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rd seed

검색결과 83건 처리시간 0.042초

헤어리베치 수확 시기에 따른 종자 수량, 발아율 및 경실종자 비율 변화 양상 (Change of Seed Yield, Germination Rate and Hard Seed Rate with Harvest Time in Hairy Vetch (Vicia villosa Roth))

  • 구자환;김민태;손범영;이진석;김정태;황종진;백성범;문중경;권영업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57-164
    • /
    • 2012
  • 본 시험은 친환경농업 및 조사료 용도로 재배가 증가하고 있는 헤어리베치를 대상으로 국내 헤어리베치 종자 채종 시 개화 후 경과 일시에 따른 채종 수량 추이를 조사하여 안전 다수확 채종 기간을 구명하기 위하여 경기도 수원시에 위치한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시험포장에서 헤어리베치 품종 '청풍보라'를 이용하여 2009년부터 2011년까지 3개년에 걸쳐 시험하였다. 2009년도는 개화 후 35일 (6월 11일), 42일 (6월 18일), 48일 (6월 24일), 54일 (6월 30일), 58일 (7월 4일) 등 5회, 2010년도는 개화 후 35일 (6월 21일), 42일 (6월 28일), 48일(7월 4일), 54일 (7월 10일), 58일 (7월 14일) 등 5회, 그리고 2011년에는 개화 후 39일 (6월 21일), 49일 (7월 1일), 53일 (7월 5일) 등 3회 수확하여 종자 수량과 발아율을 조사한 결과 종자 수량은 개화 후 경과 일수와 비례하여 증가하다가 개화 후 42일 (2010년도), 49일 (2011년도), 54일 (2009년도)에 정점을 나타낸 이후 도복으로 인한 꼬투리 소실로 수량이 감소하였다. 수확 시기가 늦어질수록 1,000립 중과 발아율이 증가하였으나 장마기 이후에 수확 된 종자는 수발아 종자 발생이 증가하였다. 이상의 본 시험 결과에 의하면 헤어리베치 종자 안전 다수확을 위한 수확 시기는 개화 후 42일에서 54일 사이에 장마 전 기간으로 판단되었다.

잇꽃 종자의 발아에서 제(Hilum)의 형태적 특성과 기능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Function of Hilum in Safflower Seed Germination)

  • 안석현;정남진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1권1호
    • /
    • pp.117-122
    • /
    • 2013
  • 본 실험은 경실 종자인 잇꽃의 종자구조와 발아특성을 밝히고자 수행하였다. 잇꽃 종자의 외형적 특징은 단단한 종피 표면에 제(hilum)와 주공(micropyle)이 있으며, 제는 종자의 발달과정에서 태좌와 연결되어 있었고, 주공은 암술대와 연결되어 있었던 부분이다. 종자 침종 후 2-3시간 후에 제의 표면이 열렸으며, 발아 시 유아(embryo)가 제를 뚫고 돌출되었다. 잇꽃 종자의 흡습 전에 제와 주공에 파라핀을 처리하여 밀봉한 결과, 제 부위를 밀봉한 처리에서 종자의 발아가 이루어지지 않아 잇꽃 종자의 수분과 산소 교환이 제를 통하여 이루어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잇꽃 종자의 제가 물에 잠기도록 수분을 공급한 발아실험(top of paper method)에서는 $15^{\circ}C$에서 31.3%, $20^{\circ}C$에서 15.7%, 그리고 $25^{\circ}C$에서 6.0%가 발아하였으며, between-paper method에 의한 실험에서는 $15^{\circ}C$에서 45.5%, $20^{\circ}C$에서 30.0%, $25^{\circ}C$ 14.0%로 발아율이 나타났고, 토양에 파종한 종자는 온도에 관계 없이 80% 내외의 발아율을 보여, 잇꽃 종자의 발아에 수분공급 조건과 온도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다. 제(hilum)의 내부 구조를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을 이용하여 관찰한 결과 도관요소를 구성하는 세포로 이루어져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잇꽃 종자의 제(hilum)는 발아과정에서 수분흡수와 가스교환 통로가 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Estimation of Oil Yield of Perilla by Seed Characteristics and Crude Fat Content

  • Oh, Eunyoung;Lee, Myoung Hee;Kim, Jung In;Kim, Sungup;Pae, Suk-Bok;Ha, Tae Joung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3권2호
    • /
    • pp.158-163
    • /
    • 2018
  • Perilla (Perilla frutescens var.frutescens) is an annual plant of the Lamiaceae family, mainly grown for obtaining oil by press extraction after roasting the seeds. Oil yield is one of its important traits, but evaluating this yield is time-consuming, requires many seeds, and is hard to adjust to pedigrees in a breeding fiel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method for selecting high-oil-yield lines in a breeding population without oil extraction. Twenty-three perilla cultivars were used for evaluating the oil yield and seed traits such as seed hardness, seed coat thickness, seed coat proportion and crude fat. After evaluation of the seed traits of 23 perilla cultivars, the ranges of oil yields, seed hardness, seed coat thickness, seed coat proportion, 100-seed weight, and crude fat were 24.68-38.75%, 157-1166 gf, $24-399{\mu}m$, 15.4-41.5%, 2.79-6.69 g, and 33.0-47.8%, respectively. In an analysis of correlation coefficients, the oil yield negatively correlated with seed length, seed width, the proportion of seed coat, seed hardness, and 1000-seed weight, but positively correlated with crude fat content. It was observed that as the seed coat proportion increased, the seed coat thickness, hardness, and 1000-seed weight also increased. Multiple linear regression (MLR) was employed to find major variables affecting the oil yield. Among the variables, traits crude fat content and seed coat proportion were assumed to be indirect parameters for estimating the potential oil yield, with respect to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observed oil yield ($R^2=0.791$). Using these two parameters, an equation was derived to predict the oil yiel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various seed traits in 23 perilla cultivars positively or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oil yield. In particular, crude fat and the seed coat proportion can be used for predicting the oil yield with the newly developed equation, and this approach will improve the efficiency of selecting prominent lines for the oil yield.

갈대 및 가는갯능쟁이의 발아에 미치는 NaCl의 효과 (Effect of NaCl on Germination of Artiplex gmelini and Pharagmites communis)

  • 김관수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28권3호
    • /
    • pp.253-259
    • /
    • 1985
  • The results of the conducted experiment obtained basic data on seed germination for Phragmites communis and Atriplex gmelini were; Seed germination was not influenced till 0.5% NaCl, but at over 1.0% NaCl it dropped remarkably. The germination limit fro degree of NaCl was 2.0% in Phragmites communis. Atriplex gemelini was 2.5% and in accordance with the increase of the degree of NaCl. Germination speed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being highly significant and the germination period lengthened. Compared with growing top plants, growth of roots was largely influenced by a high degree of NaCl. In accordance with the rise of temperature, the germination rate, and speed of both plants remarkably increased and the germination period was shortened. Ubride of Atriplex gmelini was germinated at the early days of picking but was not as the passing of the period. The seeds also did not germinated likewise Ubride. By a seedcoat breaking germination became 81%. During 20 min soaking treatment in conc H2SO4 seed germination possibility of 63% was known to be hard. Adequate soaking time in conc H2SO4 was 17.5 min.

  • PDF

한정 용량 차량 경로 탐색 문제에서 이분 시드 검출 법에 의한 발견적 해법 (The Bisection Seed Detection Heuristic for Solving the Capacitated Vehicle Routing Problem)

  • 고준택;유영훈;조근식
    • 지능정보연구
    • /
    • 제15권1호
    • /
    • pp.1-14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한정 용량 차량 경로탐색 문제(CVRP, Capacitated Vehicle Routing Problem)에서 이분 시드 검출 방법(Bisection Seed Detection)을 이용한 휴리스틱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이 알고리즘은 3단계로 구성된다. 1단계에서는 improved sweep 알고리즘을 이용해서 초기 클러스터를 구성한다. 2단계에서는 1단계에서 얻은 각 클러스터에 대하여 이분 시드 검출 법을 이용해서 seed 노드를 선택하고, regret 값에 따라 각 경로에 고객 노드들을 삽입 함으로서 차량 이동 경로를 생성한다. 3단계에서는 tabu 탐색 방법과 노드 교환 알고리즘(node exchange algorithm)을 이용하여 2단계에서 얻어진 각 경로를 더욱 향상 시킨다. 본 논문의 실험에서는 제안된 휴리스틱이 비교적 빠른 시간 내에 최적 근사 값을 얻을 수 있음을 보였으며, 이는 빠른 실행 시간을 요구하는 실 업무에 유용하다.

  • PDF

국내 채종 및 수입 녹비작물 종자의 발아 및 활력 특성 구명 (Germination and Viability of Green Manure Crop Seeds Produced from Domestic and Foreign Countries)

  • 김상열;오성환;한상익;서우덕;장기창;나지은;이종희;조준현;이지윤;최경진;송유천;여운상;강항원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308-314
    • /
    • 2011
  • 녹비종자의 입모증진 및 지속재배 가능성을 구명하고자 국내산 녹비종자의 종자의 성숙시기별 발아 및 휴면 특성과 수입녹비종자의 종자활력유지기간을 구명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녹비종자의 채종시기별 발아율은 5월 25일에서 6월 4일로 종자 성숙이 진전 될수록 경실율이 높아져 낮아졌다. 6월 4일 수확한 녹비종자의 무처리 발아율은 마메초 30%, 크림손클로버 16%, 살갈퀴는 2%로 낮았으나 종피 파상처리후 종자활력은 마메초 85%, 크림손 클로버 94%, 살갈퀴는 95%로 높아 녹비종자의 휴면은 종자경실에 기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2. 녹비종자 성숙시기별 종자 활력은 크림손클로버와 살갈퀴는 5월 30일 이후에는 90%이상으로 높았으나 마메초는 77~85%로 낮아 크림손클로버와 살갈퀴는 밀양에서 5월 30이후 완전히 성숙이 되었으나 마메초는 6월 4일까지도 성숙이 되지 않았다. 3. 6월초에 수확한 녹비종자를 상온저장 후 매월 발아율 및 경실율(휴면율)을 조사한 결과,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경실종자의 비율이 감소하여 발아율이 증가하였으나 녹비종자 파종시기인 9월까지도 발아율이 26~34%로 낮았다. 따라서 국내 생산 녹비종자 이용시 9월 파종직전 휴면타파 처리를 해야 안전 입모수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4, 수입 녹비종자의 광조건이 암조건보다 발아율이 4~5% 정도 높았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어 녹비종자의 발아에 광의 영향은 크게 받지 않았다. 5. 수입 헤어리베치와 크림손클로버 종자를 상온보관시 1년후에는 발아율이 헤어리베치는 18∼32%, 크림손 크로버는 30~40%가 낮았고, 2년후에는 발아율이 헤어리베치는 5~13% 정도로 낮고 크림손클로버는 전혀발아가 되지 않아 수입후 2년이 경과한 종자는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Endocarp in Relation to Seed Dormancy of 18 Rubus Species in Korea

  • Choi, Go Eun;Jeong, Mi jin;Lee, Hayan;Ko, Chang Duck;Park, Jae In;Ghimire, Balkrishna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51권6호
    • /
    • pp.15-22
    • /
    • 2017
  • The microstructure observation of seed surface structure is needed for protocols of breaking dormancy of seeds with physical dormancy. The seeds of Rubus species are surrounded by a thick, hard endocarp; together, the seed and endocarp make up the stone. We evaluate stone characteristics of 18 species of Rubus through optical microscopic observation, and correlate different stone characteristics with endocarp thickness. As a result of stone size comparison, Rubus species were classified as big stones group including R. parvifolius and R. idaeus, small stones group including R. longisepalus var. longisepalus, R. corchorifolius and R. hirsutus, and middle stones group including rest of the species. The result of this study revealed that stone size and the endocarp thickness in Rubus species was various characteristics in each species. Furthermore stone size and stone weight were also well correlated endocarp thickness and result indicated that heavy stones had harder endocarp than lighter one. Thus from the result of this study it can be presumed that only one stone characteristic approach may be sufficient to estimate other characteristics in Rubus.

Effect of Pre-sowing Treatments on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Canarium resiniferum, A Rare Native Tree of Bangladesh

  • Hasnat, G.N. Tanjina;Hossain, Mohammed Kamal;Alam, Mohammed Shafiul;Hossain, Md. Akhter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3권3호
    • /
    • pp.226-232
    • /
    • 2017
  • Dhup (Canarium resiniferum) is an economically and aesthetically important rare native tree species of Bangladesh. In natural condition 78.5-98.7% seeds do not germinate due to inhibition by hard seed coat, seed predation and unfavorable environmental conditions. A study was conducted in the Seed Research Laboratory and nursery of Institute of Forestry and Environmental Sciences, Chittagong University, Bangladesh in 2013 to find out appropriate pre-sowing treatments for maximizing germination and initial seedling growth. Eleven pre-sowing treatments were provided in both the seeds sown in polybags and seeds sown in propagator house. Results revealed that, germination started at first (after 20 days of seed sown) in seeds immersed in water at room temperature for 24 hours and germination completed within 38 days. Significantly higher (p<0.05) germination percentage (33%), germination energy (16.7%), plant percent (33%) and germination value (0.4) was found with seeds immersed in water at room temperature for 24 hours. Seedling height measured at three, four and five months after the seed germination in case of seeds treated by immersion in water for 24 hours was also greater than others. Therefore, pre-sowing treatment by immersion in water at room temperature for 24 hours was more effective in germination and production of quality vigor seedlings of Dhup.

Assessment of different pretreatments to breakage dormancy and improve the seed germination in Elaeocarpus serratus L. - an underutilized multipurpose fruit tree from South India

  • Raji, R.;Siril, E.A.
    • Forest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4권4호
    • /
    • pp.160-168
    • /
    • 2018
  • The seeds of Elaeocarpus serratus, a tropical underutilized fruit tree are characterized by hard seed coat and consequent poor water uptake and low germination. To improve the regeneration through seeds, various parameters such as viability of seeds, water uptake, and effect of seed mass on germination and pretreatments were performed using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CRD). Tetrazolium (TZ) test was conducted using fresh, mature seeds revealed $50{\pm}2.56%$ mean viability. Seeds of different weight classes showed similar pattern of water uptake and the saturation level was achieved at 60 hrs of soaking. Seeds belong to weight class 2.6-3.5g were germinated ($12.5{\pm}1.26%$) with $175{\pm}1.75days$ (d) of mean time taken for germination (MTG). Germination capacity of seeds varied significantly among different populations and Varkala population gave $12.5{\pm}1.1%$ germination with $174.6{\pm}2.5d$ MTG. Among various seed treatments, mechanical scarification was superior in germination and significant reduction in MTG ($p{\leq}0.05$). The mechanical scarification by complete removal of seed coat resulted in $49.2{\pm}1.52%$ germination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9.52{\pm}0.89d$ MTG). However, the complete removal of seed coat without damaging to embryo is a difficult task. An alternate treatment (Mechanical scarification II) by making cracks on nut faces vertically followed by soaking in distilled water for 24 hrs gave $48.4{\pm}1.73%$ germination with significantly reduced MTG ($12.14{\pm}0.56d$) over unsoaked, untreated control ($6.5{\pm}1.84%$ germination and $197.18{\pm}1.79d$ MTG; $p{\leq}0.05$). This treatment (Mechanical scarification II) is therefore recommended for E. serratus seeds as it can adopt easily and can achieve 7 fold increases in germination over control. The recorded germination through mechanical scarification is in tune with realized viability percentage of the seeds.

한국, 일본에서 수집한 들깨와 차조기의 재배형 및 잡초형들의 종자발아 변이 (Variation of Seed Germination Among Cultivated and Weedy Types of Perilla Crop in Korea and Japan)

  • 정지나;유창연;김종화;이주경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270-278
    • /
    • 2009
  • 본 연구는 우리나라와 일본에서 재배 및 이용하고 있는 들깨, 차조기 그리고 이들 잡초형 69 계통들에 대하여 종자 특성 및 종자발아 변이에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재배형 들깨에서 측정된 100립중은 0.177 g에서부터 0.402 g까지의 범위였고, 종자경도는 대부분의 계통들이 잘 부스러지는 부드러운 특성을 지니고 있었으나, 일부 계통들은 잘 부스러지지 않는 딱딱한 특성을 지니고 있었다. 반면에 잡초형 들깨에서 측정된 100립중은 0.045 g에서부터 0.172 g까지의 범위였고, 종자경도는 모든 계통들이 잘 부스러지지 않는 딱딱한 특성을 지니고 있었다. 2. 재배형 차조기에서 측정된 100립중은 0.054 g에서부터 0.101 g까지의 범위였고, 잡초형 차조기에서 측정된 100립중은 0.059 g에서부터 0.135 g까지의 범위였으며, 그리고 이들의 종자경도는 모든 계통들이 잘 부스러지지 않는 딱딱한 특성을 지니고 있었다. 3. 실온 및 $28^{\circ}C$ 항온조건의 발아율 조사에서 수확 후 1개월째에서는 들깨의 잡초형 그리고 차조기의 재배형 및 잡초형 계통들은 대부분이 50% 이하의 낮은 발아율을 나타내었으나, 재배형 들깨의 일부 계통들이 50% 이상의 발아율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2개월 및 3개월이 경과한 상태에서 들깨의 재배형 및 잡초형 그리고 차조기의 재배형 및 잡초형 계통들은 50% 이상의 발아율을 나타내는 계통들이 많이 나타났다. 4. 들깨와 차조기 작물의 재배형 및 잡초형 계통들에서의 평균발아율 및 평균발아세는 수확 후 1개월째에서 가장 낮고 수확 후 3개월째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실온 및 $28^{\circ}C$ 항온조건에서의 발아율과 발아세는 $28^{\circ}C$ 항온조건 보다는 실온조건에서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