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ndwriting identification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19초

Writer Verification Using Spatial Domain Features under Different Ink Width Conditions

  • Kore, Sharada Laxman;Apte, Shaila Dinkar
    • Journal of Computing Science and Engineering
    • /
    • 제10권2호
    • /
    • pp.39-50
    • /
    • 2016
  • In this paper, we present a comparative study of spatial domain features for writer identification and verification with different ink width conditions. The existing methods give high error rates, when comparing two handwritten images with different pen types.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we are the first to design the feature with different ink width conditions. To address this problem, contour based features were extracted using a chain code method. To improve accuracy at higher levels, we considered histograms of chain code and variance in bins of histogram of chain code as features to discriminate handwriting samples. The system was trained and tested for 1,000 writers with two samples using different writing instruments. The feature performance is tested on our newly created dataset of 4,000 sample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histogram of chain code feature is good compared to other methods with false acceptance rate of 11.67%, false rejection rate of 36.70%, average error rates of 24.18%, and average verification accuracy of 75.89% on our new dataset. We also studied the effect of amount of text and dataset size on verification accuracy.

개인 인증을 위한 생체인식시스템 사례 및 분류 (Biometrics for Person Authentication: A Survey)

  • 안큐 아가와;어비짙 판디야;노영욱;김광백
    • 지능정보연구
    • /
    • 제11권1호
    • /
    • pp.1-15
    • /
    • 2005
  • 어떤 조직에서 사용자 접근이나 e-Commerce 또는 다른 보안 응용에서 사용하기 위해 보안이 뛰어난 인증 방법을 찾을 때 생체인식시스템이 최근에 보다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생체인식시스템은 개인 인식에서 전통적인 방법보다 뛰어난 보안성과 편리성을 제공한다. 생체인식시스템은 어떤 응용 분야에서는 기존의 기술을 대체하거나 보조하고, 다른 응용 분야에서는 사용할 수 있는 유일한 접근방법이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지문, 손 모양, 얼굴, 귀, 홍채, 서명과 필적을 포함한 여러 생체인식 방법들을 조사하고 비교하였다. 이들 방법들은 특정 응용 분야에서 매우 적합하다. 본 논문에서는 특정 응용 분야에 적합한 생체 인식 방법들을 찾아서 분류하였으며, 어떤 방법은 다른 방법에 비해 침입하기가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변형된 ICM 방식에 의한 영역판별 (Region Decision Using Modified ICM Method)

  • 황재호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3권5호
    • /
    • pp.37-44
    • /
    • 2006
  • MRF (Markov random fields)로 전후 관계가 모델링된 변형된 형태의 ICM 방식을 소개한다. 특징 추출을 위해 부합블록인접의 새로운 MRF 모델을 제시한다. 이 모델은 현재 고려중인 화소를 기점으로 지엽구조인 복수방향의 기하학적 인접화소군들을 발생시켜 집합을 형성한다. 전처리 작업을 통해 산출한 특정 영역 색도분포의 확률적 데이터를 근거로 매 인접화소군 화소들 사이의 색도분포와 인접화소군들 사이의 관련성 여부를 단계별로 확률적으로 비교 판별함으로 해당화소의 영역귀속을 결정한다. 귀속 영역이 판별된 화소에는 특정 색도를 부여하고 타영역의 원소와 차별한다. 이러한 과정을 전 화소들에 확대 적용하면서 관측영상은 영역별로 순차적으로 분류되며 정보가 추출된다. 대상 영상은 탁본영상으로서 바탕영역과 정보영역을 차별적으로 분류, 색도부여를 통해 문자만의 특징을 선별한다. 이 방식은 종래의 ICM 방식의 단점이었던 과/부족 평활 현상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벡터적 판별력 부가에 의한 특정영역 잡음 제거와 얼룩현상 극소화에 효과가 있음이 실험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MICM 방식을 탁본영상의 문자인식에 적용하면 우수한 효과가 있으리라 기대한다.

UHF RFID기반 이동형 파이프 스풀 위치 인식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Portable Pipe Spool Location-Confirm System Based UHF RFID)

  • 김진석;신용태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3권10호
    • /
    • pp.329-336
    • /
    • 2014
  • 플랜트 공사 현장에서 파이프 스풀은 플랜트 설비의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현재 플랜트 공사장에서 파이프 스풀 관리는 수기 작성을 통해 적재 위치 및 작업 내역을 관리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현장에서는 작업자의 임의적인 파이프 스풀의 이동과 제작 또는 설치해야 할 파이프 스풀을 찾지 못했을 경우 비슷한 파이프 스풀을 가지고 와 다시 제작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파이프 스풀의 위치를 정확하게 알 수 없기 때문에 파이프 스풀을 찾기 위한 인건비와 시간이 소요되며, 분실에 대한 관리가 되지 않는 상황이다. 이에 파이프 스풀에 UHF RFID 태그를 부착하고 차량에 UHF RFID 리더 및 안테나를 장착하여 파이프 스풀의 위치를 찾을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을 활용하여 현장 테스트를 진행한 결과 98% 이상의 위치 정보 인식이 가능했으며, 손실된 2%의 미 인식 태그는 작업자에 의한 보정을 통해 100%의 관리가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제안된 시스템 도입으로 인건비와 분실 파이프에 대한 관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특정 공간에 적재되어있는 물품관리에도 활용될 것으로 전망한다.

감광성 수지로 제작된 위조 인영의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Forged Sealing Made Of Photosensitive Resin)

  • 한상덕;정양권;최재호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1385-1391
    • /
    • 2012
  • 문서 전체의 진정 성립의 요건을 위해서는 문서에 날인된 인영이 작성한 사람의 도장에 의한 인영임이 인정되어야 한다. 그러나 문서에 날인된 인영을 이용한 모각에 의한 위조, 전사에 의한 위조, 컴퓨터 도장조각기에 의한 위조, 감광성 수지를 이용한 위조 등이 범람하고 있다. 그 가운데 가장 손쉬운 위조 방법 중의 하나는 감광성 수지판을 이용한 방법이다. 이 방법은 원본 인영을 이용하여 네거티브 필름을 제작하고 이를 수지판에 밀착하여 자외선을 조사하는 작업 등을 통해 원본 그대로의 위조 도장을 제작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에 대한 충분한 연구가 없어 실제 수지 인영을 사용한 위조 인영의 감정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 이유로 위조 도장 제작에 대한 통제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감광성 수지를 이용한 위조범죄는 계속 늘어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굵고 가는 획으로 조각된 두 종류의 원본 도장을 이용하여 10개의 수지 도장을 제작하고 날인한 후 인영감정 방법을 통하여 원본 인영과 위조 인영간의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원본 인영과 위조 인영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