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alth examination survey

검색결과 2,300건 처리시간 0.029초

한국 성인의 식사 빈도에 따른 심혈관대사질환 위험도와 식사 질의 매개효과 : 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 자료 (Mediating Effects of Diet Quality between Meal Frequency and Cardiometabolic Risk among Korean Adults: Data from the 7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NES))

  • 조유미;이경숙
    • 중환자간호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67-80
    • /
    • 2023
  • Purpose : The 2020 Dietary Guidelines Advisory Committee specifically noted that meal frequency is associated with risks for cardiovascular disease, type 2 diabetes, and all-cause mortality, although the current evidence on meal frequency is conflicting. As meal frequency itself is affected by various factors, the aim of the study was not only to examine its relationships with cardiometabolic risk but also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s of dietary quality. Methods : This study used a descriptive correlational design. In all 8,141 healthy adults participated in the study. Measurements included meal frequency, cardiometabolic risk, and diet quality.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and process macro bootstrapping model 4. Results : The meal frequency was 3.52±0.61 times per day, the risk of cardiovascular metabolic diseases was 0.01±0.61 points, and the diet quality was 62.08±13.87 points. In mediation analysis, the effect of meal frequency on cardiometabolic risk score was completely mediated by diet quality. Conclusion : Improved diet quality in healthy adults should be considered when designing meal frequency interventions aimed at reducing their cardiometabolic risk, as the effect of meal frequency support on cardiometabolic risk was found to be mediated by diet quality.

한국 폐경 여성의 허리둘레/신장비 및 안정시 심박수와 심혈관-대사 위험요인과의 상관성 (The Association of Waist to Height Ratio and Resting Heart Rate with Cardio-metabolic Risk Factors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 박하늬;변지용;전용관
    • 운동과학
    • /
    • 제28권1호
    • /
    • pp.82-90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ssociation of waist to height ratio (WHtR) and resting heart rate (RHR) with cardio-metabolic risk factors among Korean postmenopausal women. METHODS: A cross-section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201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he analysis included a total of 1,540 postmenopausal women. RESULTS: Individuals with higher WHtR (>0.56) showed significantly higher glucose, triglyceride, insulin, Homeostatic Model Assessment for Insulin resistance (HOMA-IR), total cholesterol,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compared with ones with lower WHtR (≤0.51). Similar findings were found in those with higher RHR (≥90 bpm) compared with ones with lower RHR (<60 bpm) for glucose and HOMA-IR. When determining the combined effects of WHtR and RHR on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individual with WHtR above 0.5 and RHR above 80 bpm showed 10.39 times higher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compared with those with WHtR below 0.5 and RHR below 70 bpm. We further performe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to understand how WHtR and RHR contribute to fasting glucose, and found that both WHtR and RHR contribute to fasting glucose levels independent of age, education level, marital status and income level. CONCLUSIONS: The current study showed that the WHtR and RHR are associated with cardio-metabolic risk factor and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젊은 성인에서 비만이 심혈관대사질환 위험인자 군집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Obesity on Cardiometabolic Disease Risk Factor Clusters among Korean Young Adults)

  • 허연
    • 비만대사연구학술지
    • /
    • 제3권1호
    • /
    • pp.1-8
    • /
    • 2024
  • Backgroun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between obesity and cardiometabolic disease clusters in Korean adults aged 19-39 years. Methods: We included 3,785 participants (1,767 men and 2,018 women) aged 19-39 years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20-2022). The risk factors for cardiometabolic disease were defined as follows: high blood pressure; hypertriglyceridemia; hyperuricemia; and high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ow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high fasting plasma glucose, elevated alanine aminotransferase levels. Results: The prevalence of participants with ≥ 1, ≥ 2, and ≥ 3 cardiometabolic disease risk factors was 95.2%, 84.2%, and 65.6% in men and 90.0%, 70.5%, and 43.0%, in women with class 2-3 obesity, respectively. Compared to those for young adults with underweight/normal weight, the odds ratios (ORs) and 95% confidence intervals (CIs) for the clustering of cardiometabolic risk factors were 17.26 (8.32-35.80) for ≥ 1; 19.43 (12.18-31.00) for ≥ 2; and 22.93 (14.15-37.15) for ≥ 3 factors in men with class 2-3 obesity and 14.67 (8.00-26.91) for ≥ 1; 20.88 (12.15-35.88) for ≥ 2; and 36.26 (20.20-65.09) for ≥ 3 factors in women with class 2-3 obesity. Conclusion: Although the patients were young, the prevalence and ORs for cardiometabolic disease risk factor clusters in young adults with obesity were prominently high.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obesity in young Korean adults are urgently needed at both individual and public levels.

당뇨병 유병률, 진단률 및 위험인자 영향 분석 (Diabetes Prevalence and Diagnosis Rates, and Risk Factor Effect Analysis)

  • 길유진;정윤;박상수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1호
    • /
    • pp.105-110
    • /
    • 2024
  • 국민건강영양조사 제8기 1차년도(2019)에 참여한 대상자 중 당뇨병 유병자를 4개의 유형별로 구분하여 당뇨병 유병률과 진단율을 연령대별로 조사하였다. 또한 이미 당뇨병 진단을 받은 환자들의 당화혈색소 수치와 체중, 허리둘레,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수치 및 체중보정 허리둘레, 체질량지수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2019년도 당뇨병 유병률은 16.03 %이었으며, 남성의 유병률은 30대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였고, 여성의 유병률은 40대까지 남성보다 낮았으나 50대 이후 급격히 증가하여 70 대 이후에는 남성과 비슷해졌다. 당뇨병 진단그룹에서 당화혈색소 수치는 체중, 허리 둘레, BMI, WWI 수치와 상관계수도 낮고 상관관계도 유의하지 않았으나 중성지방 수치와는 0.178의 상관계수를 보이며 p value는 0.001 이하로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하였다.

한국청년층(韓國靑年層)의 총지방양측정(總脂肪量測定)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f Measurement of the Fat Contents in Korean Youths by Mean of Skinfold Methods)

  • 차철환;박순영;조광수;현호섭;이영일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권1호
    • /
    • pp.29-40
    • /
    • 1971
  • For the measurement on the fat content if University Students, an intensive examination was conducted on a total of 3,030 students(male 2,577, female 453), from 16 to 25 years of age. The subjects were all students who had passed the written entrance examination for Seoul National University. Total Body Fat amount was measurement by skin-fold thickness with a skin-fold caliper(Manufactured by Cambridge Scientific Industrial Inc. U.S.A.) at four sites of the body, and it was calculated by Kim's and Lee's regression equation. As a result of this surve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1. Physical Measurements: i) The average of body height by anthropometric was male $167.95{\pm}4.85cm$ and female $156.03{\pm}4.56cm$. ii) The average body weight by anthropometric was male $56.42{\pm}5.65kg$ and female $51.29{\pm}5.34kg$. iii) The average of chest-girth by anthropometric was male $89.95{\pm}5.33cm$ and female $81.36{\pm}4.89cm$. iv) The average of sitting-height by anthropometric was male $91.23{\pm}4.98cm$ and female $86.18{\pm}4.15cm$. v) The average of arm circumference by anthropometric was male $23.76{\pm}2.17cm$ and female $22.39{\pm}1.79cm$. In all cases the male measurements were higher than the female. 2. The mean skin-fold thickness measured with a large skin-fold caliper was; At the sub-scapular: male $11.54{\pm}4.84mm$ and female $14.07{\pm}4.49mm$, Abdominal: male $10.36{\pm}7.09mm$ and female $14.95{\pm}5.47mm$, Lumbar; male $12.55{\pm}6.44mm$ and female $17.02{\pm}6.57mm$, Upper arm: male $6.28{\pm}3.71mm$ and female $11.62{\pm}3.99mm$, Total average: male $10.18{\pm}5.52mm$ and female $14.41{\pm}5.13mm$, in all cases the female measurements were higher than the male. 3. Data on body fat amounts according to body fat weight regression equation were: in male: Fat weight=10.56kg, Fat free weight=45.86kg, Fat weight/Total body mass(%)=18.71%, (Body fat amount %), Fat weight/Fat free weight(%)=23.02%, Fat free weight/Total body mass(%)=81.29%. in female: Fat weight=12.23kg, Fat free weight=39.06kg, Fat weight/Total body mass(%)=23.85%, Fat weight/Fat free weight(%)=31.31%, Fat free weight/Total body mass(%)=76.15%. The females value was higher than the males.

  • PDF

대학생의 척추측만각 및 체질량지수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Spine Angle and Body Mass Index in Undergraduate Students)

  • 박수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157-164
    • /
    • 2017
  • 본 연구는 초기 성인에 해당하는 대학생의 척추측만 실태를 조사하고 선행연구에서 관련된 변수로 보고된 체질량 지수와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연구설계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며, 연구대상은 서울시, 대전시, 대구시, 경기도 소재의 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158명이었다. 연구도구는 일반적 특성, 자세특성, 체질량지수 문항이 포함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척추측만각은 scoliometer를 사용하여 체간회전각을 직접 측정하였다. 체간회전각 $6^{\circ}$ 이상이면 척추측만이 있는 것으로 분류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14년 11월 7일부터 3주간 시행하였고 자료분석은 척추측만각 및 체질량지수는 빈도와 백분율, 두 변수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chi}^2$-test, Logistic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대상자의 체간회전각 $5^{\circ}$ 이하는 114명 (72.2%), $6^{\circ}$ 이상은 44명(27.8%)이었다. 교란변수를 제외하였을 때 체간회전각이 $6^{\circ}$ 이상이 될 확률은 체질량지수 정상군을 기준으로 과체중 군이 2.63배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그리고 체질량지수 정상군에 비해 저체중군은 0.24배 낮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우리나라에서 척추측만증의 조기검진 및 관리는 주로 아동 청소년을 대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결과에서 대학생의 척추측만증 유병률이 높은 수준이었으므로 이들을 위한 적극적인 조기검진 및 관리가 필요할 것이다.

당뇨병 환자의 당뇨성 안질환 및 신장질환 합병증 검사 수검 여부에 영향을 주는 요인 (Factors affecting Diabetic Eye disease and Kidney disease Screening in Diabetic Patients)

  • 강정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226-235
    • /
    • 2020
  • 연구목적은 당뇨성 안질환 및 신장질환 합병증 검사 수검여부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2017년 지역사회 건강조사 전국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연구대상은 의사에게 당뇨병을 진단받은 적이 있다고 응답한 사람 25,829명이다. 당뇨병 환자의 당뇨성 안질환 및 신장질환 합병증 검사 수검여부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당뇨병 환자 중 당뇨성 안질환 합병증 검사 수검율은 35.6%, 당뇨성 신장질환 합병증 검사 수검률은 39.8%이었다. 걷기실천을 할수록(OR=1.03, OR=1.02), 당화혈색소(OR=2.33, OR=2.33) 및 혈당수치(OR=1.61, OR=1.71)를 인지하는 사람과 현재 당뇨병 치료(OR=2.67, OR=3.05) 및 당뇨병 관리교육(OR=1.45, OR=1.47)을 받는 사람의 당뇨성 안질환 및 신장질환 합병증 검사를 받을 가능성이 많았다. 결론적으로 당뇨성 합병증 검사 수검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당뇨성 합병증 검사의 종류와 검사 시기가 포함된 당뇨병 관리 교육체계와 당화혈색소 및 혈당수치를 인지시킬 수 있는 다양한 홍보 방법 등이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당뇨병 관리를 위한 가이드라인 개발하고, 국가차원에서 국가검진제도에 당뇨성 합병증 검사 선별검사항목을 포함하는 등 시스템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치과 임플랜트 상담 환자의 임플랜트 수술 및 유지관리에 대한 인식도 조사 (Survey on the Perceptions for Dental Implant Surgery and Maintenance Care)

  • 박홍련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67-177
    • /
    • 2007
  • 본 연구는 치과 임플랜트 상담 환자의 임플랜트 수술 및 유지관리 인식도를 파악하여 치과 임플랜트 환자를 관리하는 유지관리 교육 시스템 개발에 필요한 기초 자료마련을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경남 J시에 소재하는 치과 5곳에 내원한 치과 임플랜트 상담 환자 262명 중 최종 210명의 자료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임플랜트에 대한 지식정도에 대해서는 '전혀 모른다' 35.7%였으며, '60대(81.8%)'와 '초졸'(93.3%)에서 응답이 높았고, '조금 안다'는 45.7%로 나타났으며, 연령 (p < .01)과 학력(p < .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2. 임플랜트 수술시 제일 큰 불안감은 '수술시 통증'이 37.6%였으며, '60대'(59.1%), '초졸'(60.0%), '판매직' (58.8%)에서 응답이 높았고, '출혈'은 25.2%로 나타났으며, 직업(p < .05)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임플랜트 치아의 기능은 자연치아 회복정도는 '70%'가 36.2%였으며, '60대'(68.2%), '초졸'(73.3%), '관리직'(50.0%)에서 응답이 높았고, '100%'도 20.0%로 나타났으며, 연령(p < .001)과 학력(p < .001), 직업 (p < .05)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임플랜트 치아 완성 시 가장 중요한 것으로는 '저작 기능'이 70.5%였으며, '60대'(100%), '초졸'(100%), '농 어업직'(100%)에서 응답이 높았고, '미(외관)적인면'은 12.4%로 나타났으며, 연령(p < .01)과 학력(p < .05), 직업 (p < .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임플랜트 치아 관리 시 필요한 구강위생용품으로는 '치간치솔'이 60.0%였으며, '60대'(81.8%)와 '초졸'(86.7%)에서 응답이 높았고, '치실'은 40.5%로 나타났다. 6. 임플랜트 치아의 관리 시 제일 중요 유지관리행위는 '정기적인 치과 검진'이 42.9%였으며, '60대'(77.3%), '초졸'(66.7%)에서 응답이 매우 높았고, '치솔질 방법과 횟수'는 22.9%로 나타났으며, 연령(p < .05)과 학력(p < .05)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7. 임플랜트 치아는 완성 후 주기적 검진은 '6개월' 44.8%였으며, '20대'(58.3%), '고졸'(53.3%)의 경우에 응답이 높았고, '12개월'은 20.5%로 나타났으며, 연령 (p < .001)과 학력(p < .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 PDF

한국 성인의 대사증후군과 신체활동, 식이 형태의 관계 (The Relations between metabolic syndrome, physical activity, and dietary patterns in Korean adults)

  • 방소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662-672
    • /
    • 2019
  • 본 연구는 한국 성인의 대사증후군과 신체활동, 식이 형태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2016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한 2차분석 연구이다. 만 19세 이상 65세 미만이며 대상자 선정기준을 충족한 3,352명을 대상으로 복합표본 ${\chi}^2$-검증, t-검증,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사증후군 유병률은 남성 29.7%, 여성 16.7% 이었다. 남성의 경우, 저 신체활동군과 비교하여 고 신체활동군은 대사증후군에 이환될 가능성이 0.8배 증가하고(OR=0.8, p=.038), 지방을 많이 섭취할수록 대사증후군에 이환될 가능성이 0.98배 증가하였다(OR=0.98, p=.007). 여성의 경우, 저 신체활동군과 비교하여 고 신체활동군은 대사증후군에 이환될 가능성이 0.7배 증가하고(OR=0.71, p=.034),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섭취 비율이 높을수록 대사증후군에 이환될 가능성이 각각 1.03배(OR=1.03, p<.001), 0.96배(OR=0.96, p=.009), 0.95배(OR=0.95, p<.001) 증가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사증후군 유병률이 급증하는 성인을 대상으로 정기적인 신체검진을 통해 대사증후군 위험집단을 선별하고, 선별된 위험집단을 대상으로 대상자의 특성을 반영하여 규칙적인 고강도 신체활동과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섭취의 구체적인 지침을 제시하는 중재 프로그램이 개발 및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국내 아동 작업치료사의 평가도구 사용 동향 (Current Trend in Use of Occupational Therapy Assessment Tool by Pediatric Occupational Therapist)

  • 이선희;홍초롱;박혜연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3-33
    • /
    • 2018
  • 목적 : 본 연구는 국내 아동 작업치료사들이 사용하고 있는 평가도구를 영역별로 구체화하여, 평가도구의 사용 동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아동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평가도구 사용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평가도구의 하위영역은 작업수행, 일상생활활동, 교육, 놀이, 감각-지각, 운동 및 실행, 인지, 사회적 상호작용 기술, 발달, 이학적 검사로 구성하였다. 설문에 응답한 105명의 자료를 대상으로 기술통계 및 빈도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본 연구 결과는 초기 평가 시 소요되는 시간은 30~60분(41.9%)이 가장 많았으며, 재평가 주기는 3~6개월(41.0%)로 가장 많이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역 별 평가도구를 살펴보면, 작업 수행은 Canadian Occupation Performance Measure(55.2%)을, 일상생활활동은 Wee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57.1%)을, 교육은 School Function Assessment(2.5%)를, 놀이 평가도구는 Revised Knox Preschool Play Scale(28.6%)을, 감각-지각은 Developmental Test of Visual Perception(94.3%)을, 운동 및 실행 평가도구는 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2(42.9%)를, 인지 평가도구는 Lowenstein Occupational Therapy Cognitive Assessment(11.4%)를, 사회적 상호작용 기술은 Evaluation of Social Interaction(6.1%)을, 발달은 Denver Developmental Screening Test-II(92.4%)를, 이학적 검사는 임상관찰(89.5%)을 주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하여 국내 아동작업치료사들이 사용하고 있는 평가도구를 영역별로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추후 평가 교육 및 개발을 위한 기초적인 근거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