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nwoo steer

검색결과 164건 처리시간 0.027초

환경 친화적 한우 거세우 사양을 위한 도체특성 성분 간 비율과 육량지수 간 관계 분석 (Analysis of Relation between Carcass Trait Components and Yield Index for Environment Friend Hanwoo Steer Breeding)

  • 조상범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25-235
    • /
    • 2019
  • The present study hypothesized that ratio between carcass traits components could be applied for the understanding of yield index in Hanwoo steer. A thousand data was generated based on average carcass weight (CW), loin area (LA) and backfat thickness (BT) of Hanwoo steer in December 2018 for analysis 1. Then yield index (YI) was calculated using newly established yield index equation. The correlation between yield index and each carcass traits was visualized. In the interaction between carcass traits components (LA, CW, BT) and YI, only the interactions including BT showed a regular pattern to YI. Then changes of YI according to ratio of carcass traits components were investigated. The observed interactions between LABT and CWBT were similar with Monod equation model. The changes of YI to LABT and CWBT were fitted to Monod equation, and yield constants (K1 for LABT; K2, CWBT) of each equation were calculated as 0.47 and 2.20, respectively. Carcass traits from 5 commercial Hanwoo steer farm were then employed in the second analysis. Yield constants of each farm were estimated. In estimation, R2 value for K1 (LABT) showed greater than the K2 (CWBT). Finally, each farm was plotted based on their K1 and K2 values and it was found that greater yield index of Hanwoo steer was found as increased K1 and K2. As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K1 and K2 values for understanding of yield grade equation and their application in the evaluation of new model for yield grade estimation and feeding strategy.

한우 혈청에서 호르몬 및 대사물질 농도들의 연령에 따른 변화에 관한 연구 (Change of Concentration of Hormones and Metabolic Materials in Serum by Age in Hanwoo)

  • 전기준;김종복;최재관;이창우;황정미;김형철;양부근;박춘근;나기준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15-225
    • /
    • 2003
  • 본 시험은 한우에서 연령에 따라 혈청성분들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한우 866두(거세 638, 비거세 228)에 대하여 혈청 농도를 분석하여 채혈시 일령을 독립 변량으로 하고 혈청 성분들을 종속변수로 하는 다항 회귀방정식으로 추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거세우나 비거세우 모두 같은 차수의 회귀방정식이 접합한 혈청 성분은 IGF- I (3차식) calium(1차식) 및 IP(1차식)이었고 거세우에서는 1차식이 적합하고 비거세우에서는 3차식이 적합한 혈청 성분은 testosterone와 creatinine었다. 반면에 HDLC는 거세우에서는 3차식이 적합하나 비거세우에서는 1차식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거세우에서는 2차식이 적합한데 비거세우에서는 3차식이 적합한 혈청성분은 triglyceride 농도와 globulin농도 그리고 A/G비율 등이었고, 거세우에서는 3차식이 적합하고 비거세우에서는 2차식이 적합한 혈청성분은 BUN이었으며, 거세우에서는 2차식이 적합한데 비거세우에서는 1차식이 적합한 혈청성분은 TP와 albumin이었다. 한편 cortisol은 거세우나 비거세우에서 모두 3차식까지의 회귀방정식으로는 연령에 따른 변화를 설명하기가 적합하지 않았으며 glucose는 비거세우에서는 3차식 변화를 보이고 있으나 거세우에서는 3차식까지의 회귀방정식만으로는 연령에 따른 변화를 설명하기가 어려웠다.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는 혈청성분들의 회귀모형 중에서 비교적 R-SQUARE 값이 높은 것(R-SQUARE value>0.1)들은 거세우에서 ICF-I, albumin, creatinine, IP, HDLC 등이었으며, 비거세우에서 testosterone, IGF-I, TP, albumin, glucose, creatinine, IP, HDLC 등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IGF-I, albumin, creatinine, IP, HDLC 등은 거세우나 비거세우 모두에서 연령에 따라 비교적 큰 변화를 보이는 혈청 성분이라고 생각된다.

한우 거세 및 비거세우의 성장곡선 특성 (Growth Curve Characteristics of Bull and Steer of Hanwoo(Korean Cattle))

  • 김내수;주종철;송만강;정정수;최양일;박철진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5호
    • /
    • pp.519-522
    • /
    • 2002
  • 농협 한우 개량부에서 시험 사육한 거세우 및 비거세우 각각 60두의 자료를 근거로 곰페르츠 방정식에 의한 성장곡선을 추정한 결과 비거세우의 성장곡선 방정식은 $W_t$ = 906.1.exp{-3.956.exp(-0.0034t)}이었으며, 거세우의 성장곡선 방정식은 $W_t$ = 823.1.exp{-3.301.exp(-0.0027t}이었다. 이 추정식에 의한 성숙체중은 과거에 추정한 식보다 높게 추정되었는데 이는 사양조건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비거세우에 대한 거세우의 체중비는 19.5개월까지는 급격히 감소하여 79.2% 정도에 이르렀으나, 이후 격차는 서서히 줄어들어 성숙시에는 90.8%에 이르렀다. 추정식은 생시 체중이 거세우의 경우 과다하게 그리고 비거세우의 경우 과소하게 추정되었으며, 실제 체중의 변이는 비거세우가 거세우에 비해 큰 경향을 보였다.

한우 $1^+$ 등급육의 이화학적 특성과 기호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Palatability of Hanwoo Beef Loin in $1^+$ Grade)

  • 문윤희;김미숙;김대진;양종범;강세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1288-1292
    • /
    • 1999
  •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palatability of Hanwoo(cow, steer, and bull) beef loin(1+ carcass grade) were studied. pH(5.56~5.69), moisture content(67.6~69.0%), crude protein content(17.8~18.7%), and crude fat content(11.9~13.8%) of Hanwoo beef loin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ypes of Hanwoo. L(44.5~46.9), a(19.9~20.6), and b(10.3~11.6) color parameters, water holding capacity (69.4~70.5%), volatile basic nitrogen content(9.86~11.28mg%), thiobarbituric acid value(0.148~0.158 mg malonaldehyde/kg), and cooking loss(26.3~27.9%) of beef loin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ypes of Hanwoo either. Hardness, myofibrillar fragmentation index(MFI), and chewiness of beef loin were 6.1~6.9 dyne/cm2, 50.3~54.9, and 39.5~ 52.0g, respectively. No differences were found in hardness and MFI between the types of Hanwoo, while chewiness of cow was much lower than that of steer and bull(p<0.05). Cow was the best in palatability.

  • PDF

일반농가 한우의 도체형질에 관한 유전모수 추정 (Estimation of genetic parameter for carcass traits in commercial Hanwoo steer)

  • 이윤석;이제영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7권3호
    • /
    • pp.741-747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국가단위 개체모형을 이용하여 일반농가 한우의 도체중, 등심단면적, 등지방두께, 국내지방도에 대한 유전력를 추정하고 이를 국가단위 종모우 선발용 후대검정우 집단의 유전력과 비교하여 일반 한우농가 개량방향에 효율적인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일반농가 한우 107,020두 중 생산정보와 2008년부터 2012년까지의 도체성적 기록이 정확한 일반농가 한우 5,843두를 대상으로 다형질 개체모형을 사용하여 유전력를 추정하였다. 유전력를 추정하기 위해 도체형질에는 출생년도, 사육지역을 고정효과, 사육일령을 공변량으로 포함하였다. 일반농가 한우의 유전력를 추정한 결과 도체형질에 대한 유전력은 도체중 0.19, 등심단면적 0.17, 등지방두께 0.20, 근내지방도 0.23 이며 국가단위 씨수소 선발용 후대검정우 집단의 유전력에 비해 낮았다. 이는 사육지역의 환경, 암소 유전능력과 사육개월의 차이로 인해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도 현재 실시되어지고 있는 국가단위 씨수소 선발용 개체모형에 농가 한우집단에 사용할 수 있는 유전요인을 포함시켜 실용화 개체모형 개발이 시급하다.

The Relationship between Chemical Compositions, Meat Quality, and Palatability of the 10 Primal Cuts from Hanwoo Steer

  • Jung, Eun-Young;Hwang, Young-Hwa;Joo, Seon-Tea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45-151
    • /
    • 2016
  • The relationship between chemical compositions, meat quality traits, and palatability attributes in 10 primal cuts from Hanwoo steer carcasses were assessed. Sensory palatability attributes of Hanwoo beef were more closely related with fat content than to moisture or protein content. Among the chemical compositions, only fat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juiciness (0.67, p<0.001), tenderness (0.32, p<0.05), and overall palatability (0.56, p<0.001). Oleic acid (%)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with overall palatability (p>0.05). Overall palatability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drip loss (−0.32, p<0.05), cooking loss (−0.36, p<0.05), and shear force (−0.54, p<0.01). The correlation between fat content and overall palatability was increased when higher fat cuts (Ansim, Dungsim, Chaekeut, Yangjee, and Kalbi) were analyzed, compared to lower fat cuts (Moksim, Abdari, Udun, Suldo, and Satae). Also, the correlation between shear force and overall palatability was decreased in lower fat cuts compared to higher fat cuts.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palatability of Hanwoo beef can be improved by increasing fat content in muscles, as increased fat content leads to an increase in sensory tenderness, flavor, and juiciness.

미생물 첨가제가 거세한우 분의 이화학적 특성, 미생물 성상, 가스 발생량 및 퇴비 부숙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icrobial Additives on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Microbes, Gas Emissions, and Compost Maturity of Hanwoo Steer Manure)

  • 주영호;서명지;정승민;김지윤;김삼철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264-269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미생물 첨가에 따라 거세한우 비육우 분의 이화학적 특성, 미생물 성상, 가스발생량 및 퇴비 부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4주 후, 미생물 첨가구에서 수분, 유기물, 총질소 함량 및 pH가 낮았으며, 나머지 이화학적 특성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유산균과 효모균 수는 증가하였으며, 대장균 수는 감소하였다. 12주 후, 미생물 첨가구에서 유산균과 고초균 수는 높았으나, 수분, 효모 및 대장균 수는 낮게 낮았다. 하지만 암모니아, 황화수소 발생량과 퇴비 부숙도는 미생물 첨가에 의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거세한우 분에 미생물을 첨가하면 유익균은 증가하고, 병원성 미생물은 감소하여, 비육우의 생산성은 증진될 것으로 사료되지만, 가스 발생량 및 퇴비 부숙도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는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한우에서 혈중 호르몬 및 대사물질 농도와 성장 및 도체 형질에 대한 표현형 상관에 관한 연구 (Phenotypic Correlation for Concentrations of Hormones and Metabolic Materials and Growth and Carcass Traits in Hawoo)

  • 전기준;최재관;이명식;정영훈;정호영;이종경;임석기;이창우;박정준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03-213
    • /
    • 2003
  • 혈액성분과 경제형질들 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는 일은 한우의 능력을 예측하고 예견되는 능력에 맞추어 사양관리와 판매처를 결정할 수 있고, 기존의 종축선발 체계와 결합시킴으로서 선발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므로 나름대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본 연구는 축산기술연구소에서 사육하고 있는 한우 866두의 혈액 중 호르몬과 대사물질을 분석하여 혈액성분과 경제형질과의 표현형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혈액 내 유용한 생리적인 형질을 발굴하여 능력이 우수한 개체의 조기선발 가능성 구명과 선발 기술을 개발하여 한우개량에 또 다른 방법을 제시 하고자 실시하였다. 혈청성분들과 경제형질들 간의 표현형 상관계수를 거세우와 비거세우로 구분하여 추정한 결과 혈청성분들과 도체형질들 간의 주요 상관은 다음과 같다. 24개월 출하체중과 상관도가 높은 혈청은 거세우에서는 BUN이었고 비거세우에서는 albumin과 IGF-1이었으며, 비육말기 21∼24개월령의 일당증체량과 상관도가 높은 혈청은 거세우에서는 cal-cium이었고 비거세우에서는 albumin으로 증체와 관련 있는 혈청은 거세우에서는 calcium 비거세우에서는 albumin으로 나타났다. 육질과 관련 있는 등지방 두께 및 지방교잡도와 상관도가 가장 높은 혈청은 거세우와 비거세우 모두 BUN이었고, 육량등급의 근간이 되는 육량지수와 상관도가 높은 혈청은 거세우에서는 calcium이었으며 비거세우에서는 testosterone이었으나 육질과 상관이 높은 BUN은 거세우와 비거세우 모두가 육량지수와는 음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혼합 생균제 급여가 거세한우의 성장, 혈액성상 및 육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obiotic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Blood Metabolites, and Meat Quality of Hanwoo Steer)

  • ;전충환;최인학;이혁준;주영호;이성신;김동현;김삼철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6권8호
    • /
    • pp.967-976
    • /
    • 2017
  • In this study, the effect of probiotic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blood metabolites, and meat quality of Hanwoo steer was investigated. A total of 32 Hanwoo steers (15-17 months, average body weight $462{\pm}37.9kg$) were randomly allotted to 4 dietary treatments (0, 0.5, 1.0, and 1.5% mixed probiotics), with four Hanwoo steers per pen (two replicates per treatments), and reared for 12 months. There were no differences among treatments in growth performance of Hanwoo steer (P>0.05); however, feed intake decreased linearly with increasing levels of mixed probiotics. Growth hormone and Blood Urea Nitrogen (BUN) levels responded linearly with increasing levels of dietary mixed probiotics (P<0.05), but not insulin and blood glucose did not. In particular, total cholesterol was significantly lower for the 1% mixed probiotic treatment in comparison with that of the other treatments (P<0.05). The pH,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cooking loss, and meat color were influenced by increasing levels of mixed probiotics (P<0.05), but the carcass characteristics and shear force were not. Regarding sensory evaluation, the addition of mixed probiotics resulted in significant difference in meat color, tenderness, aroma, off-flavor, juiciness, and marbling score, but not in overall acceptability. In addition, fatty acid profiles indicated no differences between control and mixed probiotic treatments. In conclusion, mixed probiotic treatment at 1% levels can enhance consumer preferences possibly by reducing cholesterol and TBARS.

사후시간 경과가 한우 거세우 배최장근의 pH, 온도, R-value 및 단백질 분해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 (Changes in pH, Temperature, R-values and Calpain Activity of M. longissimus from Hanwoo Steer during Rigor Development)

  • 김진형;김학균;박범영;조수현;황인호;김동훈;이종문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10-315
    • /
    • 2005
  • 본 연구는 한우고기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사후 대사변화를 구명하고자 사후 1, 3, 9, 24시간별에 따라 한우 거세우 배최장근의 pH, 도체온도, R-value 및 단백질분해효소 활성측정을 수행하였다. 도체 pH와 온도는 사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p<0.05), 사후 3시간에 6.50($31.99^{\circ}C$)을 나타내었다. $R_{248}$$R_{250}$ 값은 사후 9시간부터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지만, $R_{258}$ 값은 사후 9시간부터 감소하였다(p<0.05). Calpain I 활성은 사후 3시간부터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calpastatin 활성은 사후 9시간부터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pH와 도체온도는 $R_{258}$, calpain I, calpastatin에서 0.95이상의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지만, $R_{248}$$R_{250}$에서는 -0.97 이상의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사후9시간 이후에 대사 변화가 급격히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pH와 도체온도의 상관도가 높아 잠재적인 연화능력의 예측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지만, 사후 3시간부터 9시간 사이의 대사변화에 대하여 좀 더 심도 깊은 연구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