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tching ecology

검색결과 75건 처리시간 0.025초

대하(Penaeus chinensis) 수정난의 부화에 미치는 수온과 염분의 영향 (Effects of Temperature and Salinity on Hatching Rate of Fertilized Egg in Fleshy Shrimp, Penaeus chinensis)

  • 허성범;김현준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8
    • /
    • 1996
  • 본 실험은 대하의 효율적인 종묘생산을 위하여 수온과 염분에 따른 수정난의 부화율에 관한 실험으로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대하수정난의 부화에 미치는 수온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24^{\circ}C$에서 $95.5\%$의 가장 높은 부화율을 보였다. $20^{\circ}C$에서 $24^{\circ}C$까지는 수온이 올라갈수록 부화율은 높게 나타났으며, $26^{\circ}C$이상부터는 수온이 올라갈수록 부화율은 급격히 낮아져, $30^{\circ}C$에서는 전혀 부화가 되지 않았다. 염분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31\%_{\circ}$에서 $95.5\%$의 가장 높은 부화율을 보였다. $20\%_{\circ}$, 부터 $31\%_{\circ}$까지는 염분이 상승할수록 부화율은 증가하였고, $33\%_{\circ}$, 부터는 염분이 상승할수록 부화율은 낮아져 $40\%_{\circ}$, 에서는 $25.5\%$%로 급격히 감소하였다. 수온 $24^{\circ}C$에서의 부화속도는 다른 수온구에서보다 가장 빨랐고 특히 염분 $31\%_{\circ}$의 실험구에서는 18시간 만에 $30.5\%$, 48시간만에 $95.5\%$가 부화되어 가장 빠른 부화속도를 보였다. 대하수정난의 부화를 위한 최적 수온은 비교적 협온성이라고 할수있다. 또 최적수온인 $24^{\circ}C$에서도 자연해수의 염분구 $(33\~35\%_{\circ})$보다 다소 낮은 $30\~31\%_{\circ}$,에서는 약 $20\%$정도 더 높은 부화율이 유도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대하수정난 부화를 위한 최적염분 역시 협염성이며 특히 수온이 높을 때 염분이 부화율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민감하였다.

  • PDF

버들붕어, Macropodus chinensis의 생식생태와 초기생활사 (Reproductive Ecology and Early Life History of Paradise Fish, Macropodus chinensis (Pisces; Belontidae) in Aquarium)

  • 송호복;최신석
    • 생태와환경
    • /
    • 제33권3호통권91호
    • /
    • pp.282-294
    • /
    • 2000
  • 버들붕어, M. chinensis를 실험실에서 사육하면서, 생식생태와 초기생활사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성적으로 성숙한 수컷은 수표면에 기포소를 만들고 세력권을 형성하였으며, 암컷을 기포소 밑으로 유인한 후, 180$^{\circ}$ 회전한 자세로 산란과 방정을 하였다. 산란 행동은 1${\sim}$3시간 동안 계속되었으며, 수컷은 산란직 후부터 자어가 기포소를 벗어날 때까지 보호행동을 하였다. 다양한 수온 조건 중, 28$^{\circ}C$에서 산란 횟수와 산란수가 가장 많았으며, 난의 부화율은 26$^{\circ}C$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난은 투명하고 부성이었으며, 물 흡수 후 난의 크기는 0.95${\sim}$1.05 mm, 난황은 0.75${\sim}$0.80mm였다. 수온 26.0${\pm}$1$^{\circ}C$에서 난할은 약 15분 간격으로 진행되었으며, 42${\sim}$44시간만에 부화되었다 (전장 3.0${\sim}$3.2 mm). 부화 후 4${\sim}$5일 (전장 4.5${\sim}$5.4 mm)부터 먹이를 섭취하고 기포소 밖으로 흩어져 독립생활을 시작하였으며, 약 40${\sim}$45일 (전장 18.2${\sim}$23.5 mm)에는 치어기에 달하였다. 부화 후 90~110일에는 전장이 37.4${\sim}$48.2mm로 체형이 성어와 같아지고, 45.0 mm 이상의 개체들은 이차성징이 나타나 성구별이 가능하였으며, 전장 50.0 mm 전, 후에 달하는 약 120일 이후에는 산란에 이르렀다.

  • PDF

한국산 도롱뇽의 포식압 유, 무에 따른 성장률의 변화 (The Different Growth Rate by Predation Risk in Larval Salamander, Hynobius leechii)

  • 황지희;정훈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666-672
    • /
    • 2011
  • 본 연구는 포식압에 따라 서로 다르게 나타나는 성장률에 대하여 한국산 도롱뇽 유생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인왕산에서 채집해온 도롱뇽의 알(난괴)을 포식압 유, 무에 따라 두 그룹으로 나누었다. 포식자 cue로는 버들치의 체취를 이용하였고, 포식압이 존재하는 그룹은 하루 세 번 포식자의 cue에 노출되도록 하였다. 포식자 cue 처리는 알 채집일 다음 날부터 부화 후 1주일까지 하였고, 이후 각 유생의 snout-vent length를 버니어 캘리퍼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부화 후 1주일부터 2주일 사이의 기간 동안 각 그룹의 유생에게 충분한 양의 실지렁이를 먹이로 제공하였고, 남은 먹이는 제거하였다. 부화 후 2주일이 되는 날 각 유생의 snout-vent length를 다시 한 번 측정 한 후, 각 개체의 성장률을 계산하여 데이터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포식자 cue처리를 한 그룹은 그렇지 않은 그룹보다 낮은 성장률을 보였으며, 사망률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온도가 긴꼬리투구새우(Triops longicaudatus (LeConte): Triopsidae, Notostraca)의 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emperature on Hatching Rate of Triops longicaudatus (Triopsidae, Notostraca))

  • 권순직;권혁영;전영철;이종은;원두희
    • 생태와환경
    • /
    • 제42권1호
    • /
    • pp.32-38
    • /
    • 2009
  • 긴꼬리투구새우 알의 온도별 부화율을 파악하기 위하여 여러 온도조건 (10, 15, 20, 25, 30, 35, 40, 45, $50^{\circ}C$)으로 설정된 인큐베이터에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재료로 사용된 긴꼬리투구새우의 알은 2006년 7월 경상북도 안동시 일대의 농경지에서 포획한 것이다. 부화 성공률은 $35^{\circ}C$에서 80.0 (${\pm}9.4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온도조건 중 $10^{\circ}C$$50^{\circ}C$에서는 부화 현상이 일어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 긴꼬리투구새우의 부화 최저임계온도는 $6.66^{\circ}C$, 최적 부화 온도는 $35^{\circ}C$로 나타났으며, 부화 가능 온도 범위는 $15{\sim}45^{\circ}C$로 비교적 넓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쌀미꾸리(Lefua costata)의 산란기 특징 및 초기생활사 (Spawning Period Characteristics and Early Life History of the Eight Barbel Loach, Lefua costata (Pisces: Balitoridae))

  • 김형수;한미숙;고명훈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85-293
    • /
    • 2021
  •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쌀미꾸리(Lefua costata)의 산란기 특징 및 초기발달과정을 밝히고자 2018년 1월부터 12월까지 강원도 강릉시 옥계면 주수천 일대에서 수행되었다. 산란기는 생식소성숙도 변화와 당년생 치어 출현, 난경의 분포 등을 고려하여 5월부터 8월로 추정되었고, 다회 산란형이었다. 성비는 암컷 1,117개체, 수컷 879개체가 채집되어 1 : 0.79였다. 산란기 동안 확인된 난경은 0.24~0.93 mm로 성숙란과 미성숙란이 함께 확인되었다. 성숙란의 크기는 0.71±0.02 mm, 포란수는 평균 1,786±818 (n=31)개였다. 난 발달과정을 관찰한 결과 수정란은 점착성을 띤 회색의 분리침성난으로 난경은 0.76±0.03 mm였다. 25℃에서 수정 후 34시간(50%) 후에 부화하였으며, 부화직후 전기자어 크기는 전장 2.7±0.11 mm였다. 부화 후 4일에는 전장 4.5±0.16 mm로 난황이 모두 흡수되어 후기자어로 이행하였다. 부화 후 20일에는 전장 11.5±0.67 mm로 모든 지느러미 기조가 정수가 되어 치어기로 이행하였다. 부화 후 100일에는 전장 49.8±2.60 mm로 외형과 체측무늬는 성어와 비교적 유사하였다.

Efficacy of Different Nematicidal Compounds on Hatching and Mortality of Heterodera schachtii Infective Juveniles

  • Kim, Jeongeun;Mwamula, Abraham Okki;Kabir, Faisal;Shin, Jin Hee;Choi, Young Hwa;Lee, Jae-Kook;Lee, DongWoon
    • 농약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93-299
    • /
    • 2016
  • Effect of nematicidal compounds on hatchability of sugar beet cyst nematode, Heterodera schachtii and its infective juveniles was investigated. The sugar beet cyst nematode was isolated from Chinese cabbage field in Samcheok in Korea. Acute toxicity of nematicidal compounds against infective juveniles was also tested to find the $LC_{50}$ by exposing juveniles to given dilutions of each compound. Hatchability and mortality of infective juveniles of H. schachtii were influenced by nematicidal compounds (Fluopyram 40% SC, imicyafos 30% SC, fosthiazate 30% SC, abamectine 1.68% SC, terthiophene, and Eclipta prostrata extract). Fluopyram and imicyafos yielded the lowest rates of hatching. Total hatched infective juvenil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nematicidal compounds. Positive correlation in percentage reduction of hatching was observed in fluopyram. Furthermore, the highest mortality was also observed in the treatments of fluopyram and imicyafos ($LC_{50}$ of 0.0543 and 0.0178 ppm respectively). The study, therefore, demonstrated available alternative nematicidal compounds which could be used in the control of H. schachtii.

좀구굴치 ( Micropercops swinhonis ) 의 산란습성 및 초기 난발생 (Breeding Habits and Egg Development of the Goby, Micropercops swinhonis)

  • Kim, Ik-Soo;Byung-Jik Kim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9권5호
    • /
    • pp.477-486
    • /
    • 1996
  • The freshwater goby, Micropercops swinhonis ($G\"{u}nther$) was studied on the spawning behavior and egg develeopment at the two areas of Chollabukdo, Korea from March to May 1995. Egg mass attached to a layer under stones and the inner wall of waterplant, Cyperus. Spawning behavior was divided in to 1) premating stage: selecting spawning sites and formation of territory by male, 2) mating stage: enticement with zigzag-like dance and intermittant shaking of head by male and fertilization, 3) postmating stage: fanning, guarding and cleaning the nest by male. The eggs were transparent and spherical in shape, measuring $0.9\times1.4mm$ with yellowish yolk sac and many oil globules. Hatching began in about ten days after fertilization at water temperature $16~20^{\circ}C$. The newly hatched larvae were 3.8~4.0 mm in total length with 30 myomeres and their mouths and anuses were opened. Melanophores appeared at the air-bladder and the ventral side of caudal region.gion.

  • PDF

큰허리노린재(노린재목: 허리노린재과)의 발육 (Development of the Leaf-Footed Bug Molipteryx fuliginosa (Hemiptera: Coreidae))

  • Park, Sang Ock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9권6호
    • /
    • pp.575-582
    • /
    • 1996
  • Molipteryx fuliginosa (Uhler, 1860) is a plant juice sucker which feeds on new tips of Rubus oldhami Miquel and Zelkowa serrata Makino, and it has a strong preference for teses two plants in Korea. M. fuliginosa has one generation a year and hibernates as a young adult. Most of the winter survivors emerge in early May. It is the first time their host plants were found and reported. Females mainly lay their eggs one by one separately on the leaves of R. oldhami, and even on the steel wire, the lid guaze and the ground in the laboratory. Nymphs do not gather, but stay on the hatching site, Nymphs except the non-feeding first instar feed on young shoots. From the second to the fifth instar nymphs migrate to the upper part of the shoot and congregate in part on an expanded leaf. The new adults first appeared on 11 August, and remained in the host plant, and fed on until mid October. The duration of the hatching and molting, and the survivorship curve based on the laboratory rearing were determined.

  • PDF

수리부엉이의 둥지에서 어미의 죽은 새끼 섭식 행동 (Eurasian Eagle Owl's Behavior of Eating Dead Chick in a Nest)

  • 신동만;김승민;백운기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595-597
    • /
    • 2008
  • 경기도 이천에서 3개의 알을 산란하여 포란 중인 수리부엉이 둥지를 촬영하였다. 2개의 알에서 새끼가 부화하였으나 1마리는 사라졌고, 2007년 3월 8일 남은 1마리가 사망한 후 어미는 죽은 새끼를 먹었으며, 이튿날 어미는 번식을 포기하고 둥지를 떠났다.

낙동강 하구에 서식하는 자주새우(Crangon affinis)의 생태학적 연구 (Ecology of Sand Shrimp, Crangon affinis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Korea)

  • 홍성윤;오철웅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351-362
    • /
    • 1989
  • Ecology of Crangon affinis was studied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fron June 1988 to May 1989. The growth rate of female was similar to that of male. Size differences, however, were apparent between female and male. Sex ratio varies with season. The major spawning season was from June 1988 to May 1989 except for November 1988. The number of eggs of the largest ovigerous female (35.55mm TL) was over 4,000, while that of the smallest ovigerous female (15.05mm TL) more than 120. The mean number of eggs was 1778. The size of winter eggs is larger than that of the summer eggs. The mean percentage of egg loss from brooding to hatching was $29.06\%$. The rate of egg loss decreases with increasing age. Major component of food organisms includes mysids and polycheat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