열시간에 따라 지방질의 산화정도를 나타내는 각종 이화학적 특성치들(산값, 과산화물값, 요오드값, 유전상수, 극성화합물 및 중합물의 함량, 굴절률, 발연점 및 점도)과 색도의 변화를 연구하였다. 가열한 우지의 산값, 유전상수, 굴절률, 점도, 극성화합물 및 중합물의 함량은 가열시간의 경과에 따라 계속 증가하였고, 과산화물 값은 가열시간의 경과에 따라 증가와 감소를 반복적으로 나타냈다. 요오드값과 발연점은 가열시간의 경과에 따라 계속 감소하였으며, 이러한 이화학적 특성치들의 변화는 가열온도가 높을수록 심하였다. 색도는 가열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황색도와 적색도가 증가하여 전체의 색깔은 착색화되는 경향을 나타냈고, 그 착색의 정도는 시료의 산화정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어 고온에서 가열할수록 심하였다. 따라서 높은 온도에서 튀기면 각종 이화학적 향수들의 변화가 일어나므로 튀김유의 열화는 물론 가공식품의 품질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PDF

들깨유가 흰쥐의 체내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 of Dietary Perilla Seed Oil on Lipid Metabolism in Rats)

  • 장순덕;노숙령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4권5호
    • /
    • pp.408-419
    • /
    • 1991
  • The effects of various dietary fats on plasma lipids. liver lipids, and Plasma Peroxide levels were studied in rats fed for 6 wk with diets containing 15 wt% fat, as sesame oil. raw perilla seed oil. roasted perilla seed oil, heated perilla seed oil. mackerel oil or beef tallow. TBA values of these lipids during 4 wk storage, and linolenic acid contents of three kinds of perilla seed oil were also measured. Linolenic acid contents of raw perilla seed oil. roasted perilla seed oil and heated perilla seed oil were 62.3%, 61.6% and 53.1% respectively. Raw perilla seed oil showed the lowest rate of lipid peroxidation after 4 wk storage at 4$^{\circ}C$, and mackerel oil showed the highest peroxidation rate. The plasma cholesterol levels of rats consuming diets in which the carbohydrate was rice were not affected by n-3 PUFA. Rather, the degree of peroxidation seems to have a direct effect on cholesterol levels as shown by the hypocholesterolemic effect of raw perilla seed oil and beer tallow. However. the HDL-cholesterol level was greater in rats fed either roasted perilla seed oil or mackerel oil. Rats fed roasted perilla seed oil and raw perilla seed oil had lower levels of plasma triglycerides than rats fed beef tallow. In rats fed roasted perilla seed oil, the total lipid and cholesterol contents of liver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in those fed the other kinds of perilla seed oil. The plasma lipid peroxide levels were lower in rats fed either roasted perilla seed oil or beef tallow.

  • PDF

라면유지(油脂)의 안정성(安定性)에 관한 연구(硏究) - 제2보 공장규모에서의 라면 Frying 유지(油脂)의 성상변화(性狀變化) - (Stability of Lipid in Ramyon(deep fat fried instant noodle) - II. Chemical Changes of Frying-fats during Frying Process in Ramyon Producing Plant -)

  • 최홍식;권태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36-41
    • /
    • 1973
  • 라면제조(製造)과정중 frying 유지(油脂)(주원료 유지(油脂)는 beef tallow, 유지회전율(油脂回轉率) 9%/hr, 가열온도(加熱溫度) $140{\pm}10^{\circ}C)$의 안정성(安定性)을 작업시간 경과에 따라 공장규모(工場規模)로 검토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작업시간 경과에 따른 frying 유지(油脂)의 carbonyl 가(價) 및 과산화물가(過酸化物價)의 변화(變化)는 비교적 적었고, 산가(酸價) 및 착색성(着色性)은 다소(多少)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2) Silicic acid column 을 이용한 liquid partition chromatography 법(法)에 의하여 중합물(重合物)을 검토한 바, 대부분(大部分)이 monomer 이었으나 polar fraction에서 미량(微量)이나마 frying 시간의 경과에 따른 dimer 의 증가를 주목(注目) 할 수 있었다. 또한 지방산조성(脂肪酸組成)에서는 현저한 변화는 없었으나 linolenic, linoleic 가 증가한 반면에 stearic, palmitic acid가 감소하였으나 적은 량(量)이었다. 3) 시간경과에 따른 각 시료(試料)의 시험저장결과, 신선유지(新鮮油脂)는 저장 초기(初期)에 있어서 다른 사용유(使用油)에 비(比)하여 중량증가(重量增加) 및 carbonyl 가(價) 공(共)히 안정(安定)한 경향이었고, 저장중 사용유간(使用油間)에 있어서 안정성(安定性)의 차이는 적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