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bitat range

검색결과 315건 처리시간 0.029초

Phylidorea crane flies(Diptera: Limoniidae) of Korea

  • Podenas, Sigitas;Park, Sun-Jae;Byun, Hye-Woo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11권1호
    • /
    • pp.47-60
    • /
    • 2022
  • This study is based on crane fly specimens collected during more than 80 years, from 1937 through 2019, and are in collections maintained at the United States National Museum, Smithsonian Institution, Washington DC, USA; at Korea University collection, Seoul, South Korea, and the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South Korea. Three species belonging to genus Phylidorea Bigot, 1854 originally were described from North Korea and in total four species were known from the Peninsula. Phylidorea (Phylidorea) multidentata (Alexander, 1938) is a Korean endemic. We are adding P. (P.) melanommata (Alexander, 1921) to the list of Korean species, which was previously recorded from Japan and Far East of Russia. We present general information on genus and subgenera, redescriptions of species based on Korean specimens, illustrations of both sexes, elevation range, period of activity, habitat information, general distribution, and a distribution map for the Korean Peninsula (including North Korea) for each species.

Prionolabis crane flies (Diptera: Limoniidae) of Korea

  • Podenas, Sigitas;Park, Sun-Jae;Byun, Hye-Woo;Aukstikalniene, Rasa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11권1호
    • /
    • pp.29-37
    • /
    • 2022
  • This study is based on crane fly specimens collected more than 80 years ago in 1938-1939 and preserved at the United States National Museum, Smithsonian Institution, Washington DC, USA. Despite many attempts with a variety of methods, no additional specimens of this genus were captured. This likely means that that this genus is extinct on the Korean Peninsula, or its distribution is restricted to the northern areas of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North Korea). The genus Prionolabis Osten Sacken, 1860 with four species, one of them Prionolabis dis(Alexander, 1950) endemic to North Korea, was recorded by Ch. P. Alexander (Alexander, 1938, 1940, 1950). All succeeding papers listing these species were based on these original works without study based on actual specimens. For each species, we present general information on genus, redescriptions of species based on Korean specimens, illustrations of important taxonomical structures, elevation range, period of activity, habitat information, general distribution, and a distribution map for the Korean Peninsula.

다양한 하천생태모델을 이용한 생태계 진단 및 평가 (Ecosystem Diagnosis and Evaluations Using Various Stream Ecosystem Models)

  • 김자현;이의행;안광국
    • 생태와환경
    • /
    • 제40권3호
    • /
    • pp.370-378
    • /
    • 2007
  • 본 연구는 갑천의 지류인 반석천에서 도시화에 따른 서식지 교란과 수질오염의 영향에 따른 생태계 건강성 평가를 위해 2005년 7월부터 2006년 4월까지 어류를 이용한 해부학적 건강도 평가 모델지수(HAI),생태계 건강도 평가 지수(IBI)및 물리적 서식지 평가 모델(QHEI)을 이용하여 총체적 건강도를 평가하였다. 상기 모델의 시간적, 공간적인 분석을 위해 상류로부터 하류까지 총 6개 지점을 선정하여 3회 조사하였다. 생태계 건강도 평가결과 평균 24(악화${\sim}$보통상태)로 나타났고, 물리적 서식지 건강도는 평균 116(보통${\sim}$양호상태)으로 나타났다. 생태계 건강도와 물리적 서식지 건강도의 상관분석 결과 물리적 서식지 건강도는 생태계 건강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사료되었고, 특히 서식처의 비율$(M_1)$, 유량/유속의 다양성 $(M_3)$, 여울의 빈도$(M_7)$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해부학적 건강도 평가 결과 대조군은 0(최적상태)으로 나타난 반면, 처리군(T1, T2)은 각각 5 (양호상태), 50 (악화상태)로 나타났으며, 생태계 건강도가 높은 지점에서 개체건강도 역시 최적상태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생태계 건강도 평가(IBI), 물리적 서식지 평가(QHEI) 및 해부학적 개체 건강도 평가(HAI)를 통한 평가 기법은 하천 생태계의 총체적 건강도 평가를 위한 좋은 모델인 것으로 사료된다.

Valuation of Forest Habitat Functions of Endangered Mammals Using Species Distribution Model

  • Kim, Jung Teak;Kim, Jaeuk;Lee, Woo-Kyun;Jeon, Seong Woo;Kim, Joon Soon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1권3호
    • /
    • pp.207-213
    • /
    • 2015
  • It is estimated that there is a total of approximately 100,000 species in Korea. However, the number is currently about 30,000 and only 16,027 species are listed in the 'Species Korea' (as of December, 2014). Of the listed species, 51 species are designated as the Endangered Species Class I while 195 species are in the Class II, totaling 246 endangered species including 20 mammals. Under the circumstances that development (e.g., roads) is increasingly threatening the persistence of endangered mammals, it is significant to identify and preserve suitable habitats for them. In this context, evaluating the values of the suitable habitat environment would serve as essential information for development decision making. This study estimated the values of endangered mammals' forest habitats through spatialization of habitat services. In doing so, a species distribution model, Maximum Entropy Model (MaxEnt) was utilized for a group of endangered mammals including, mountain goat, wildcat, marten cat, and flying squirrel. To calculate the values per unit area, a benefit transfer method was used based on the point-estimate technique with the best available values estimated previously. The range of discount rate of 3.0 to 5.5 percent was applied taking the notion of social discount rate into account. As a result, the province with the highest values for endangered mammal habitats appeared to be Gangwon, followed by Gyeongbuk and Gyeongnam. The monetary values of the endangered mammal habitats were estimated to be 330 billion to 421 billion won per year.

Ecosystem Health Assessments of Changwon Stream as a Preliminary Diagnosis for Aquatic Ecosystem Restoration

  • Han, Jung-Ho;Bae, Dae-Yeul;An, Kwang-Guk
    • 생태와환경
    • /
    • 제40권4호
    • /
    • pp.527-536
    • /
    • 2007
  • In this study, we applied 10-metric health assessment model, based on the Index of Biological Integrity (IBI) during 2006 in the Changwon Stream, which is located in the Changwon city, Gyeongnam province, S. Korea, and then compared with water quality data. The Index of Biological Integrity (IBI) in the Changwon Stream varied from 18 to 38 in the watershed depending on the sampling location and averaged 30.3 (n=6) during the study. Analysis of tolerance guilds showed that the proportion of sensitive species was 13%, but tolerant and intermediate species were 34% and 53%, respectively. Qualitative Habitat Evaluation Index (QHEI) averaged 43.3 (range: 65-104, n=6) indicating non-supporting condition, based on the criteria of U.S. EPA (1993). Values of QHEI showed a typical longitudinal decreases from the headwater reach to the downstream location, except for Site 1 with a low QHEI value by artificial habitat by concrete construction. Minimum QHEI was found in Site 4 where fish diversity was minimal. Conductivity increased continuously along the gradients and especially showed abrupt increases in the downstream sites along with turbidity. Stream ecosystem health of IBI matched to the values of QHEI except for S6. Low IBI values in the sites 4 and 5 was considered to be a result of combined effects of chemical pollutions and habitat degradations. Our results support the hypotheses of Plafkin et ai. (1989) that physical habitat quality directly influences the trophic structure and species richness, and is closely associated with IBI values.

경관지수를 활용한 설악산국립공원 아고산대 분비나무개체군의 서식지 특성 (A Habitat Characteristic of Population of Khingan Fir(Abies Nephrolepis) in Seoraksan National Park Using Landscape Indices)

  • 이호영;박홍철;이나연;이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70-178
    • /
    • 2020
  • 분비나무 등 국내 아고산대 서식지에 대한 경관생태학적 분석 사례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설악산국립공원 아고산대에 자생하고 있는 분비나무개체군을 대상으로 식피율 차이에 따른 15가지 경관지수 분석을 통해 서식지 특성을 정량적으로 해석·평가하고자 하였다. 설악산국립공원 내 자생하고 있는 모든 분비나무 서식지를 대상지로 설정하였다. 설악산 국립공원 내 분비나무군락의 식피율 증·감에 따른 경관생태학적 경향성을 확인하기 어려웠다. 다만, 식피율 50% 미만의 분비나무 서식지가 전체의 85% 이상을 차지하고 있을 만큼 설악산국립공원의 분비나무 서식지는 전반적으로 낮은 피도와 개체밀도로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식피율 10~50% 구간의 분비나무 서식지는 총 286개의 패치로 파편화되어 있어 서식지 연결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물리적 형태에 따른 주연부 효과를 판단할 수 있는 총 가장자리 길이와 가장자리 밀도는 식피율 26~50% 서식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 다른 식피율의 서식지에 비해 외부로부터 받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일한 크기의 패치일지라도 식피율 10~50%의 분비나무 서식지가 더욱 복잡한 형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러한 특성이 서식지 파편화 및 외적 교란에 더욱 취약하게 만들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본 연구결과를 활용하여 설악산국립공원 분비나무 서식지의 확대 혹은 축소에 대한 시계열 분석이 가능하며, 각 서식지를 구성하는 패치의 형태변화와 연결성, 파편화 등에 관한 후속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필댐 하류사면 자생식물의 습생지수 결정 (Determination of Hydrophyte Index of Native Plant on the Downstream Slope of Earth Fill Dam)

  • 김현수;류범희;박승기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61권1호
    • /
    • pp.131-144
    • /
    • 2019
  • The purpose of study was to determine the hygrophyte index of each plant(HIP) considering the moisture environment condition (MEC) of the native plants on the downstream slope of the fill dam and evaluate its applicability which to develop a method to search for leaks and saturated zones of the fill dam for status evaluation of precision safety diagnosis. The HIP was weighted average and consisted of 19 ranks. The weighted average wa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three procedures: First, the linear assumption was made according to the actual habitat environmental conditions, the second one was weighted to 10% of the optimal habitat condition, and finally the average value of the distribution range values. The Hygrophyte index of vegetation at each plot (HIV) was obtained from the Sinheung reservoir (Yesan-gun, Chungcheongnam-do) using the results of vegetation survey of the Sinheung reservoir with precision safety diagnosis and suggested the use of the hygrophyte index of the cultivated vegetation. The average HIP range of plant species that emerged in 50 survey sites on the downstream slope of the Sinheung reservoir is 2.99 to 3.56.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showed a large difference depending on the appearance of the leakage indicator plant(LIP) species. The range of HIV is 2.80 to 4.26, the mean value is 3.37, standard deviation is 0.37 and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is 9.7%. As a result, the value of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showed a large difference depending on the appearance of the plant species.

확률분포모형을 이용한 하루살이속(Ephemera) 4종의 고도구배에 따른 서식처적합도 평가 (Estimation on Altitudinal Spectrum of Suitability for Four Species of the Mayfly Genus Ephemera (Ephemeroptera: Ephemeridae) Using Probability Distribution Models)

  • 공동수;강보미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02-315
    • /
    • 2023
  •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nd altitudinal gradient of four species (E. strigata, E. separigata, E. orientalis-sachalinensis group) of the mayfly genus Ephemera (Order Ephemeroptera) were analyzed with probability distribution models (exponential, normal, lognormal, logistic, Weibull, gamma, beta, Gumbel). Data was collected from 23,846 sampling units of 6,787 sites in Korea from 2010 to 2021. The beta distribution model showed the best fit for positively skewed E. orientalis-sachalinensis and little-skewed E. strigata along with altitudinal gradient. The reversed lognormal distribution model showed the best-fit for negatively skewed E. separigata. E. orientalis-sachalinensis distributed at the range of altitude 1~700 m (mean 251 m, median 226 m, mode 124 m, and standard deviation 161 m), E. strigata distributed at the range of altitude 5~871 m (mean 474 m, median 478 m, mode 492 m, and standard deviation 200 m), E. separigata distributed at the range of altitude 7~846 m (mean 620 m, median 659 m, mode 760 m, and standard deviation 181 m). Altitudinal habitat suitability ranges were estimated to be 42~257 m for E. orientalis-sachalinensis, 335~644 m for E. strigata, and 641~824 m for E. separigata. Based on the altitudinal spectrum of suitability and altitude-related temperature analysis results, E. orientalis-sachalinensis was estimated to be thermophilic, E. strigata to be mesophilic, and E. separigata to be thermophobic. This is the first national-scale evaluation of the altitudinal distribution of Ephemera in Korea. These results will be used in a further research study on altitudinal shift of the species of Ephemera under climate change.

위치정보 기반 멸종위기종 서식지 관리시스템 개발 (Developing an Endangered Species Habitat Management System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 김선집;김상협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6권3호
    • /
    • pp.67-73
    • /
    • 2020
  • 국내 멸종위기 양서류의 연구현황은 1980년대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종의 생활사(Life-Cycle) 및 분포현황을 주로 연구했으며, 2000년대 중반부터 최근까지 서식지 보전, 복원 등에 초점을 맞춰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국내에서 위치정보를 이용한 생물종 정보를 제공하는 웹 서비스는 환경부 산하 국립생물자원관에서 운영하는 사이트가 있으나 표본을 채집한 지역만을 표시한 것으로 멸종위기종에 대한 정보 및 일반 생물종의 정보 또한 매우 빈약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 문헌조사와 현지조사를 병행하여 멸종위기종인 맹꽁이의 위치정보 DB를 확보하였고 IT 기술 중 신기술과 IT의 비전공자도 쉽게 접할 수 있는 오픈 기반 플랫폼기술을 적용하여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구축한 시스템은 관리자 기능과 사용자 기능으로 나뉘어 사용자의 회원가입을 통한 인증 절차를 통해 무분별한 정보 공유를 방지하였다. 구축된 시스템은 위치 권한을 받아 현 위치와 맹꽁이 위치의 거리를 나타나게 하였으며, 멸종위기종인 맹꽁이의 생태특성을 고려하여, 위치 기준 반경 500m를 표시하여 서식범위를 알 수 있게 하였다. 구축한 시스템은 법률제도에 접목하여 기존 보호지역 등의 변경, 신규 선정 등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개발계획 수립 시 자연환경의 검토에 활용하여 실요성 있는 저감방안을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구축된 시스템은 입력되는 정보를 수정하면 매우 다양한 멸종위기종에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사향쥐(Ondrtra cuniculus)의 정착 및 서식지 이용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establishment and characteristics of habitat use of muskrat(Ondrtra zibethicus) in South Korea)

  • 김영채;홍선희;이창우;김아름;박희복;박수곤;김민한;이도훈
    • 환경생물
    • /
    • 제38권1호
    • /
    • pp.1-15
    • /
    • 2020
  • 본 연구는 침입종 사향쥐의 국내 자연생태계 정착 여부를 확인하였다. 아울러 관리전략 수립과 현장 관리에 필수적인 관리대상지역과 기초적인 행동특성 정보, 서식지 이용에 관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해외의 사향쥐 관리 동향을 파악하여 정착 단계에 따른 관리 방향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국내 72개 사육농가의 위치정보를 확보하였고, 실태조사를 통해 경기도, 충청남도, 경상북도, 세종특별자치시 소재 5개 지역을 자연 유출 가능성이 높은 지역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2016년부터 2018년까지 3년간 동일 지점에 서식하는 개체를 모니터링하였다. 2018년 모니터링 지역에서 포획한 개체의 연령이 1.2년생으로 확인되었으며, 2012년 이후 해당지역에 추가적인 개체 보충이 없었다는 사실에 근거하여 국내 자연생태계에 사향쥐가 정착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국내 자연에 정착한 사향쥐는 0.0027 ㎢ (MCP 95%)의 작은 행동권을 나타내었으며, 봄철과 가을철 규칙적인 이동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향쥐의 서식이 관찰된 지역은 서식환경의 교란이 높게 발생한 지역이었으며, 사향쥐의 흔적 출현 빈도는 부엽식물과 부유식물의 생육이 왕성한 개방수역과 개체의 은신처로 활용 가능한 습생목본 식생유형에서 높게 확인되어 이들의 생태적 특성과 섭식 습성이 그대로 반영되었다. 국제적인 침입종 사향쥐가 국내 생태계에 정착하였고, 향후 확산이 우려되는 만큼 정부 차원의 선제적 대응과 과학적 관리를 위한 필수 자료 구축이 검토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