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bitat density

검색결과 356건 처리시간 0.031초

생태계교란 식물 가시박의 개체밀도에 대한 환경요인 영향 분석 - 금강수계 미호천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Density of Ecosystem-Disturbing Plant Sicyos angulatus - Centering on Miho Stream -)

  • 이영기;김호준;김이형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95-301
    • /
    • 2020
  • 본 연구는 생태계 교란식물 가시박의 방제를 위한 기초자료 확보를 위해 금강수계 미호천을 대상으로 가시박의 개체밀도에 영향을 주는 환경요인과의 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 가시박 서식지 토양입도 분석결과 가시박 개체밀도는 실트질 및 점토질 함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시박 서식지 대부분은 모래질 및 실트질 함량이 높았으며 점토질은 2% 이하로 낮게 나타났다. 유량의 경우 평수량 및 풍수량 초과 이벤트가 증가할수록 가시박 개체밀도는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는데, 이는 유량증가시 가시박의 침수로 인한 토양특성 변화와 성장장애 떄문이다. 수질은 가시박이 침수시 양분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나 가시박이 물에 침수시 토양특성 변화로 성장장애를 받기 때문에 오히려 가시박 개체밀도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생태하천복원사업 등 하천의 자연성 회복을 위한 자연적 방제기법으로 가시박 성장환경을 가진 토양에 자연형 물길을 조성함으로써 물관리를 통한 기법이 적용 가능할 것으로 본다.

비단가리비, Chlamys farreri 수하양식에서 수용밀도에 따른 성장과 생존 (Effect of Stocking density on Growth and Survival rate of the Scallop, Chlamys farreri (Jones & Preston, 1904) cultured in Hanging culture in the West coast of Korea)

  • 박광재;윤상필;박영제;송홍인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6
    • /
    • 2012
  • 2002년 6월부터 2003년 10월까지 충남 태안군 안면읍 내파수도 연안의 수하식 양식장에서 비단가리비 치패 (평균 각고 $32.97{\pm}6.21mm$, 전중량 $5.63{\pm}3.86g$) 를 채롱에 수용하여 밀도에 따른 성장과 생존을 연구하였다. 비단가리비는 주로 한국의 서해안과 중국의 북부 연안에 자연적으로 서식하는 종이다. 조사해역의 표층 수온은 $4.3-25.3^{\circ}C$, 염분은 29.2-32.1 psu, 용존산소는 5.32-7.51 mg/L이었고, pH는 7.84-8.12로 나타났다. 실험을 시작할 때 채롱 당 수용밀도는 20, 30, 40, 50 개체로 하였다. 실험을 시작하여 16개월이 경과한 후의 평균 각고는 64.35-76.23 mm였고, 전중량은 41.53-64.85 g, 생존율은 82-100%로 나타났다. 비단가리비의 성장률은 수용밀도와 역상관 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각고와 전 중량의 성장은 수온이 하강하면서 감소하였다. 비단가리비의 폐사는 대부분 3-4월과 9-10월에 나타났다. 밀도에 따른 생존율은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20마리 실험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두만강 하류 밀강 지역의 산림성 포유류 풍부도와 점유율 (Abundance and Occupancy of Forest Mammals at Mijiang Area in the Lower Tumen River)

  • 이해룡;최창용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429-438
    • /
    • 2023
  • 두만강 하류의 숲은 북한, 중국, 러시아를 연결하는 중요한 산림생태계로서, 국제적인 멸종위기종인 호랑이(Panthera tigris)와 표범(Panthera pardus)을 포함한 다양한 야생동물들에게 서식환경과 이동경로를 제공하여 준다. 본 연구는 두만강 하류, 특히 중국과 북한을 연결하는 잠재적인 생태통로로서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보전과 복원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 밀강 지역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2019년 5월부터 2021년 5월까지 이 지역에 설치한 48대의 무인센서카메라를 통해 출현하는 포유류 종을 확인하고 그들의 상대개체수와 점유율 및 분포 현황을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그 결과 총 18종의 포유류가 밀강 지역에 서식하고 있으며, 그 중에는 호랑이와 표범 등 대형 육식동물도 포함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지역의 주요 포유류인 유제류 4종에 대한 점유율과 탐지율, 분포를 추정한 결과, 특히 노루(Capreolus pygargus)와 멧돼지(Sus scrofa)가 높은 점유율을 보였다. 노루는 모든 지역에 분포하며 예측 점유율은 0.97로 높게 나타났으나, 고도, 도시 주거용지, 패치 밀도 등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멧돼지는 0.73의 예측 점유율을 보이며 전 지역에 분포했으며, 습지 비율, 방목 강도, 사면에 대한 공간이질성 등의 인자가 점유율과 탐지율에 영향을 주었다. 꽃사슴(Cervus nippon)의 예측 점유율은 0.48로서 특정 지역에 국한되어 분포하였으며, 경사도와 서식지 파편화 다양성이 탐지율에, 방목 강도와 개방된 숲의 비율이 점유율에 각각 영향을 주었다. 고라니(Hydropotes inermis)는 아주 낮은 점유율(0.06)을 보이며 두만강 유역을 따라 분포했으며, 고도가 낮은 곳의 점유율이 높고 사면의 공간이질성이 높은 곳에서 탐지율이 높았다. 본 연구는 밀강 지역이 두만강 하류의 다양한 포유류 개체군을 유지하는 서식지인 동시에, 동물의 이동성과 서식지의 연결성을 유지하는 잠재적 생태통로로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동시에 본 연구에서 개발된 점유율 예측 모형은 향후 인간의 교란에 노출된 두만강 유역의 포유류 분포를 예측하고 국경지대의 생태통로를 파악하고 보호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신두리 해안의 조하대와 모래 갯벌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분포 (Distribution of Benthic Macrofauna in subtidal area and on sand flat of Sindu-ri coast, Korea)

  • 구본주;신상호;우한준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69-88
    • /
    • 2005
  • 신두리 해안의 조하대와 갯벌에서 2002년 7월 대형저서동물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조사 해역에서는 총 134종, 3,511개체, 388g의 저서동물이 채집되었다. 조하대 10개 정점에서는 109종, 1,298개체/$m^2$, $69.4g/m^2$의 저서동물이 출현하였으며, 이 가운데 갯지렁이류가 54종, 813개체/$m^2$의 분포를 보이며 출현 종수 (49.5%)와 서식밀도 (62.7%)에서 가장 우점하는 분류군이었다. 집괴분석 결과 신두리 해역에는 퇴적물 특성에 따라 네 개의 저서동물군집이 형성되어 있었다. 펄과 자갈이 혼재하는 양식장 주변 해역에는 Cirrophorus armatus와 Lumbrineris longifolia로 대표되는 군집, 암반기질로 된 해역에는 Aonides oxycephala 군집, 모래 함량이 높으며 최저조선에 인접한 곳에는 Scoloplos armiger와 Grandifoxus cuspis 군집, 그리고 역시 모래 함량이 높으며 외해쪽으로 인접한 해역에는 뚜렷하게 우점하는 종 없이 균등도지수가 높은 군집이 형성되어 있었다. 양식장 주변 해역의 저서동물 군집은 출현 종수, 서식밀도, 종다양도지수가 높았으나 오염지시종들이 우점하고 있었다. 모래 퇴적물 해역에는 S. armiger와 G. cuspis 등이 우점하는 일반적 모래 조하대 군집 특성을 보였다. 갯벌 두 조사선에 설정한 8개 정점에서는 50종, 2,443개체/$m^2$, $381.3g/m^2$의 저서동물이 출현하였으며, 연체동물이 출현 종수, 서식밀도, 생체량에서 각각 20종, 1,345개체/$m^2$, $350.4g/m^2$를 차지하며 가장 우점하는 분류군이었다. Umbonium thomasi, Veneridae sp., Mandibulophoxus mai, Armandia lanceolata, Eohaustorius spinigerus, Urothoe convexa 등이 신두리 갯벌의 우점종이었으며, 전체 개체수의 83% 이상을 이들 종이 차지하였다. 갯벌의 저서동물 분포는 노출시간 정도에 따라 구분되는 특성을 보였다. 즉, 상부에서 하부로, 노출시간이 감소하면서 Scopimera globosa, M. mai, E. spinigerus 군집이 뚜렷한 대상분포를 하였다. 양식장이 위치한 남서해역을 제외한 신두리 해안은 자연성을 가진 건강한 서식지였으며, 특히 천연기념물인 신두리 사구와 연결되는 갯벌과 주변 조하대 해역에는 인위적인 구조물이 거의 없으며 외부로부터의 오염원도 없어 향후 보전을 위한 가치가 충분히 있는 서식지로 판단되었다.

  • PDF

황해 대륙붕에 서식하는 중형저서동물 군집 특성 (Characteristics of Meiofauna Community Inhabiting Continental Shelf of Yellow Sea, Korea)

  • 정민규;김동성;강태욱;오제혁;신아영;오철웅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7권2호
    • /
    • pp.103-125
    • /
    • 2022
  • 본 연구는 황해 중부해역의 대륙붕에 서식하는 중형저서동물의 군집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로서, 이를 위해 2018년부터 2020년까지 북위 35도, 36도, 37도에 위치한 수심 18~90 m의 13개 정점에서 조사를 수행하였다. 2018년 10월 5개 정점, 2019년 4월 9개 정점, 2020년 8월 6개 정점에서 봄, 여름, 가을의 3계절에 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중형저서동물 시료는 직경 3.6 cm의 아크릴 코어러를 이용하여 각 정점에서 반복수 3회로 채집하였다. 조사해역의 중형저서동물의 서식밀도는 45~1029 inds./10 cm2범위로 이는 기존의 황해에서 진행되었던 국내 연안과 중국 중부해역 연구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중형저서동물의 계절에 따른 서식밀도는 가을에 800±69 inds./10 cm2로 가장 높은 서식밀도를 보였고, 여름에 260±48 inds./10 cm2로 가장 낮았다. 중형저서동물은 총 19개의 분류군이 출현하였으며, 평균값은 9개의 분류군 수를 보였다. 출현 분류군 중 가장 우점하는 분류군은 선충류로 전체 서식밀도의 80.8%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저서성 요각류(8.8%), 저서유공충류(4.7%) 순으로 나타났다. 중형저서동물의 크기 분포는 63 ㎛의 망목을 통과하고 125 ㎛크기의 체에 걸러지는 생물의 서식밀도가 가장 높았으며 1~0.5 mm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중형저서동물의 퇴적물 내 수직적 분포는 퇴적물 표층에서 깊이가 깊어질수록 서식밀도가 점차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저서환경을 파악하기 위해 중형저서동물을 활용한 N/C ratio, MPI, ITD 지수 분석결과 계절별로 차이를 보이기는 하였으나, 전반적으로 오염을 나타내는 값은 나타나지 않았다.

부산일대 곰솔림과 소나무림의 생육 밀도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Growth Density on the Pinus thunbergii and Pinus densiflora Communities in area of Busan, Korea)

  • 이상철;홍석환;김동필;최송현;안미연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15-224
    • /
    • 2018
  • 기후변화로 인한 곰솔림과 소나무림의 세력은 약해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나, 곰솔과 소나무에 대한 식재요구도는 여전히 높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한반도 난온대림지역에 속하는 부산일대, 남동부지역에 주요 조경수목인 소나무림과 곰솔림을 대상으로 자연림의 생육밀도를 파악한 후 난온대림에 적합한 생태적 식재밀도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한반도 남동부에 해당하는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소나무림 22개소, 곰솔림 60개소를 선정하여 $100m^2$ 방형구를 설치하여 조사구 내 출현하는 교목, 아교목층 수종의 흉고직경 및 개체수를 조사한 후, 회귀분석을 통해 평균흉고직경급별 적정 개체수 산정을 위한 회귀식을 도출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흉고직경의 생장에 따른 교목층 생육개체수 예측모형의 결정계수는 곰솔림 0.700, 소나무림 0.533으로 단일 요인에 의한 설명력으로는 매우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예측 회귀모형은 곰솔림의 경우 $Y=31.176e^{-0.055x}$, 소나무림의 경우 $Y=38.351e^{-0.059x}$(X=흉고직경, Y=개체수/$100m^2$)였다. 남동부지역의 곰솔림과 소나무림의 생육밀도는 중부지방보다 다소 높았다.

Floristic composition and species richness of soil seed bank in three abandoned rice paddies along a seral gradient in Gwangneung Forest Biosphere Reserve, South Korea

  • Cho, Yong-Chan;Lee, Seon-Mi;Lee, Chang-Seok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2권3호
    • /
    • pp.90-102
    • /
    • 2018
  • Background: We sought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ed bank and vegetation in abandoned rice paddies in South Korea, in order to guide management of these sites. We investigated the floristic composition and species richness of the soil seed bank and ground vegetation in former paddies along three seral gradients (wet meadow, young forest, and mature forest) in Gwangneung Forest Biosphere Reserve. Results: Seed bank samples contained 59 species, of which the dominant families were Cyperaceae, Gramineae, and Polygonaceae. Species richness and seedling density (59 taxa and 19,121 germinants from all samples) were high. Carex spp. (11, 921 germinants) were the dominant taxa. The species composition in the seed bank changed gradually as the land transitioned from wet meadow to mature forest. Sørensen's index of similarity between above- and below-ground vegetation was 29.3% for wet meadow, 10.8% for young forest, and 2.1% for mature forest. Germinant density also declined, with 10, 256 germinants for wet meadow, 6445 germinants for young forest, and 2420 germinants for mature forest. Conclusions: Changes in aboveground environment and life history traits such as amphicarpic plants, likely affect the composition of soil seed bank species. Abandoned paddy fields may be good sites for restoration of wetland forest and conservation of wetland habitat. Some intervention may be required to promote the recovery of a natural species assemblage.

한강.낙동강 상류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봉화.영월권역을 중심으로- (An Ecological Study on the Benthic macroinvertebrates in the Upper Region of the South Han River and Naktong River - Pongwha and Youngwol Region -)

  • 배경석;원두희;유병태;김민영
    • 환경위생공학
    • /
    • 제14권4호
    • /
    • pp.50-68
    • /
    • 1999
  •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on the fauna and standing crop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in Pongwha and Youngwol region of upper parts of south han river and Naktons river. The Actual site suvry was caried out on the two times during the April·June to October·November, 1988. Main five areas are Mt. Awrawe(1,067m), Mt. Sontal (1,236m), Mt. Munsu(1,206m), Peak Okyopong(357m) and Mt. Pungnak(760m) area. Total taxa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of the study area were 118 species, 45families12 orders, 5 classes in 4 phyla. Occurrence species according to the major taxa of aquatic insects were 35 species (29.66%) in ephemeroptera, 25 species(21.19%) in trichoptera, 25 species(21.19%) hemiptera, 1 species(0.85%) in megaloptera. Non-aqautic insect were 5 species in mollusca, 3 ratio was 8.5 percent. Occurrence species(plecoptera) at clean waters were appeared 12 species at Mt. Awrawe and Sontal area. Occurrence species at each survey area was 67 species at Mt. Awrawe area, 60 species at Mt. Sontal area, 43 species at Mt. Munsu area, 37 species at Mt. P'ungnak area and 34 species at Peak Okyo area, respectively. Species diversity indices were 2.96~3.80 at Mt. Awrawe area, 2.79~3.62 at Mt. sontal area, but 2.64~3.12, 1.59~2.46 and 1.98~2.59 at, Mt. Munsu, P'ungnak and Peak Okyo area, respectively. In this region, occurrence species and individual density were smaller than that of Dong river with good habitat, but those were more abundant than that of Poseong river with similar environment conditions. Therefore, occurrence species and individual density of the present survey region were appeared as somewhat abundant.

  • PDF

Population ecology of Palmaria palmata (Palmariales, Rhodophyta) from harvested and non-harvested shores on Digby Neck, Nova Scotia, Canada

  • Garbary, David J.;Beveridge, Leah F.;Flynn, Andrea D.;White, Katelyn L.
    • ALGAE
    • /
    • 제27권1호
    • /
    • pp.33-42
    • /
    • 2012
  • Population ecology of Palmaria palmata is described from the intertidal zone of Digby Neck and adjacent islands of Nova Scotia. The primary objectives were: to evaluate the difference in habitat specialization and population structure of P. palmata between harvest and non-harvest shores, and to characterize differences in thallus structure and frond sizes between epilithic and epiphytic populations. Harvest shores were gently sloping boulder fields with boulders typically about 0.5-1.0 m with dense cover of P. palmata on many of the rocks. Non-harvest shores (with or without P. palmata) consisted of boulders that were smaller or larger than harvest shores, or bedrock; when P. palmata was present on nonharvest sites it was typically epiphytic on other algae (e.g., Fucus spp., Mastocarpus stellatus, Devaleraea ramentacea). Harvestable epiphytic populations occurred only in high current areas. While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average cover of P. palmata harvest and non-harvest shores ($31.2{\pm}13.7%$ vs. $19.4{\pm}7.3%$, mean ${\pm}$ standard deviation [SD]), the cover of P. palmata on harvest shores was highly skewed such that individual boulders often had >90% cover while adjacent rocks had little. Frond length of large fronds was greater on harvested shores, and mean frond density ($g\;m^{-2}$) was three times higher than the mean density on the non-harvested shores. Frond lengths of entire epiphytic and epilithic frond complements of 119 thalli from harvest beaches showed no difference in mean size of the largest fronds, and no difference in frond number per holdfast when epiphytic and epilithic thalli were compared.

숲 가꾸기 임지의 소나무좀 발생과 후식 피해 (Secondary Damage and Adult Emergence of Pine Bark Beetle (Blastophagus piniperda) in Tended Forests)

  • 구관효;이정환;김종갑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258-264
    • /
    • 2005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study 1) emergence of pine bark beetles, 2) larval density in residual timber on Idlest land by each felling season, and 3) the secondary damage rates in the tended forest. Pine forest land which had undergone tending had a higher secondary damage ratio $(59.6\%)$ by pine bark beetles than forest land that was not tended $(2.8\%)$. The number of escape holes averaged 11.3 0.31 per $250 cm^2$ on the bark of leaf trees in the tended forest. The number of escape holes was higher in the Jinju site than in the Hamyang site. The larval habitat density of pine bark beetles as compared with each felling period was higher after mid-October than in forests tended early in October. Thus, forests should be tended before early October in order to prevent secondary damage from pine bark beetles. Secondary damage in the tended forest was higher in the upper part $(75.5\%)$ of the tree crown than in the lower part $(49.2\%)$. The damage was higher in terminal shoots $(80\%)$ than in lateral shoots $(48\%)$. Therefore, secondary damage by pine bark beetles can cause deterioration of the elongation growth of the forest trees. In conclusion, if by-products of tended pine forest forests are neglected, they will be utilized as a propagation site for pine bark beetles (Blastophagus piniperda L). The propagated adults will damage the tender shoots of the leaf trees and thus seriously limittheir elong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