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mmer mill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21초

분쇄방법에 따른 고려홍삼분말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Red Ginseng Powder on Pulverizing Methods)

  • 이종원;서창훈;장규섭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63-369
    • /
    • 2003
  • 홍삼 분쇄의 신 가공 기술로서 비충격 분쇄방식인 cell cracker의 공장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고 홍삼분말의 품질고급화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기존의 충격 분쇄방식 인 hammer mill과 cell cracker에 의한 분쇄방식으로 홍삼분말을 제조한 후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수분함량의 경우 hammer mill로 분쇄한 홍삼분말은 3.16%로 cell cracker로 분쇄한 홍삼분말 6.30%보다 현저하게 낮게 나타나 현행 식품 공전에서는 홍삼분말의 수분함량을 8%이하로 규정하고 있어 cell cracker에 의한 분쇄가 수율제고라는 측면에서는 보다 경제적인 분쇄방법으로 판단된다. 그 외 cell cracker로 분쇄한 경우 조단백질, 총당, 산성다당체가 약간 높게 나타났으나 큰차는 없었으며, 조지방, 환원당, 조섬유, 회분함량은 hammer mill로 분쇄했을시 약간 높게 나타났으나 큰 차이는 없었다. 총 지방산 함량을 비교해볼 때 hammer mill로 분쇄한 시료는 87.90%이고 cell cracker로 분쇄한 시료는 87.50%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총 아미노산 함량을 조사한 결과 hammer mill로 분쇄한 시료는 670.96mg%이고 cell cracker로 분쇄한 시료는 676.50mg%이었으며, 필수아미노산의 경우도 각각 212.25 mg%와 206.25 mg%로 조사되어 거의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Total ginsenosides 경우 hammer mill로 분쇄한 시료는 1.263%였으나 cell cracker로 분쇄한 시료는 1.311%로 약간 높게 나타났다. 그 외에 유리당 및 무기성분 등에서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분쇄와 폐암면의 혼합에 의한 소나무 수피의 보수성 증진 (Improving Moisture Retention Capacity of Pine Bark by Grinding and Blending with Recycled Rockwool)

  • 최종명;정해준;최종승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131-135
    • /
    • 1999
  • 본 연구는 소나무 수피를 상토로 이용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보수성을 증진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건조된 수피를 Wiley mill 또는 hammer mill로 분쇄하여 입도분포를 조절하거나, 분쇄된 물질에 폐암면을 일정 비율로 혼합한 후 토양물리적 특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분쇄전 수피는 5.6 mm 이상의 직경를 가진 입자의 점유 비율이 86.5%였으나, Wiley mill 또는 hammer mill로 분쇄하므로써 1 mm 이상의 직경을 가진 입자의 점유비율이 감소하고, 1 mm 이하의 입자 비율이 증가하였으며, Wiley mill이 hammer mill 보다 분쇄효과가 높았다. 분쇄에 의해 공극율 및 기상율이 감소하고 용기용수량 및 잔존수분량이 증가하여 보수성이 증가함을 나타내고 있다. Wiley mill로 분쇄된 물질에 50%의 폐암면을 혼합한 경우 공극율 81.1%, 용기용수량 67.7%, 기상율 13.4%, 잔존수분량이 235ml를 갖는 것으로 측정되었는데, 이것은 분쇄와 폐암면의 혼합에 의해 보수성이 증가하였으며, 상업적 생산에 가장 많이 이용되는 피트모쓰+질석 대조구에 비해 보수성이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더 좋은 통기성을 보유함을 의미하고 있다.

  • PDF

분쇄방법에 따른 감초 분쇄생성물의 특성 분석 (Analysis of Particulate Characteristics in Licorice Milling with Different Grinding Methods)

  • 강위수;최상근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2002년도 동계 학술대회 논문집
    • /
    • pp.257-262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분쇄방법에 따른 감초 분쇄생성물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Hammer mill의 경우 d$_{80}$=750$\mu\textrm{m}$로 중간미분쇄의 입도범위를 가지며 비표면적은 0.269m/g로 분석되었고, Pin mill의 경우 d$_{80}$=600$\mu\textrm{m}$로 Hammer mill보다 입자크기는 조금 작으나 중간미분쇄영역의 입도범위를 가지며 비표면적은 0.324m$^2$/g로 분석되었고, Turbo mill은 d$_{80}$=250$\mu\textrm{m}$와 비표면적은 0.370m$^2$/g로 입자의 크기가 가장 작아 다른 분쇄기보다 분쇄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2. Hammer mill의 분쇄메커니즘은 대부분 충격, 일부 전단과 마찰에 의해 분쇄가 행해지고, Pin mill은 핀 사이에서의 전단, 충격, 마찰에 의해 분쇄된다. 즉 충격과 마찰에 의한 분쇄는 전단력에 의한 분쇄메커니즘보다 분쇄 능이나 분쇄효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주로 전단력과 충격, 반발력에 의해 분쇄가 이루어지는 Turbo mill의 분쇄능 및 분쇄 효율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 의해서 감초와 같이 섬유질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원료를 분쇄할 경우 분쇄메커니즘이 전단력인 분쇄기가 가장 적합하고, 분쇄중 소요되는 동력 면에서도 기존 분쇄기보다 우수한 Turbo mill의 분쇄조건을 확립해야 한다고 사료된다. 사료된다.

  • PDF

분쇄방법에 따른 고려홍삼분말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Red Ginseng Powder with Different Milling Methods)

  • 서창훈;이종원;도재호;김나미;양재원;장규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70-374
    • /
    • 2003
  • 홍삼 분쇄의 신 가공 기술로서 비충격 분쇄방식인 cell cracker의 공장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고 홍삼분말의 품질고급화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기존의 hammer mill(충격분쇄방식)과 cell cracker에 의한 분쇄방식으로 홍삼분말을 제조한 후 물성, 표면구조적 특성 및 관능적 특성을 측정하였다. 입도분석에서 sieve shaker로 분석한 결과, 100 mesh 이상은 모두 95%수준으로 비슷한 분포를 나타냈고 120 mesh 이상은 hammer mill로 분쇄한 홍삼분말이 높았으며 그 밖의 각 mesh별 입도분포는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Laser scattering analyzer로 분석한 결과 hammer mill로 분쇄한 홍분말의 입도분포는 최소 0.77$\mu\textrm{m}$에서 최대 128.07$\mu\textrm{m}$으로, cell cracker로 분쇄한 홍삼분말 4.24~180.07$\mu\textrm{m}$보다 분포가 넓었으며, 평균 입자 크기는 cell cracker로 분쇄한 홍삼분말이 크고 표준편차는 hammer mill로 분쇄한 홍삼분말이 크게 나타났다. 비표면적은 hammer mill로 분쇄한 홍삼분말이 1.42 $m^2$/g로 cell cracker로 분쇄한 홍삼분말 0.59 $m^2$/g보다 높게 나타났고, 표면구조적 특성은 hammer mill로 분쇄한 홍삼분말은 크고 작은 입자가 불균일하게 분포하고 있으며, 개별입자의 형태는 부등형의 거칠게 연마된 돌 모양에 가깝고 표면은 작고 부드러운 솜털모양을 하고 있는 반면에, cell cracker로 분쇄한 홍삼분말은 입자크기가 상대적으로 고르게 분포하고 있으며 개별입자의 형태는 부등형의 조각난돌 모양의 형태로 관찰되었다.

분쇄방법에 따른 고려홍삼분말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Red Ginsneg Powder on Pulverizing Methods)

  • 서창훈;이종원;도재호;장규섭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6권2호
    • /
    • pp.79-84
    • /
    • 2002
  • 홍삼 분쇄의 신 가공 기술로서 비충격(非衝擊)분쇄방식인 cell cracker의 공장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고 홍삼분말의 품질고급화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기존의 hammer mill(충격분쇄방식)과 cell cracker에 의한 분쇄방식으로 홍삼분말을 제조한 후 색도, 밀도 및 관능적 특성을 비교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홍삼분말의 색도는 cell cracker로 분쇄한 홍삼분말의 경우 색의 밝기를 나타내는 L값은 68.15로 hammer mill로 분쇄한 홍삼분말 72.08 보다 낮았으나 a(적색도) 와 b(황색도)값은 각각 4.21과 5.73, 26.56과 28.36으로 높게 나타났다. 물 추출물의 색도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두 가지 시료 모두 흡광도가 증가하였으며 전반적으로 hammer mill로 분쇄한 홍삼분말이 cell cracker로 분쇄한 홍삼분말 보다 흡광도가 높게 나타났다. 밀도는 분말의 유동성 특성을 나타내는 이완겉보기밀도, 충격겉보기밀도, 체적감소율은 hammer mill로 분쇄한 홍삼분말보다 cell cracker로 분쇄한 홍삼분말이 모두 높게 나타났다. 미Rm럼각은 쌓임각 보다 낮았으며 이 두 가지 모두 hammer mill로 분쇄한 홍삼분말 보다 cell cracker로 분쇄한 홍삼분말이 낮게 나타났다. 관능검사결과 촉감에 있어서는 두 시료간에 유의 차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홍삼분말 제품의 품질 특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색도는 cell cracker가 좋게 평가되었으며, 전체적인 선호도에 있어서도 좋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볼 때 홍삼분말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요소로서 분쇄방법이 중요한 인자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홍삼분말의 제조에는 분쇄기 선정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특히 색깔 등 관능적 품질이 강조되는 홍삼분말 제품을 제조할 경우는 기존 충격식 분쇄보다 비충격식 분쇄시스템을 적용하는 것이 품질향상 효과가 클 것으로 생각된다.

이차전지 원료 해쇄용 그라인딩 디스크 어셈블리 내 열 유동 해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rmal Flow Analysis in Grinding Disc Assembly for Disintegration of Secondary Battery Materials)

  • 윤동민;전용한
    • Design & Manufacturing
    • /
    • 제16권4호
    • /
    • pp.34-39
    • /
    • 2022
  • Sustained economic development around the world is accelerating resource deple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of secondary batteries that can replace them is also being actively conducted. Secondary batteries are emerging as a key technology for carbon neutrality. The core of an electric vehicle is the battery (secondary battery). Therefore, in this study, the temperature change by the heat source of the hammer and the rotational speed (rpm) of the abrasive disc of the Classifier Separator Mill (CSM) was repeatedly calculated and analyzed using the heat flow simulation STAR-CCM+. As the rotational speed (rpm) of the abrasive disk increases, the convergence condition of the iteration increases.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inlet speed of the Classifier Separator Mill (CSM) and the heat source value of the disc hammer are the same, the disc rotation speed (rpm) and the hammer temperature are inversely proportional. As the rotational speed (rpm) of the disc increases, the hammer temperature decreases. However, since the wear rate of the secondary battery material increases due to the strong impact of the crushing rotational force, it is determined that an appropriate rpm setting is necessary. In CSM (Classifier Separator Mill), it is judged that the flow rate difference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direction of the pressure outlet (Outlet 1) right above the classifier wheel with the fastest flow rate. Because the disc and hammer attachment technology is adhesive, the attachment point may deform when the temperature of the hammer rises. Therefore,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develop high-performance adhesives and other adhesive technologies.

동결온도에 따른 어육의 동결마쇄특성 (Cryo-grinding Characteristics of Frozen Fish Meat at Different Temperature)

  • 홍상필;양승용;이남혁;김동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578-585
    • /
    • 1996
  • 정어리, 명태 및 오징어육을 $-20^{\circ}C,\;-40^{\circ}C$$-80^{\circ}C$에서 동결하고 hammer mill에 의한 분쇄적성과 분쇄물의 mass colloider에 의한 마쇄 특성을 조사하였다. 정어리, 명태 및 오징어육은 $-40^{\circ}C$$-80^{\circ}C$로 동결할 경우 hammer mill에 의해 분쇄가 가능하였고 분쇄물은 mass colloider에 의해 마쇄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어육별 동결분쇄물의 입도분포는 오징어, 정어리, 명태순으로 큰 입자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동결분쇄물의 입자분포는 동결온도에 따라 차이를 보여 $-40^{\circ}C$ 보다는 $-80^{\circ}C$ 동결군의 입도가 작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동결온도가 다른 어육의 동결분쇄입자들에 대하여 image analysis를 행한 결과, $-40^{\circ}C$ 처리구는 짓이겨진 형태를 보인 반면 $-80^{\circ}C$ 처리구는 예리하게 끊어진 형태를 보였다. 또한 어종간의 조직특성이 관찰되어 어종 및 동결온도에 의해 동결분쇄물의 입도 분포 및 물성이 다를 수 있음이 시사되었다. 동결마쇄물의 수율은 정어리 $62.5\%$, 명태 $56.9\%$, 오징어 $52.5\%$로 나타났으며 오징어를 제외한 명태 및 정어리육의 마쇄물은 특히 뼈에서 유래되는 Ca의 함량비가 $6\~8$배 높은 특성을 보이고 있었다. 또한 동결마쇄물의 품질지표의 하나인 유화능을 측정한 결과, 대조군에 비해 다소 낮게 나타났으나 어육의 가공에는 충분히 적용가능할 것으로 평가되어 hammer mill과 mass colloider를 이용한 어육의 동결마쇄기법은 향후 관련분야에 이용성이 클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햄머밀의 햄머두께 및 폭(幅)이 분쇄성능(粉碎性能)에 미치는 영향(影響) (Study on the Effects of Hammer's Thickness and Width on the Grinding Performance of Hammer Mill)

  • 김성래;장동일;권순구
    • 농업과학연구
    • /
    • 제12권1호
    • /
    • pp.101-107
    • /
    • 1985
  • 사료(飼料)의 해외의존도(海外依存度)가 높은 우리나라의 축산경영농가(畜産經營農家)의 안정적(安定的) 발전방향(發展方向)은 사료(飼料)의 자급율(自給率)을 높이는 것이 매우 중요(重要)한 긴급과제(緊急課題)이다. 따라서 본(本) 연구(硏究)는 축산농가(畜産農家)에서 손쉽게 구(求)할 수 있는 보리와 건초(乾草)를 사용(使用)하여 사료(飼料)의 공급율(供給率)을 증가(增加)시키기 위(爲)한 대책(對策)의 하나로 현재(現在) 우리나라 농촌(農村)에 널리 보급(普及)되어 있는 3.7~7.5 kW 동력경운기(動力耕耘機)로 구동(驅動)이 가능(可能)한 소형사료분쇄기용(小形飼料粉碎機用) 햄머의 설계자료(設計資料)를 제공(提供)하고자 사료분쇄기(飼料粉碎機)의 적정회전수(適定回轉數)인 3,000rpm을 유지(維持)하면서 햄머의 폭(幅)은 20mm, 30mm, 40mm로, 두께를 2mm, 4mm, 6mm로 변화(變化)시키면서 성능실험(性能實驗)을 실시(實施)하였다. 공시재료(供試材料)는 보리와 건초(乾草)를 사용(使用)하고, 스크린은 구멍크기가 보리 4.76mm, 건초(乾草) 3.18mm인 것을 사용(使用)하여 분쇄성능실험(粉碎性能實驗)을 실시(實施)하여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시료(試料)를 분쇄(粉碎)한 결과(結果), 입자(粒子)크기는 보리 478~774 micron, 건초(乾草) 350~434 micron으로 햄머의 두께와 폭(幅)이 증가(增加)함에 따라 감소(減少)하였다. 2. 분쇄물(粉碎物)의 조도계수(組度係數)는 보리 3.07~3.62. 건초(乾草) 2.69~2.93으로 햄머의 두께와 폭(幅)에 반비례(反比例)하였다. 3. 시료(試料) 분쇄시(粉碎時) 소요동력(所要動力)은 보리 3.8~5.0 kW, 건초(乾草) 0.9~1.4 kW로 햄머의 폭(幅)보다는 두께가 더 크게 영향(影響)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分析)되었다. 4. 소형사료분쇄기(小形飼料粉碎機)의 분쇄성능(粉碎性能)은 보리 99~170 kg/kW.h, 건초(乾草) 11~21 kg/kW.h이며, 햄머의 두께가 큰 영향(影響)을 마치는 인자(因子)로서 두께가 증가(增加)할 수록 분쇄성능(粉碎性能)은 감소(減少)하나 조도계수(粗度係數) 3.2 범위(範圍)에서는 두께 4mm가 가장 양호(良好)하였다. 햄머의 폭(幅)은 소형사료분쇄기용(小形飼料粉碎機用)으로는 30mm가 적정치(適正値)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갈대와 띠 종자의 정선기술 개발 (Development of Refining Methods in Phragmites Communis and Imperata Cylindrica seed)

  • 김석현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29-36
    • /
    • 2004
  • The efficient refinement of seed is required to reduce the cost and labor input in artificial propagation of wild plan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methods for collecting and refining tiny seeds from wild plants. For obtaining Phragmites communis seeds, the inflorescence was cut into small fragments using a Straw Cutter and subsequently detached pappus hairs from seed coat by Hammer Mill. The primary refined seeds were passed 1.0 mm sieve. The screened seeds were subjected to Seed Blower with wind speed of 0.25 mㆍsec-1 to collected intact and well-ripen seeds. The seeds of Imperata cylindrica were refined as follows. Inflorescences were cut using a Straw Cutter first. The pappus was removed from cut fragments using a Hammer Mill and subsequently subjected to Seed Scarifier at 500rpm for 60 sec. for further separation. The separated seeds were passed 1.0 mm screen and collected after blowing with Seed Blower of wind speed of 0.15 mㆍsec-1. When the amount of seed was too little to refine with Seed Scarifier and Blower, the procedure was slightly modified from the procedure described above. The crude seed mixture obtained from Hammer Mill step was hand-refined roughly and then immersed into cone. (95%) sulfuric acid for 2 min. and collected floating portion after dilution of sulfuric acid solution 100 times with tap water. The collected seeds were dried and passed 0.149 mm sieve. During seed refining process using mechanical or sulfuric acid treatments, a small portion of damaged seed were evolved, however, the amount was not noticeable as compared to the total amount of collected seeds. Because the germination percentages between hand-refined seeds and seeds refined by above methods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the developed procedures for refining tiny seed of wild plants are helpful to reduce the cost and labor input in artificial propagation of two species.

제분방법별 쌀가루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Various Milled Rice Flours)

  • 박용곤;석호문;남영중;신동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04-510
    • /
    • 1988
  • 여러 종류의 제분기를 사용하여 건식 (blade hammer, test, micro mill) 및 습식과 건식병용(roller & micro mill)으로 제조한 쌀가루의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 하였다. 쌀가루의 입자는 blade, hammer, test, micro mill및 roller & micro mill의 순으로 점차 미세하였으며, 입자가 미세하여 짐에 따라 색의 밝기를 나타내는 L값은 증가한 반면 a값(적색도) 및 b값(황색도)은 감소하였다. 쌀가루의 표면구조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입자가 미세하여 짐에 따라 개개의 전분입자의 관찰이 용이하였다. 전분의 손상도. 말토오스 값 및 열수가용성 아밀로오스의 함량은 blade mill이 가장 낮았고 test mill이 가장 높았다. 아밀로그램상 호화개시 온도와 최고점토는 입자가 미세하여 짐에 따라 점차 낮아졌으며, 건식제분한 쌀가루 현탁액의 최고점도는 잔존하는 ${\alpha}$-아밀라아제에 의해 감소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습식과 건식을 병용한 쌀가루에서는 최고점도의 변화가 없었다. 건식제분의 경우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은 전분의 손상도가 증가함에 따라 다소 증가하였다. 쌀가루로부터 추출한 냉수가용 ${\alpha}-D-glucan$의 blue value는 $0.023{\sim}0.029$, 극대흡수파장은 $518{\sim}522nm$정도의 범위를 나타내어 이들 물질은 아밀로펙틴에 유사한 성질을 지니고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