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liotis discus hannai

검색결과 227건 처리시간 0.029초

북방전복 Haliotis discus hannai의 부착생물 제거에 따른 생물학적 영향 (Biological Effect with Remove the Attached Organisms of Haliotis discus hannai)

  • 신소령;김현진;황두진;신현출;이정식
    •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54-162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한국 남해안의 해상가두리에서 북방전복 Haliotis discus hannai 부착생물의 종류와 밀도에 관한 자료의 축적과 부착생물 제거에 따른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해상가두리에서 북방전복의 부착생물은 굴, 태형동물, 따개비가 우점하였으며, 이들의 평균 부착생물 면적비는 약 57.5%였다. 성장률과 간췌장의 건강도는 대조구에 비해 부착생물 제거구에서 좋은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전복의 부착생물 제거는 개체의 성장과 출하 시 상품성 향상을 위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참전복(Haliotis discus hannai) 방류효과 향상을 위한 연구 (Enhancement of settlement of artificially released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 김철원;정달상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16권1호
    • /
    • pp.143-154
    • /
    • 2014
  • Settlement of artificially released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at the marine farming area in Jeollanam-do in 2007 was very efficient by showing the recapture of 2.0-5.2 ind./m2 and the survival rate of 60-67%. The growth of shell after 1 year was highest in Hwoenggando by 75.9 mm and the lowest in Hwasan by 64.6 mm. Our result especially showed that the effect of the stock recruitment was the most efficient when abalone was released. The shell growth of the released abalone was better when sea mustard (Undaria sp.) was provided as food (shell length was up to 23.9 mm) or predators were periodically removed (shell length was up to 23.8 mm) in order to enhance the effect of the artificial release than the control group. The recapture rate was also higher than the control. However due to the difficulty of managing the release areas, it will be more efficient to release the recruited stocks after considering various biological and ecological factors such as survey of suitable release areas, stock size, release density, and health of stocks.

북방전복 Haliotis discus hannai의 형태학적 성분화 (Morphological Sex Differentiation of the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 김혜진;전미애;최지성;김병학;손맹현;이정식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273-277
    • /
    • 2015
  • 본 연구는 북방전복의 생식생물학적 정보를 제공하고 아울러 성의 인위적인 조절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북방전복의 형태학적 성분화 과정은 크게 다음과 같이 5단계로 구분할 수 있었다. 1) 생식소 외막 형성 (FGOM) (${\leq}SL\;10.0{\pm}1.0mm$), 2) 장과 간췌장 사이의 결체조직에 시원생식세포 (PGCs: primordial germ cells) 출현 (PAC) 및 생식소 내강 형성 (FGC) (SL $15.0{\pm}2.0mm$), 3) 생식소 내강 상피층에 PGCs 출현 (PAG) (SL $18.0{\pm}2.0mm$), 4) 생식세포형성소낭 형성, 초기 난모세포 및 정원세포 출현 (FGOC) (SL $21.0{\pm}2.0mm$), 5) 형태학적 성분화 (MSD) (${\geq}SL\;23.0{\pm}2.0mm$). 조직학적 분석 결과, 각장 24.1-25.0 mm 그룹에서 북방전복의 성분화율은 90.0%였으며, 성비 (암:수)는 1:0.8로 나타났다.

급격한 수온 스트레스에 따른 전복, Haliotis discus hannai 치패의 생리학적 연구 (Physiological Studies on Acute Water-temperature Stress of Juvenile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 김태형;양문휴;최미경;한석중;여인규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7-12
    • /
    • 2005
  • 본 연구는 전복, Haliotis discus hannai 치패를 이용하여 급격한 수온변화 스트레스에 따른 간부위에서의 항산화효소 및 HSP70 mRNA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실험구는 10, 15, 20(대조구), 25 및 $30^{\circ}C$로 설정하였으며, 측정 시간은 0, 6, 12, 24 및 48h후에 측정하였다. 그 결과 HSP70 mRNA의 발현은 다른 실험구들과 비교하여 $30^{\circ}C$ 실험구에서만 유의적으로 높게 발현되었으며, SOD의 경우 모든 실험구에서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고수온에서 12 h 이후 급격한 상승을 나타내었고, 저수온에서는 수온 스트레스 자극 직후에 증가한 후 회복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CAT에서는 실험 개시 후부터 고수온 실험구에서 지속적인 상승을 나타내었다. 실험기간 중의 생존율은 $30^{\circ}C$ 실험구를 제외한 모든 실험구에서 $100\%$의 생존율을 나타내었으며, $30^{\circ}C$ 실험구에서는 $92\%$의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20"C에서 순치된 전복은 저수온 스트레스에 대한 생리학적 방어기작이 약 $5^{\circ}C$ 내외의 고수온 스트레스에 대한 생리학적 방어기작과 비교하여 보다 빠르게 작용하여 안정화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정 수온 이상의 고수온에 노출되었을 경우에는 생체 내 과도한 생리학적 방어 기작이 작용하여 항산화효소 및 HSP70 발현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진도에서 채집된 북방전복, Haliotis discus hannai의 생식주기 (Reproductive Cycle of the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Collected from Jindo of Korea)

  • 박민우;김혜진;김병학;손맹현;최지성;이정식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43-248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한국 남해안 진도에 서식하는 북방전복의 생식소 발달과 생식주기를 조직학적으로 기재하였다. 생식소는 조직학적으로 계절적인 변화를 보였다. 암컷의 비율은 57% (n = 154 / 271) 로 조사되었다. 생식소지수는 암, 수 모두 6월에 최고값 (3.3, 3.9) 을 보였으며, 12월에 최저값 (1.1, 1.1) 을 나타냈다. 비만도와 육중량비는 모두 5월에 최고값을 보였으며, 10월에 최저값을 나타냈다. 생식소지수, 비만도 및 육중량비의 변화는 생식소조직의 계절적 변화와 유사한 양상을 나타냈다. 생식주기는 비활성기 (11월-12월), 초기활성기 (1월-3월), 후기활성기 (3월-4월), 완숙기 5월-6월), 방출 및 퇴화기(7월-10월) 로 구분할 있었다. 2013년 진도에서 북방전복의 주산란기는 7월-8월이었다.

수온 및 염분별 노출시간에 따른 북방전복, Haliotis discus hannai 치패의 회복률 및 아가미의 조직학적 변화 (Recovery Rate and Histological Changes in the Gills of Juvenile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by Exposure Time of Different Water Temperatures and Salinities)

  • 박미선;김성희;임한규;민병화;장영진;정민환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25-232
    • /
    • 2013
  • 본 연구는 저염분 해수에 노출된 전복의 폐사 원인을 구명하고자, 수온별 (15, 20 및 $25^{\circ}C$) 염분별 (30, 25, 20 및 15 psu) 노출시간별 (3, 6, 12, 24 및 48 h) 북방전복, Haliotis discus hannai 치패의 회복률 및 아가미의 조직학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모든 수온조건에서 20 psu 이하의 저염분 해수에 6시간 이상 노출시킨 전복은 회복기간 동안 생존율이 감소하였으며, 15 psu 해수에 24시간 이상 노출시킨 전복은 회복되지 못하고 전량 폐사하였다. 이를 조직학적으로 관찰한 결과, 20 psu 이하의 저염분 해수에 6시간 이상 노출시킨 전복의 아가미 조직은 팽창 또는 손상되었으며, 15 psu 해수에 24시간 이상 노출시킨 전복의 아가미 조직은 대부분 파괴되었다. 이와같은 결과는 수온이 높을수록, 염분이 낮을수록, 노출시간이 길수록 확연히 나타났다. 따라서 저염분 해수에 노출된 전복이 폐사하는 직접적인 원인 중의 하나는 아가미 조직의 손상으로 인한 질식으로 판단된다.

차세대염기서열분석 데이터 기반으로 선별한 전복(Haliotis discus hannai) 유래 신규 펩타이드의 항암 효과 (Anticancer Effect of Novel Peptide from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based on Next Generation Sequencing Data)

  • 문현혜;황보전;비라판 칼파감;사티시쿠마 나타라잔;정호용;박준형
    •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5-20
    • /
    • 2022
  • 본 연구는 우리나라 해안에서 널리 서식 중인 해양 자원 중 하나인 전복(Haliotis discus hannai)의 차세대염기서열분석 데이터 기반으로 선별한 신규 펩타이드의 항암 활성을 평가한 연구이다. 펩타이드의 항암 활성은 교모세포종 세포주인 SNU-489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처리 시간에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며, 200 µM로 48시간 처리하였을 때 암 세포 사멸율이 6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반면 정상 세포인 HaCaT에서 가장 높은 세포 사멸율은 18%로 농도 의존적이었으나 처리 시간과는 무관하였다. 또한 신규 펩타이드의 항암 메커니즘 과정을 밝히기 위해 세포자멸괴사(Necroptosis) 관련 유전자의 발현 변화를 qRT-PCR 방법을 통해 검증하였다. RIPK3는 신규 펩타이드 처리군에서 200 µM 처리 시 9배 이상 발현 증가, MLKL는 100 µM 처리군에서 대조군 대비 2배 이상 유의미하게 발현이 증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전복 유래 신규 펩타이드는 암 세포 특이적으로 세포 독성을 가지며, 세포자멸괴사 메커니즘을 통해 암세포 사멸을 일으키는 것으로 추측되므로 신규 펩타이드가 추후 교모세포종 치료제의 후보 물질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북방전복 (Haliotis discus hannai)의 선발육종 연구를 위한 microsatellite multiplex PCR법 개발 (Microsatellite multiplex PCR method for selective breeding studies in Pacific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 박철지;남원식;이명석;강지윤;김경길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83-390
    • /
    • 2014
  • 북방전복 선발육종에 필요한 친자확인 및 가계분석을 효율적으로 실험하기 위하여 microsatellite multiplex PCR 기술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mutiplex PCR 기술은 6개 microsatellite locus Hdh145, Hdh512, Hdh1321, Awb017, Awb083 및 Awb098을 한번의 PCR 증폭으로 다중분석이 가능하다. 이 기술은 높은 친자확인 성공률과 가계분석에 있어서도 모두 멘델의 분리법칙을 따르고 있다. 더욱이 대량의 시료처리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시간절약 및 비용 절감뿐만 아니라 샘플 처리과정의 간소화가 가능하여 handling errors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multiplex PCR은 친자확인, 가계분석, 집단유전학 및 계통분류학 분석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참전복, Haliotis discus hannai 표식개체의 실내사육 및 방류효과 (Effects of Stocking and Laboratory Rearing in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by Tagging)

  • 강경호;위종환;김광수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09-115
    • /
    • 1996
  • 우리나라 연안성에서 가장 중요한 양식대상종의 하나인 참전복의 표식 방류효과에 관한 조사는 보고된 바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 배양장에서 자체 생산된 참전복의 표지 방법별 효과를 검토하고, 방류효과를 구명함으로서 연안 자원의 증강을 도모 하고자 1994년 11월 10일 부터 1995년 3월 30일까지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참전복의 표지 및 표시 방법별 효과는 Al-teco에 의한 표지 부착이 가장 좋았다. 2. 실내 사육에 의한 표지의 탈락 및 폐사율은 각각 $6.7\%$$8.3\%$였고, 표지에 의한 폐사는 없었다. 3. 실내 사육 및 방류한 표지 개체는 실험 개시시 각구 공히 평균각장 및 전중량이 1.0 cm, 0.092 g 이던 것이 실험종료시에는 각각 1.80cm, 0.74 g, 1.68 cm, 0.68 g으로 성장하였다. 4. 재포된 모든 개체의 분포 중심 수심은 2.6m 였다. 재포된 모든 개체의 평균 이동 거리는 2.6m 였다. 6. 어획사망계수, 자연사망계수 및 전사망계수의 추정치는 각각 0.0195, 0.4652, 0.4847였다.

  • PDF

Effects of Amino Acids on Larval Settlement and Metamorphosis in Haliotis discus hannai

  • Kang, Kyoung-Ho;Kim, Byoung-Hak;Kim, Jae-Min;Kim, Young-Hun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95-106
    • /
    • 2003
  • The compositions of amino acid in 6 monocultured benthic diatoms used in aquaculture of Haliotis discus hannai were analyzed, and effects of 15 artificial synthetic amino acids on the settlement and metamorphosis of H. discus hannai larvae. Results showed that the content of L-aspartic acid was highest in all diatoms, and that of L-glutamic acid was second high. In experiment using settlement slat without benthic diatom attached, the highest settlement rate (33.3 ${\pm}$ 8.8%) was obtained with L-glutamic acid, and a higher value (16.7 ${\pm}$ 3.3%) was found with L-aspartic acid at 24 h after experimental commencement, compared to that of control (8.6 ${\pm}$ 5.1%). 80 h later the metamorphosis rates of L-glutamic acid (86.7 ${\pm}$ 10.7%) and L-aspartic acid (80.0 ${\pm}$ 3.3%) groups were higher than control group(0) and other amino acids significantly. The response rate of L-glutamic acid was the highest (62.0%), and those of L-aspartic acid (30.0%) and L-threonine (25.3%) groups were also significantly higher than control group. In the experiment using settlement slat with benthic diatom attached, the best effect of various amino acids on induction of larval settlement was obtained with L-glutamic (82.0 ${\pm}$ 6.9%) and L-aspartic acid (78.7 ${\pm}$ 5.1%) at 24 h after experimental commencement. The settlement rates of L-histidine, L-leucine, L-lysine, L-methionine, L-phenylalanine, and L-tyrosine group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control group. The same differences in the metamorphosis rate at 56 h after experimental commencement and in the response rate were found. It should be noted that after 80 h the metamorphosis rates of L-histidine (74.0 ${\pm}$ 12.0%) and L-lysine (87.0 ${\pm}$ 8.8%) declined rapidly compared to those of 56 h (8.0 ${\pm}$ 12.0%; 7.7 ${\pm}$ 12.0%).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