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at syndrome(熱)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6초

알코올 섭취량에 따른 한의변증설문(DSOM)의 타당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Validity of DSOM According to Alcohol Intake)

  • 홍상훈;김정은;김성환;박상은;홍수현;강창완;이인선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19-128
    • /
    • 2009
  • Purpos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the possibility of DSOM (Diagnosis System of Oriental Medicine) as a diagnostic method according to alcohol intake. Method : 49 men who drink alcohol over 40g per day and whose AUDIT scores were over 12 were allocated to the drinker group. 30 men who do not drink alcohol at all were allocated to the control (non-drinker) group. The study period was from June 15, 2006 to September 30, 2008. All of both groups were analyzed using DSOM. Result : There were some differences between the drinker group and the non-drinker group in stagnation of Ki(氣滯), deficiency of Yin(陰虛), insufficiency of Yang(陽虛), heat syndrome(熱), dryness (燥), and lung(肺). A group whose gamma-GTP is over twice the normal condition shows meaningful difference in stagnation of Ki(氣滯), heat syndrome(熱), dryness(燥), and insufficiency of Yang(陽虛). Conclusion : We found out that DSOM can be a diagnostic method on alcoholic liver disease patients. However, other studies to supplement it should be continued.

  • PDF

비병(痺病)의 문헌적(文獻的) 연구(硏究) (The Literatural Study on Arthralgia Syndrome(痺病))

  • 정석희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16권1호통권29호
    • /
    • pp.9-20
    • /
    • 1995
  • I would like to state my own opinion on arthralgia syndrome(痺病) through the literatural studies. First of all, arthralgia symdrome(痺病) must be classified into six type basically, which are migratory arthralgia(痺病(行痺)), arthritis of heat type(濕痺), arthritis due to blood stasis(瘀血痺) and deficient rheumatism(虛痺), and then could be considered to try the compound names of arthralgia syndrome. These can come from according to the rise and decline of causes in wind(風), cold(寒), damp(濕), heat(熱), blood stasis(瘀血) and qi-blood(氣血). For example, it would be possible to apply the wind-dampness rheymatism(風濕痺) of damp-heat rheumatism(濕熱痺) in terminology of arthralgia syndrome(痺病). As rheumatoid arthritis(歷節風), rheumatoid arthritis like white tiger bite (白虎歷節風) and gout (痛風) not to mean the gout in western medicine have been announced a kind of arthralgia syndromes(痺病) by many doctors since Ming dynasty(明代) and proved it to be true, it is reasonabie not to try it any longer. And tingling and deficiency of sensation(廢木 不仁) is a symptome showing the decline of muscle power including mainly the abnormal sensation of skin, it would be recommended to be classified into fliaccidity syndrome(?痺). And then the names rheumatism invoiving lendon and ligament(筋痺), rheumatism involving blood vessels(脈痺), rheumatism involving muscle(肌痺), numbness of skin (皮痺) and rheumatism involving bone(骨痺), which have been used as the classification title with the season be received bad-qi(邪氣), must be classlfied to the location appearing aymptomes. Though obstruction of the liver-qi(肝痺), obstruction of the heart-qi(心痺), stagnation of the spleen-qi(脾痺), stagnation of the lung-qi(肺痺), stagnation of the kidney-qi(腎痺) and dysfunction of the bladder(胞痺) that used visceral and bladder name, that stated a kind of arthralgia syndrome(痺病), but it must be classified into a different diseases from arthragia syndrome.

  • PDF

역절병(歷節病)에 관(關)한 연구(硏究) (The literatural study on ryuk-jeol disease(歷節病))

  • 최홍식;권오성;이준희;강윤호
    • 동국한의학연구소논문집
    • /
    • 제5권
    • /
    • pp.97-129
    • /
    • 1996
  • According to the literatural study om ryuk-jeol disease(歷節病), we obtained the result as follows : First, ryuk-jelo disease(歷節病) was stated a kind of arthralgia syndrome(痺病), Because ryuk-jeol disease(歷節病) is only joint disease while arthrlgia syndrome(痺病) affects skin, muscle, joint, bone, organs, etc. Second, ryuk-jeol disease(歷節病) can bne thought to be a category of rheumatoid arthritis in western medical science. Third, etiology factors of ryuk-jeol disease(歷節病) was classified endogenous and exogenous pathogenic factors. The formers was the deficiency in both Qi and Blood(氣血不足), the deficiency in both the liver and kidney(肝腎虧損), dam(痰), blood stasis(瘀血). The latter was Windg風), Cool(寒), Dampness(濕), Heat(熱). Forth, the therapy of ryuk-jeol disease(歷節病) was based on 'diagnosis and trentment based on over all analysis of symptoms and sings(辨證施治)'

  • PDF

심병변증(心病辨證)의 형성과정(形成過程)에 대한 문헌적(文獻的) 고찰(考察) (Bibliographical study on formation process of the differentiation of syndrome of heart-disease)

  • 김용주;최달영;김준기;박원환
    • 동국한의학연구소논문집
    • /
    • 제6권1호
    • /
    • pp.67-89
    • /
    • 1997
  • 오장육부중(五臟六腑中)에서 심(心)은 인체(人體) 생리활동(生理活動)의 주재(主宰)으로서 장부(臟腑) 가운데에서도 수위(首位)를 차지하여 인체(人體)의 사추활동(思推活動)이나 장부기능(臟腑機能)의 협조(協調) 및 기혈(氣血)의 통창(通暢)등도 모두 심(心)의 기능(機能)에 의존(依存)하는 바이므로 심(心)을 생명활동(生命活動)의 중심(中心)이라고 한다. 본(本) 논문(論文)은 변증체계(辨證體系)의 형성과정(形成過程)을 심병변증(心病辨證)에 한(限)하여 문헌적(文獻的)으로 고찰(考察)한 것으로써, 첫째 심병(心病)의 허증분류(虛症分類)에 있어 심허증(心虛症)이라고 포괄적(包括的)으로 언급(言及)되어지던 것이 심음허증(心陰虛症)과 심양허증(心陽虛症)으로 분류(分類)되었으며, 다시 심기허증(心氣虛症) 심양허증(心陽虛症) 심혈허증(心血虛症) 심음허증(心陰虛症)으로 분류(分類)되었다가, 최근(最近)에 변증분류(辨證分類)에서는 이를 더욱 세분화(細分化)시켜 심기허증(心氣虛症) 심양허증(心陽虛症) 심혈허증(心血虛症) 심음허증(心陰虛症) 심기음양허증(心氣陰兩虛症) 심기혈양허증(心氣血兩虛症) 심음양양허증(心陰陽兩虛症) 심양포탈증(心陽暴脫證)으로 분류(分類) 발전(發展)시키고 있다. 둘째 심병(心病)의 실증분류(實證分類)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담(痰)과 화(火) 열(熱)의 문제(問題)였으며 이것들을 가지고 다양한 변증분류(辨證分類)를 하였는데, 초기(初期)에는 담증(痰證)과 열증(熱證)을 단지 분리(分離)하여 변증(辨證)하였던 것을, 최근(最近)에는 담증(痰證)과 화증(火證)뿐만 아니라 담화(痰火)를 같이 묶어 변증(辨證) 하였으며, 심기허심양허(心氣虛心陽虛)에서 기인(起因)된 심어증(心瘀證)을 점차 중요(重要)하게 여기는 방향(方向)으로 변증분류(辨證分類)를 하였다. 이러한 변증분류(辨證分類)의 다양화(多樣化) 세분화(細分化)는 점점(漸漸) 다양(多樣)해지는 질병양상(疾病樣相)에 보다 잘 대처하려는 연구결과(硏究結果)로 보여지며 이후로도 보다 실증적(實證的)인 연구(硏究)가 더욱 더 요망(要望)된다.

  • PDF

태음인(太陰人) 이열병(裡熱病)의 병증(病證) 약리(藥理)에 대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medical and pharmacological theory of Interior-Overheated-Disease of Taeumin)

  • 김종열;김경요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11-150
    • /
    • 1998
  • 1. 연구배경 및 목적 이제마가 태음인(太陰人) 이열병(裡熱病)을 인식하고 태음인(太陰人) 처방(處方)을 계발한 과정을 파악함으로써 태음인의 병증(病證) 약리(藥理)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한다. 2. 방 법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 병증론(病證論)에 나타난 인용문과 처방의 출전을 시대별로 고찰함으로써 병증(病證)과 약리(藥理)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관찰하고 분석하였다. 3. 결 과 이제마(李濟馬) 이전에는 태음인(太陰人) 간열증(肝熱證)이 소양인(少陽人) 위열증(胃熱證)과 다르다는 것은 알았으나, 병리에 있어서는 둘을 구분하지 못하고 똑같이 열결(熱結)로만 이해하였고, 그러면서도 처방은 어느 정도 서로 다르게 쓰여지는 경향이 있었다. 문헌 고찰 결과 위열이 상하로 치성(熾盛)하여 번조(煩燥), 두통(頭痛) 소편불이(小便不利), 편비(便秘)를 거의 대부분 동반하는 소양인 위열증과 '호산지기(呼散之氣) 부족흡취지기(不足吸聚之氣) 태과(太過)로 인해 내부에 조와 열(熱)이 발생함으로써 목동(目疼), 비건(鼻乾), 인통(咽痛), 음일수이 등의 특징적 증상을 보이는 태음인 간열증을 구분할 수 있었다. 한편 약재에 있어서도 갈근, 승마(升麻), 고본(藁本), 백지(白芷), 대황(大黃)은 태음인 간열증의 치방에 군약으로 쓰이는 점에서, 황금(黃芩)과 길경(桔梗)은 폐에 작용하는 약임이 분명하므로, 그리고 라복자(蘿卜子)와 급각은 각각 치담약(治痰藥)과 개열락(開悅樂)이면서 천식(喘息), 해수(咳嗽) 등 폐병증을 함께 치료하는 점에서 각각 태음인 약으로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