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art rate variability

검색결과 768건 처리시간 0.03초

화병의 불안 증상에 대한 시호가용골모려탕의 효능 임상연구 중간보고 (Interim Report about The Effect of Sihogayonggolmoryeo-tang on the Anxiety of Hwa-byung)

  • 최우창;박대명;이상룡;강위창;정인철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133-152
    • /
    • 2012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ihogayonggolmoryeo-tang on the anxiety of Hwa-byung. Methods : In this randomized, double blinded, placebo-controlled study, we planned to give Sihogayonggolmoryeo-tang or controlled medication for anxiety of Hwa-byung. Hamilton Anxiety Scale (HAM-A) was measured as the 1st evaluative instrument, and Korean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K), Likert scale for major symptom of Hwa-byung, Hwa-Byung Scale Score, Korean Beck's Depression Inventory (BDI-K), Korean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STAXI-K), Insomnia severity Index (ISI), Instrument of Oriental Medical Evaluation for Hwa-Byung, WHO Quality of Life Avvreviated (WHOQOL-BREF), genral self-Efficacy Scale (GSES), Rosenberg Self-Esteem Inventory (SRE) and Heart Rate Variability (HRV) were also measured as the 2nd evaluative instrument before treatment. Results : Clinical characteristics-vital signs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oth groups. The characteristics of disease-chief complaint, pattern Identification, period, etiological factor, and etc, also showed similarity of distribution in both groups. The results of Chest PA, EKG and clinicopathologic examination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oth group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oth groups in all valuation scales; HAM-A was measured as the first evaluative instrument, and STAI-K, Likert scale for major symptom of Hwa-byung, Hwa-Byung Scale Score, BDI-K, STAXI-K, ISI, Instrument of Oriental Medical Evaluation for Hwa-Byung, WHOQOL-BREF, GSES, SRE and HRV. Conclusions : We considered that establishment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led group was objective and worth conducting this research. In addition, this methodology is expected to be applied to the subsequent research. Further, we hope to make up for this study through various study and discussion.

과심상(過心傷), 음식상(飮食傷)에 따른 급성 소화불량증 환자간의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f Acute Dyspepsia Patients Depending on Stress Factor and Food Factor)

  • 김효진;이수정;이아람;강경화;김원일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525-532
    • /
    • 2010
  • Dypepsia is the most common gastrointestinal disease and mainly occurs by stress or food. According to the cause of dyspepsia,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the curative process are different in pati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cute dyspepsia patients depending on food factor and stress factor. For this study, we analyzed the cause, and the symptoms of 59 acute dyspepsia patients and divided them into two groups: one group is 27 acute dyspepsia patient group caused by stress factor (stress factor group). The other group is 32 acute dyspepsia patient group caused by food factor (food factor group). In addition, we carried out HRV test and compared HRV index between two group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ast illness involved in gastrointestinal tract diseases between two groups. There were big differences in the frequency of chest discomfort, thurst, lack of appetite, and exhaustion after meals between two groups. There were many changes of tongue fur in food factor group. But there were many changes of tongue body in stress factor group. The pulse pattern is mostly wiry in stress factor group. But, The pulse pattern is mostly slippery in food factor group. HF, T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food factor group in stress factor group, it means autonomic nerve system was more suppressd in stress factor group than food factor group. Food factor group improved sooner than stress factor group. This study presented the clinically different characteristics (past medical history, symptoms, tongue diagnosis, pulse pattern, curative process) of acute dyspepsia depending on food factor and stress factor. Thus, it provides the necessity of oriental medical diagnosis and treatment called pattern identification for acute dyspepsia.

잣나무림의 입목밀도가 여름철 온열환경 및 인체 생리반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ree Density of Pinus koraiensis Forest on the Thermal Comfort and the Physiological Response of Human Body in Summer Season)

  • 박범진;권치원;최윤호;염동걸;김건우;정다워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4권2호
    • /
    • pp.261-266
    • /
    • 2015
  • 본 연구는 잣나무림의 입목밀도에 따른 여름철 온열쾌적감 및 인체의 생리반응을 조사하기 위해서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온열쾌적감 지표로는 예상평균한서감지수(PMV)와 예상불만족도(PPD)를 사용하였으며, 피험자의 생리지표로는 심박변동성(HRV)을 사용하였다. 피험자는 신체적으로 건강한 20대 남녀 15명(23.7${\pm}$1.7세)이 참가하였다. 피험자는 각 실험구에 앉아 5분 동안 HRV를 측정하였고, 각 실험구의 온열 환경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PMV와 PPD를 통하여 입목밀도가 120%인 잣나무림은 80%인 잣나무림보다 열적으로 쾌적하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피험자의 생리반응의 경우 입목밀도가 120%인 잣나무림은 80%인 잣나무림보다 HRV의 HF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LF/HF가 유의하게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입목밀도가 120%인 잣나무림은 80%의 잣나무림보다 열적으로 쾌적하며, 인체 생리적으로 안정된다는 사실을 과학적으로 증명할 수 있었다.

감성판별을 위한 생체신호기반 특징선택 분류기 설계 (The Design of Feature Selection Classifier based on Physiological Signal for Emotion Detection)

  • 이지은;유선국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0권11호
    • /
    • pp.206-216
    • /
    • 2013
  • 감성은 학습, 행동, 의사결정, 상호대화를 포함한 인간의 일상생활에 중요한 요소이다. 본 논문에서는 시스템의 복잡도를 줄이기 위하여 생체신호로부터 최소한의 중요한 특징만을 추출하여 사용하는 감성 분류기를 설계하고자 한다. 생체신호는 맥파, 피부온도, 피부전도도, 뇌파신호(전두엽, 두정엽)를 사용하였으며, 4가지 감정(보통, 슬픔, 공포, 행복)은 영화 관람을 통하여 유도하였다. 측정한 생체신호로부터 추출한 24개의 특징으로부터 최적의 특징 집합의 결정은 서포트벡터머신 기반 적합도 함수를 사용하는 유전알고리즘을 적용하였다. 최적의 4감정 분류 정확도는 96.4%이었으며, 서포트벡터머신만을 사용하였을 경우보다 17% 높았다. 선택된 최소에러 특징은 맥파 심박변이도의 평균, NN50, 맥파 유도 맥파 전달 시간의 평균, 피부전도도의 평균과 두정엽 뇌파의 ${\delta}$, ${\beta}$ 주파수 대역에너지였다. 실험을 통하여 두정엽 뇌파, 맥파, 피부전도도의 조합이 고정밀 감정 장비에 적합하였으며, 79% 성능을 보인 맥파와 피부전도도의 조합이 간단한 감성장비에 적절하게 적용할 수 있다.

LED 면조명을 이용한 감성조명시스템의 인체 생리학적 반응에 관한 연구 (Study on Human Physiological Responses to Emotional Lighting System using LED Flat Lighting)

  • 김경태;오승용;유미;유창호;권대규
    • 감성과학
    • /
    • 제17권3호
    • /
    • pp.29-38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LED 면조명을 이용한 감성조명시스템의 인체 생리학적 반응을 검증하였다. 실험은 시각 질환이 없는 건강한 20대 남성 10명을 대상으로 LED 면조명의 색상에 따른 인체의 반응을 평가하였다. LED 조명은 빨간색, 주황색, 노란색, 초록색, 파란색, 보라색, 무채색(하얀색)을 사용하여 5분간 조명 자극을 주었다. 평가 방법으로 심리적 상태를 분석하기 위하여 뇌파와 심박변이도를 평가하였고 피부의 온도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체열을 평가하였다. 분석 결과 뇌파의 경우 무채색, 빨간색, 주황색 LED 면조명 자극 시 ${\alpha}$파 비율이 감소하였다. 또한 무채색, 빨간색, 주황색, 노란색 LED 면조명 자극을 받을 때 부교감신경에 비하여 교감신경이 활성화되고, 체열이 증가하였다. 이에 비해 초록색, 파란색, 보라색 LED 면조명 자극을 받을 때에는 ${\alpha}$파 비율의 증가와 교감신경에 비하여 부교감신경의 활성화가 발생하였고 체열이 감소하였다. 향후 각 색상을 조합하여 상황별 모드를 구성한 실험과 시각적 자극 외에 아로마와 같은 후각 자극, 음악과 자연의 소리를 이용한 청각 자극 등을 이용한 복합한 시너지 효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위기허증으로 진단된 소화불량 환자의 임상적 특징; 위전도 검사를 중심으로 (Clinical Features of Electrogastrogram in Dyspeptic Patients with Stomach Qi Deficiency)

  • 정해인;김동윤;백소영;이하늘;이현진;조윤재;하나연;김진성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467-477
    • /
    • 2020
  •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utaneous electrogastrogram (EGG) and other clinical characteristics of dyspeptic patients who have been diagnosed with Stomach Qi Deficiency (SQD) using the Scale for Stomach Qi Deficiency (SSQD). Methods: This study reviewed the clinical records of 38 patients with dyspepsia who were evaluated with SSQD and EGG at the Department of Digestive Diseases of Kyung Hee University Korean Medicine Hospital in Seoul, Korea from November 1, 2019 to February 29, 2020. We evaluated the EGG and other clinical characteristics of the SQD patients to determine if there was an association between the SSQD scores and the EGG. Results: In terms of the EGG, the SQD patients showed no significant increase in the percentage of normal slow wave after a meal and a slightly decreased power ratio at Channel 1 and Channel 2. We also found an association between the SSQD scores and the EGG parameters at Channel 1 and Channel 3. The average Ryodoraku score of the patients was 33.00±14.90 (μA). In the Heart Rate Variability (HRV) test, the average Total Power (TP) and Low Frequency/High Frequency (LF/HF)) ratio was 1356.60±13 6.41(ms2) and 1.68±2.25, respectively.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clinicians can use Electrogastrography to enhance accuracy when diagnosing the SQD pattern.

Hemodynamic, Autonomic, and Vascular Function Changes after Sleep Deprivation for 24, 28, and 32 Hours in Healthy Men

  • Slomko, Joanna;Zawadka-Kunikowska, Monika;Kozakiewicz, Mariusz;Klawe, Jacek J.;Tafil-Klawe, Malgorzata;Newton, Julia L.;Zalewski, Pawel
    • Yonsei Medical Journal
    • /
    • 제59권9호
    • /
    • pp.1138-1142
    • /
    • 2018
  •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impact of sleep deprivation (SD) on cardiac, hemodynamic, and endothelial parameters and to determine whether these are sustained with increased periods of SD. The study included 60 healthy men (mean: age $31.2{\pm}6.3years$; body mass index $24.6{\pm}2.6kg/m^2$). Hemodynamic parameters, parameters of myocardial contractility, spectral analysis of heart rate (HR) and blood pressure (BP) variability, and the sensitivity of arterial baroreflex function were evaluated. Biochemical tests were performed to assess L-arginine (L-Arg) and asymmetric dimethylarginine (ADMA) levels in reflection of endothelial nitric oxide synthase ability. Measurements of cardiovascular system parameters were obtained at 9 a.m. (baseline) on the first day of the study and 9 a.m. (24-h SD), 1 p.m. (28-h SD), and 5 p.m. (32-h SD) on the second day. Blood samples for evaluating biochemical parameters were obtained at baseline and after 24-h SD. ANOVA Friedman's test revealed a significant effect for time in relation to HR (${\chi}^2=26.04$, df=5, p=0.000), systolic BP (${\chi}^2=35.98$, df=5, p=0.000), diastolic BP (${\chi}^2=18.01$, df=5, p=0.003), and mean BP (${\chi}^2=28.32$, df=5, p=0.000). L-Arg and ADMA levels changed from $78.2{\pm}12.9$ and $0.3{\pm}0.1$ at baseline to $68.8{\pm}10.2$ and $0.4{\pm}0.1$ after 24-hr SD, respectively (p=0.001, p=0.004). SD in healthy men is associated with increases in BP, which appear to occur after 24 hours of SD and are maintained over increasing periods of SD. The observed hemodynamic changes may have resulted due to disordered vascular endothelial function, as reflected in alterations in L-Arg and ADMA levels.

원적외선에너지 방출 황토침구 사용 후의 자율신경 변화에 대한 연구 (Autonomic Nerve Change after Loess Bedding Radiating Far-infrared ray and energy)

  • 이구연;이형환;함석찬
    • 한국자연치유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27-32
    • /
    • 2020
  • 목적: 본 연구는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황토 침구를 15명의 불면증 대상자에게 사용하게 한 후에 인체의 자율신경에 어떠한 변화를 일으키는지를 연구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방법: 황토침구를 사용한 대상자들의 변화는 심장박동변이(HRV)로 측정하였다. 결과: 임상군이 황토침구를 사용하기 전의 HF고주파수 평균은 220.8 msec2이었고, 사용한 후의 평균치는 5.1 msec2로 저하되었다. LF저주파수는 사용 전의 평균은 418.1 msec2이었고, 사용한 후의 평균치는 5.2 msec2로 저하되었다. VLF주파수의 사용전의 평균은 1463.3 msec2이었고, 사용한 후의 평균 측정치는 6.8 msec2로 저하되었다. TP주파수는 사용하기 전의 평균값은 977.3 msec2이었고, 사용 후의 평균값은 6.7 msec2로 저하되었다. 이상의 4항목의 사용 후의 측정치의 저하는 통계적으로 모두 유의성이 있었으며, 사용전의 대상자들의 높은 측정치는 대상자들이 모두 장기간 수면장애가 매우 높아서 스트레스와 불안 등이 높은 이유이었다고 유추하였다. 황토침구 사용전의 임상자들의 맥박은 69.3 bpm, 사용 후의 맥박은 70.6 bpm로 유의한차이가 없었다. SDNN 및 RMSSD도 사용전후에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자율신경 HF, LF, VLF, TP주파수는 황토가 발생하는 원적외선의 조사에 영향을 받는다고 평가한다. 본 연구데이터는 이 분야의 기초자료로서 가치가 높다고 평가한다.

척추온열마사지기기의 1회 치료의 효과에 대한 객관적 증거: 선행 연구 (Objective Evidence for the Effectiveness of Single-session Treatment with a Spinal Thermal Massage Device: A Pilot Study)

  • 나영일;김시윤;백승민;이정후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10호
    • /
    • pp.209-218
    • /
    • 2022
  • 마사지 치료는 1회 치료만으로 통증을 경감시키고 스트레스를 이완시킵니다. 그러나 아직까지 1회 마사지 치료의 효과에 대한 객관적인 데이터를 확인한 연구가 없었습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마사지 치료와 동일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된 척추 마사지 기구로 1회 치료를 실시하여 통증 경감과 스트레스 이완의 효과의 증거를 확인하고자 하였습니다. 10년 전부터 시각적상사척도 4점의 요통이 있었던 45세 남자 환자 1인을 대상으로 척추 마사지 기구를 실시한 1차 실험과 침상안정을 실시한 2차 실험을 실시하였습니다. 시각적상사척도 측정과 실시간으로 심박 변이도를 측정하여 자율신경계를 확인하였고 총 5회 혈액검사를 실시하여 스트레스 관련 혈액검사(코르티솔, 에피네프린, 노르에피네프린)를 실시하였습니다. 침상안정을 취한 2차 실험에 비해 척추 마사지 기구로 1회 치료를 받은 1차 실험에서 유의미한 통증 감소효과를 보였습니다. 또한 1차 실험에서 자율신경계 활성도 및 부교감 신경계의 활성도가 증가되어 있었으며 혈중 에피네프린과 노르에피네프린이 감소되어 있었습니다. 이것은 기존의 마사지 치료 효과와 동일한 결과이며 1회 척추 마사지 기구를 통해 얻어지는 효과의 증거라 사료됩니다.

2종 측색기와 시각을 이용한 자연치아의 색조 비교 분석 (Shade Comparative Analysis of Natural tooth Measured by Visual and Two Colorimeters(ShadeEye®,Shadepilot®))

  • 안진희;최미라;심혜원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9권1호
    • /
    • pp.81-93
    • /
    • 2013
  • 육안과 기계 ($ShadeEye-Ncc^{(R)}$ dental chroma meter 와 $Shadepilot^{TM}$ system) 를 이용한 치아 색조 선택의 정확성을 비교하고 날씨와 개인경험에 따른 색조 측정의 정확성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수복물이 없으며 치주적으로 건강한 정상적인 치관부의 형태를 가진 상악 중절치를 가진 30명을 대상으로 육안 관찰과 $ShadeEye-Ncc^{(R)}$ dental chroma meter 와 $Shadepilot^{TM}$ system, 2종의 기계로 치아의 색조를 선택, 비교하였다. 먼저 3명의 검사자가 육안과 기계를 이용해 피험자의 치아 색조 선택해 일치도를 평가 후 비교하였다. 두 번째로 1인의 숙련된 검사자가 자연광 하에 육안 및 기계로 맑은 날과 흐린 날의 피험자의 광원에 따른 치아 색조 일치도를 평가, 비교하였다. 마지막으로 숙련자 2인과 비숙련자 2인간의 육안으로 색조 선택 후 피험자의 치아색조 일치도를 평가해 술자의 숙련도에 따른 색조 선택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모든 실험에서 치아 색조 일치도 외에 색조 차이(${\Delta}E$) 값을 비교해 평가하였다. 육안과 기계의 치아 색조 일치도는 3번 모두 일치한 경우는 육안(23.3%)과 $ShadeEye^{(R)}$(16.7%)보다 $Shadepilot^{TM}$(60%)이 높았다. 색조 차이값(${\Delta}E$)은 $ShadeEye^{(R)}$($3.83{\pm}1.38$)과 육안($4.04{\pm}1.61$)보다 $Shadepilot^{TM}$($2.62{\pm}0.74$)이 유의하게 낮았다(p<0.001). 날씨에 따른 색조 선택은 자연광 하에서 육안으로 보았을 때 흐린 날($4.35{\pm}1.70$)보다 맑은 날($3.53{\pm}1.31$)의 ${\Delta}E$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Shadepilot^{TM}$$ShadeEye^{(R)}$ 2종의 기계로 측정 시 맑은 날과 흐린 날간 날씨에 따른 평균 ${\Delta}E$ 값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술자의 숙련도에 따른 색조 선택은 육안 관찰 시 피검자 색조가 모두 일치하는 경우가 숙련자(73.3%)인 경우 비숙련자(36.7%)보다 높았고, 평균 ${\Delta}E$ 값은 숙련자($3.60{\pm}1.47$)군이 비숙련자 ($4.70{\pm}1.67$)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0.001). 육안 관찰 시 흐린 날씨와 숙련 여부에 따라 정확도가 떨어 질 수 있으며 술자의 숙련도와 날씨와 같은 광원에 영향을 받지않는 기계, 특히 보다 정확한 $Shadepilot^{TM}$를 이용하는 것이 주관성과 광원 등의 요인에 따른 편차를 보이지 않는 정확한 색조 선택에 도움이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