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ppiness education program

검색결과 102건 처리시간 0.023초

초등과학영재학생의 인성, 생애목표와 행복감의 관계 (A study to Explore the Effect Relationship of Character and Life Goal on Happiness for Gifted Elementary Students in Science)

  • 장희선
    • 영재교육연구
    • /
    • 제26권1호
    • /
    • pp.161-185
    • /
    • 2016
  • 본 연구는 초등과학영재학생의 인성, 생애목표, 행복감 특성을 파악하고, 각 변인 간의 관련성을 바탕으로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독립표본 t-검증, 다중회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과학영재학생이 일반학생보다 높은 수준의 책임, 윤리, 긍정적 자기이해 인성특성과 기여목표를 보이는 반면, 물질목표와 이미지목표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둘째, 인성, 생애목표와 행복감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배려/봉사의 인성특성을 보이는 학생이 내재적 목표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배려/봉사가 높고, 공감이 낮을수록 외재적 목표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려/봉사와 긍정적 자기이해가 높을수록, 자기조절은 낮을수록 행복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초등과학영재학생은 기여목표, 관계목표를 가질수록 행복감이 높은 반면, 성장목표, 물질목표를 가질수록 행복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인성은 생애목표보다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상대적으로 더 잘 설명하는 변인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초등 영재들의 행복감을 높이고, 동시에 영재의 품성 개발을 위한 인성 및 상담교육 방안을 모색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대구행복역량교육의 성과 분석: 교육과정 편성·운영을 중심으로 (Analysis of the Achievements of Daegu Happiness Competency Education with a Focus on Curriculum)

  • 박찬호;정일환
    • 비교교육연구
    • /
    • 제28권4호
    • /
    • pp.221-248
    • /
    • 2018
  • 본 연구는 21세기 핵심역량이 대두되면서 시작된 대구행복역량교육의 교육과정 편성 운영 측면에서 성과를 분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교육과정 편성 운영의 측면에서 볼 때 학생, 학부모, 교원 교육전문직은 대구행복역량교육에 대하여 모두 중간 이상 수준의 인식을 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평균치를 비교하면 학생과 학부모는 큰 차이가 없었고 교원의 인식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았는데 이는 교원이 교육과정 편성 운영의 주체라는 점에서 이해 가능한 결과이다. 또한 학부모는 학교급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데 반해, 학생과 교원은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예측과는 달리 학생과 교원 모두 학교급이 올라가면서 인식 수준이 낮아졌으며, 특목고 자율고와 특성화고에서 가장 낮은 결과를 보였다. 이는 대구행복역량교육이 2014년에 본격 시행되어 아직 초기라는 점과 함께 대학 입시나 취업으로 인한 부담으로 새로운 교육과정을 인식하고 받아들일 여지가 적었기 때문일 것으로 볼 수 있다. 앞으로 교육과정이 안착되면서 자연히 개선되겠으나 여기에서 대구행복역량교육의 안착을 위한 시사점도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교육과정 편성 운영에 대한 평가를 CIPP 모형에 근거한 설문 조사를 실시함으로써 상황, 투입, 과정, 산출로 나누어 평가한 결과, 학생과 학부모는 산출에 대해 매우 높은 평가를 내리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반면, 교원의 경우 투입에 대한 평가가 가장 높았다. 비록 학생과 학부모는 상황과 투입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지 않았으나 학생과 학부모의 산출평가 문항 평균값이 교원의 투입평가 문항 평균값과 유사하였다. 성과에 해당하는 산출평가만을 기준으로 한다면 교육의 대상인 학생들로부터 교육과정 편성 운영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는 점은 매우 의미 있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중학생의 주관적 웰빙 향상을 위한 가정과 여행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실행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 Travel Education Program in Home Economics to Improve Subjective Well-being of Middle School Students)

  • 신지혜;박미정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91-110
    • /
    • 2023
  • 이 연구는 중학교 가정과의 여행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실행한 후 중학생의 주관적 웰빙이 향상되었는지 살펴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가정과 '너와 나의 행복 여행' 교육 프로그램을 ADDIE 설계 모형에 따라 개발하고 실행한 과정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가정과의 여행 교육 프로그램은 '너와 나의 행복 여행'이라는 제목으로 시간관리, 식생활, 주생활 내용 요소를 통합하여 설계하고 총 6차시의 교수·학습과정안과 교수학습자료를 개발하였다. 둘째, '너와 나의 행복 여행' 은 청주시 소재 B중학교 1학년 남녀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6차시 실행하였고, 실행 결과 가정과의 여행 교육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주관적 웰빙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가정과의 여행 교육 프로그램은 청소년의 부정적 정서를 감소시키고 삶의 가치에 대한 인식을 긍정적으로 변화시켰다. 가정과의 여행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는 4.03으로 매우 높았으며, 수업 내용 만족도, 수업 흥미도, 수업의 중요성 인식에서 70% 이상의 학생들이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본 연구는 가정과에서 여행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행하여 효과를 검정한 첫 시도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가정교육 분야에서 여행 및 여가 교육의 확장 및 활성화를 제안하였다.

유아 행복에 대한 인식 (Perception of Young Children Happiness)

  • 이효숙;조준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1호
    • /
    • pp.680-685
    • /
    • 2015
  • 본 연구는 전라남도 K광역시 유아교육기관 6,7 세 유아를 대상으로 행복에 대한 인식을 알아본 것이다. 연구 결과, 첫째, 6, 7세 유아들은 행복에 대한 인식을 자아특성 중 사랑하는 것과 좋은 것과 같은 긍정정서를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7세 유아들은 자아 특성뿐 아니라 가족과 함께 하는 대인관계도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둘째, 6, 7세 유아들은 가장 행복할 때에 대한 인식을 인지 영역 중 놀이 활동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고, 또한 대인관계의 가족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으나, 6에 유아에 비해 7세 유아들이 사랑하는 것과 같은 긍정 정서를 더욱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다. 셋째, 행복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 까에 대한 6, 7세 유아의 인식은 대인관계는 부모님 말씀을 잘 들어야 한다는 가족관계와 친구와 사이좋게 놀기와 같은 또래 관계를 중요하게 인식하였으나, 7세 유아가 인지 영역 중 공부를 열심히 해야 한다는 목표를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였지만, 6세 유아는 목표를 중요하게 인식하지는 못하였다. 자아 특성은 긍정 정서를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이로써 유아들의 행복에 대한 인식은 긍정 정서가 가장 중요하며, 가족과 함께 하는 대인관계와 또래와 놀이 활동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7세 유아들은 6세 유아에 비해 행복하기 위해 열심히 공부해야 한다는 목표의식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유아 행복을 위한 긍정 정서 증진 프로그램의 개발과 가족과 함께 할 수 있는 다양한 부모 참여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언한다. 또한 7세 유아들은 위해 목표 설정을 통한 유아 진로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제언한다.

보육교사의 행정 업무 스트레스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Childcare Teachers' Office Stress on Happiness and the Mediation Effect of Teacher Effectiveness)

  • 김혜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331-337
    • /
    • 2020
  •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행정업무스트레스와 행복감 및 교사효능감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J 지역 보육교사 24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Jamovi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와 관련성과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행정업무 스트레스와 교사효능감, 행복감은 정규성 가정을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업무 스트레스와 교사효능감, 행복감 간의 관계 분석에서 행정업무 스트레스와 교사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인 상관이 나타났고, 행복감과 교사효능감은 유의한 정적인 상관을 나타냈다. 또한 행복감과 행정업무 스트레스의 상관에서는 부적인 상관을 나타냈는데 이는 행정업무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교사효능감과 행복감은 감소하고, 행복감이 높을수록 교사효능감이 높아진다고 볼 수 있다. 셋째, 행정업무 스트레스는 행복감과 교사효능감을 의미있게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매개효과에서 교사효능감은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행복감과 교사효능감에서 행정업무 스트레스가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고, 보육교사 처우 개선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군인의 건강위험행위,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및 행복감과의 연관성 (Relationship between health risk behaviors,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HIP-14) and happiness in soldiers)

  • 박민선;장종화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1159-1169
    • /
    • 2017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health risk behavior,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OHIP-14) and happiness in soldier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Gangwon and Chungchong provinces from the first to the $15^{th}$ of October, 2016. Excluding five copies with incomplete answers, 203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were analyzed. Health risk behaviors (drinking and smoking), perceived oral health, OHIP-14 and happiness were measured. The data were analyzed with a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SPSS 22.0 program. Results: The amount of daily cigarette consumption of soldiers (66 people) was an average of 10.11 cigarette. The mean of OHIP-14 and that of happiness were 4.43 and 4.05, respectively. The higher the quality perceived oral health, the better the OHIP-14 (r=0.234) and happiness (r=0.192) were. The higher the OHIP-14, the higher the happiness (r=0.357). OHIP-14 was related to army, perceived oral health and happiness.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model was 17.0%. Conclusions: OHIP-14 is associated with happiness. These results suggest that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s and policies need to be developed to instill happiness in soldiers.

임상치과위생사의 행복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Influencing factors on happiness index in clinical dental hygienists)

  • 민희홍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9
    • /
    • 2015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use of happiness index in dental hygienists. This study can be use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nd the turnover intention in the dental hygienists. Methods: The subjects were 281 dental hygienists in Seoul, Gyeonggi-do, and Chungcheong province.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the subject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7 questions of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7 questions of dental hygiene performance, and 9 questions of happiness index. The instrument for happiness index was modified from Suh and Koo. Cronbach's alpha was 0.850 in the happiness index measure by Likert 7 scale. The instrument for professionalism was modified from Baek and consisted of 25 questions measure by Likert 5 scale. Cronbach's alpha was 0.694 in the professionalism. The instrument for turnover intention was modified from Lee and consisted of 5 questions measured by Likert 5 scale. Cronbach's alpha was 0.712 in turnover intention.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for one way ANOVA, Duncan posthoc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Results: The means of happiness index, professionalism and turnover intention of subjects were 4.44, 3.06 and 3.05, respectively. The happiness index was higher in those who are married(4.66), those who have high income, and those who have careers in dental hygienists(4.6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happiness index by the average daily working hours, place of treatment, work intensity and off duty hours.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improvement of the happiness index in clinical dental hygienists requires the continuing and systematic education program and administrative support that can reduce the turnover intention.

교과과정으로서의 결혼준비교육 프로그램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W대학교 학생을 중심으로- (A Exploratory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Premarital Preparation Education as Curriculum)

  • 홍달아기;신현실
    • 한국가정과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29-47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marital information that premarital preparation education program is to actively help families happiness, to be reinforced by the developmental service and the protective service. The premarital education program to help unmarried or premarital couples to begin initial adaptation for successful marriage. This program is to enrich the marital relationship provided with the wholesome, potent marital system as center of a family. and further to development preserve. enhance a healthy, genial family relationship. Particularly the elevated marital relationship. The data were collected for 122 collage students. The data were analyzed by statistical methods such as frequency percentage. This program is for college students as curriculum. So it was consisted of fourteen-sessions. The sessions included as follows: Intimacy & Love. Mate Selection. Understanding Together, Communication, Family Stress & Coping, Understanding Marriage & Family Dynamics. Gender Role & Power Intimacy. Sexuality & Relationship. Financial Management, Marriage Preparation. Evaluation.

  • PDF

간호사가 지각한 간호조직문화와 행복지수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and Happiness Index on Turnover Intention among Nurses)

  • 김경남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61-72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and happiness index on turnover intention among nurs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77 nurses who were working at 3 general hospitals in B city. The data were collected by structured questionnaire from July 1 to August 28 of 2013.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with SPSS Win 20.0 using descriptive method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urnover intention wer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for affiliative 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r=-.137, p=.008), happiness index(r=-.290, p<.001).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for innovative 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r=.123, p=.017), rank 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r=.126, p=.015), task 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r=.218, p<.001). Factors affecting for turnover intention were happiness index(${\beta}$=-.297, p<.001), rank 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beta}$=.266, p<.001), nursing experience(${\beta}$=.199, p=.009), affiliative 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beta}$=-.142, p=.034). The explained variances for were turnover intention among nurses 17.2%. Based on the study consider to development and education program of happiness index and affiliative 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for nurses in the hospital setting.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이 교사전문성과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nse of Happiness on Teacher Professionalism and Teacher Efficacy of Pre-service Teachers)

  • 고정완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155-165
    • /
    • 2019
  •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사전문성 및 교사효능감 간의 관계와 행복감이 교사전문성과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지역 예비유아교사 264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통계처리는 SPSS 22.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Pearson의 상관계수와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사전문성 및 교사효능감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행복감 전체와 하위 요인인 외적행복, 내적행복, 자기조절행복과 교사전문성 및 교사효능감 간에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이 교사전문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행복감 전체와 하위요인인 외적 행복감, 내적 행복감, 자기조절 행복감 모두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였다. 다음으로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행복감 전체와 하위요인인 외적 행복감, 내적 행복감, 자기조절 행복감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는 학교생활동안 예비유아교사들의 행복감을 증진하고 유아교사 양성기관의 교육 내용 및 과정에 긍정적인 측면을 강화하여 교사교육에 대한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