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ustatory sweating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37초

보툴리눔 독소를 이용한 Frey 증후군 환자의 치료 (Treatment of Frey's Syndrome Patients with Botulimum Toxin A)

  • 박병찬;류민희;김태곤;김용하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6권3호
    • /
    • pp.283-288
    • /
    • 2009
  • Purpose: Frey's syndrome is a common complication after parotid surgery and characterized by gustatory sweating and flushing in the periauricular area during meals. Although a variety of methods have been proposed to prevent this postoperative problem but they have been unsatisfactory. In this article, therefore, botulinum toxin A was used to treat nine patients with Frey's syndrome and its duration effect after injection was investigated. Methods: Nine patients became the object of study about the effect of botulinum toxins as treatment of Frey's syndrome. Age of patients ranged from 25 to 78 years (mean, 43.7 years). Six of nine patients had both symptoms of gustatory sweating and flushing. And the others had only gustatory sweating symptom. Using Minor starch iodine test, the affected skin area was detected, and it was marked by $1cm^2$ sized grid appearance. After application of EMLA cream on the gustatory sweating area, botulinum toxin A was injected intracutaneously into the affected skin area ($2.5U/cm^2$). Patients were followed up from six to fifteen months (mean, about 12 months) and asked about improvement of their symptoms. Results: The treatement with botulinum toxin A took effective within two days after injection. Six months after injection, gustatory sweating disappeared completely in all patients, and five of six patients who had gustatory flushing improved in their symptom. Last follow-up, no patients complained of recurrent gustatory sweating and flushing except one. One patient, seven months after initial injection, was retreated with botulinum toxin A because of recurrence, and the result was successful. The duration of the effect after botulinum toxin A treatment was ranged from seven to thirteen months. One patient in our series experienced the upper eyelid weakness as adverse effect, but it improved spontaneously. Conclusion: Local injection of botulinum toxin A is an effective, safe and long - lasting method for treatment of Frey's syndrome. Hereafter, however, additional study will be required to evaluate the duration effect of botulinum toxin A according to frequency in use and dosage.

식이성 다한증에서 Benztropine의 효과 - 2예 보고 - (The Effect of Benztropine in Gustatory Hyperhidrosis - Two case report -)

  • 이석열;전철우;박형주;이철세;이길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4호
    • /
    • pp.300-301
    • /
    • 2003
  • 평소에 식이성 다한증으로 일상생활에 불편함을 호소하던 두 환자들에서 항콜리너직 약제인 benztropine을 사용하여 발한감소 효과를 보았다. 저자들은 이를 치험 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이하선 기능 보존을 위한 심층엽의 선택적 절제술: 증례보고 (SELECTIVE DEEP LOBE PAROTIDECTOMY FOR PRESERVATION OF PAROTID FUNCTION: A CASE REPORT)

  • 정승원;최세경;남웅;차인호;김형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5권5호
    • /
    • pp.384-387
    • /
    • 2009
  • Tumors of the deep lobe of parotid gland are rare. These benign tumors have usually been treated by total parotidectomy, which has functional and esthetic side effects. Recently, there has been a trend for operations of parotid gland benign tumors to be less radical and selective deep lobe parotidectomy has been introduced. This technique preserves the superficial lobe and facial nerve when tumor is located in the deep lobe. Selective deep lobe parotidectomy preserves parotid salivary function, minimizes the incidence of facial nerve damage and gustatory sweating (Frey's syndrome) and improves cosmetic outcome. We report a case of pleomorphic adenoma of the deep lobe that was successfully treated by selective deep lobe parotidectomy with satisfactory result.

Acellular dermal matrix (Insuregraf) in the prevention of Frey's syndrome and surgical site depression after parotidectomy

  • Choi, Jangyoun;Park, Song I;Rha, Eun Young;Seo, Bommie Florence;Kwon, Ho;Jung, Sung-No
    •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76-180
    • /
    • 2019
  • Background: Parotidectomy is the treatment of choice in many parotid tumors. Due to the extensive nature of the procedure, unfavorable complications such as gustatory sweating, surgical site depression are common. Various techniques using fascia, muscle or AlloDerm have been developed but debate still remains regarding its availability and affordability. We applied a newly developed acellular dermal matrix (Insuregraf) to the parotidectomy field to act as a physical barrier and to provide adequate filling effect for prevention of functional and aesthetic complications. Methods: From March 2010 to March 2017, 30 patients with parotid tumors underwent superficial parotidectomy. Twenty patients underwent only superficial parotidectomy. Ten patients had Insuregraf applied to the surgical site after superficial parotidectomy. We evaluated the incidence of Frey's syndrome, surgical site depression, and patient satisfaction rate in both groups. Results: The incidence of Frey's syndrome was lower in the Insuregraf group (0 vs. 2). Surgical site depression was also lower in the Insuregraf group (2 vs. 20). Satisfaction score for facial contour in Insuregraf group was 9.2 out of 10, which was comparable to 6.2 out of 10 i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Application of Insuregraf after superficial parotidectomy is an effective surgical procedure to prevent complications such as Frey's syndrome and surgical site depression. This technique is affordable and safe with no immune reactions. Above all this surgical method should be considered as an option for patients who are concerned about the contour of the face after surgery.

하악과두골절 수술 후 발생한 Frey Syndrome (Frey Syndrome after Retromandibular Approach for Condyle Fracture Reduction)

  • 이재민;기은정;천해명;최문기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5권6호
    • /
    • pp.376-380
    • /
    • 2013
  • Frey syndrome is a disease characterized by abnormal sweating, facial redness, and rare pain by stimulation of taste sense on the limited area dominated by the auriculotemporal nerve and great auricular nerve. Although the developmental mechanism and histopathologic cause of Frey syndrome are still being debated, the most reliable theory is based on injury of the parathympathetic nerve connected to the auriculotemporal nerve continuing to abnormal regeneration. The other theory is that the sweat glands develop an increased sensitivity after degeneration of sympathetic fibers. Therapy of Frey syndrome includes drugs, radiographic treatment, and surgical treatment; however, in most cases, treatment is not satisfactory. This is a case report on a 24-year-old male patient with Frey syndrome caused by the fracture reduction with retromandibular approach after multiple facial traumas and spontaneous healing without any special treatment.

수부 다한증에서 흉부 3번 교감신경 차단 수술의 효과 (Thoracoscopic T-3 Sympathicotomy for Palmar Hyperhidrosis)

  • 김광택;김일현;이송암;백만종;선경;김형묵;이인성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8호
    • /
    • pp.739-744
    • /
    • 1999
  • 배경: 본 임상연구는 수부 다한증 환자에서 흉부 3번 교감신경 차단 후 효과를 관찰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6월에서 동년 12월까지 수부 다한증을 호소한 50명(여자: 24, 남자: 26)의 환자에서 흉부 3번 교감신 경 차단 수술을 시행하였다. 환자중 수부 다한증만을 호소한 경우가 37명이었으며, 액와부 다한증이 동반된 경우가 13명이었다. 환자의 평균연령은 20세였다. 수술방법은 전기 소작용 가위를 이용하여 양측의 흉부 교 감신경을 차단하였으며, 수부 다한증만을 호소한 경우는 3번 늑골(흉부 2번, 3번 교감신경절 사이)에서 차단 하였으며 액와부 다한증을 동반한 환자는 3번, 4번 늑골에서 교감신경을 차단하였다. 수술 후 다한증의 호전 정도 및 보상성 다한증의 정도와 만족도의 측정은 Linear analogue scale을 이용하여, 수부, 안면부, 체간, 족부 의 땀 분비정도는 무한증을 0로 과다 발한을 10으로 하였으며 만족도는 후회하는 경우 0로 매우 만족해하는 경우를 10으로하여 조사 후 측정하였다. 결과: 모든 환자에서 수술 후 수부 다한증은 호전되었다. 흉부 3번 교감신경 차단 후 수부의 땀 발생 정도의 평균 측정치는 $1.5\pm$0.8로 조사되었으며, 보상성 다한증은 39명 (78%)의 환자에서 발생하였고 평균측정치는 3.4$\pm$1.6이었다. 2명(4%)의 환자에서 미각성 다한증이 발생하였 으며, 수술 후 만족도는 8.5$\pm$1.2였다. 결론: 수부 다한증에서 흉부 3번 교감신경 차단술 시행 후 증상이 호 전되었으며, 안면부 교감신경 기능의 보존과 보상성 다한증의 정도 및 미각성 다한증의 발생빈도가 낮아, 수부 다한증의 일차적 치료로 흉부 3번 교감신경 차단 술의 적용이 합당하다고 생각된다.

  • PDF

수장부 다한증에서 Clipping에 의한 흉부4번 교감신경절 상부 차단술과 흉부4번 교감신경절 완전 차단술에 대한 장기성적 비교 (Long Term Outcome of Endoscopically Clipping the Upper Part of R4 Sympathetic Block and R4 Sympathetic Block for the Treatment of Palmar Hyperhidrosis)

  • 최봉춘;김용한;사영조;박재길;이선희;심성보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0권11호
    • /
    • pp.752-758
    • /
    • 2007
  • 배경: 수장부다한증의 치료 후 손의 원활한 활동을 위해 적당한 보습성을 유지하고 보상성 다한증과 같은 합병증이 없는 경우에 보다 높은 만족도를 나타낼 것이다. 저자들은 수부다한증의 치료 후 보상성 다한증을 피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두부족으로 영향을 미치는 교감신경의 보존을 위해 제4번 흉부교감신경절 상부의 신경다발을 차단하는 시술을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흉부 제4번 교감신경절을 상하 완전 차단한 1군과 보다 간편하게 흉부 제4번 교감신경절 상부 차단술만 시행한 2군으로 분류하였고, 두 방법의 장기성적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술 후 만족도 등에 대한 전화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대상 환자는 71명(남자 45명, 여자 26명)이며, 1군은 31명(평균 연령 25.5세), 2군은 40명(평균 연령 25.9세)이었고 추적 조사기간은 1군이 수술 후 평균 24.9개월, 2군은 18.9개월이었다. 결과: 수술 후 수술부위에 땀이 나는 정도는 1군에서 전혀 나지 않는다(41.9%), 환경에 따라 약간 난다(48.4%)에 비해 2군은 각각 60.0%, 35.0%였다. 수술 후 땀이 나기 시작한 경우는 1군이 58.1%, 2군이 40.0%였고, 수술 후 손의 건조한 정도는 별다른 불편이 없다고 한 경우가 1군에서 높았고 손크림을 바를 정도라고 응답한 경우는 2군에서 높았다. 보상성 다한증의 발생은 없거나 생활에 불편하지 않은 경우가 각각 71.0% (1군), 62.5% (2군)로 응답하였고, 수술을 후회하는 경우는 1군이 1명, 2군이 2명 있었다. 보상성 다한증의 발생부위는 1군이 등, 허벅지, 가슴 순이었고 2군은 등, 가슴, 배 순이었다. 미각성 다한증은 1군에서 몹시 불편하거나(25.8%), 약간 생겼지만 불편하지는 않다(45.2%)고 한 반면, 2군은 몹시 불편한 경우는 12.5%, 미각성 다한증이 생기지 않은 경우가 45%였다. 수술 후 얼굴에 나는 땀의 정도는 양 군 대다수가 불편이 없다고 응답하였다. 수술 후 만족도는 1군과 2군 대부분이 치료에 만족하였다. 결론: 흉부 제4번 교감신경절 완전 차단술과 상부 차단술은 수장부 다한증의 치료에 효과적이며, 보상성 다한증의 발생을 줄이고 증세를 완화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흉부 제4 번 교감신경절 상부 차단술은 수술이 쉽고 안전하며 미각성 다한증의 발생이 저하되고, 수술 후 환자의 만족도가 높았다.

다한증의 흉강경을 이용한 교감신경절 절제술 (Videothoracoscopic Sympathectomy in Hyperhidrosis)

  • 이재영;김명천;조규석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3호
    • /
    • pp.279-285
    • /
    • 1998
  • 손과 발에 정상 이상의 많은 땀이 나는 것은 정신적으로나 직업적으로 난처하고 때로는 무력한 상태를 만든다. 다한증은 자율신경계의 흔한 질병중 하나이다. 다한증은 특별한 치료법이 없었으며 따라서 액와 또는 경부 쪽에서 접근하는 절제술이 있었다. 최근에는 흉강경을 이용한 흉부수술(VATS)이 수장부와 액와부의 다한증에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경희의료원에서는 1996년 3월부터 1997년 3월까지 양쪽 수장부에 다한증이 있는 15명의 환자를 양측 흉부 교감신경 절제술 (T2, T3, T4)을 시행하였고, 수술 전후로 컴퓨터 적외선 전신 체열 측정 (DITI)을 하였다. 이들 모두 개흉술로의 전환은 없었다. 3건의 술후 합병증으로 폐부종 1건, Horner씨 증후군 1건, 미각 다한증 1례가 있었다. 반 이상의 환\ulcorner에서 하복부, 둔부,배부, 대퇴부에 보상성 다한증이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대부분의 환자는 수장부와 액와부에 땀이 나지 않고, 통증이 적고, 미용상 더 낫고, 족저부와 안면부에도 땀이 줄어 흉강경 수술 후의 결과에 대해 만족하였다. 또한 수술중에 수장부 온도를 측정함으로써 흉강경 교감신경 절제술의 성공 여부를 평가할 수 있었으며, 컴퓨터 적외선 체열 측정을 수술 전후로 시행함으로써 이 방법이 흉강경 교감신경 절제술의 성공적인 결과를 평가하는 객관적인 방법이 될 수 있었다고 사려된다.

  • PDF

Mixed Tumor in Deep Lobe and Versatility of Acellular Dermal Matrix

  • Byun, Jin Hwan;Lim, Jung Soo;Lee, Hye Kyung
    •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32-136
    • /
    • 2017
  • Frey's syndrome and infra-auricular depressed deformities are the ones of the most common complications that can occur after total parotidectomy. We report 1 case of pleomorphic adenoma occurred in the deep lobe that obtained good results from using acellular dermal matrix (ADM) after total parotidectomy. A 24-year-old man visited the hospital with oval shape mass in right mandibular angle which of 4 cm in size was found in the deep lobe of right parotid gland from Magnetic resonance imaging scanning and a pleomorphic adenoma was suspected. A total parotidectomy was performed while preserving the facial nerve. The material known as ADM were placed in the depressed part from where the mass was removed, and the site was sutured. The surgery site was healed well without any complications such as Frey's syndrome or infra-auricular depressed deformities. The pathological result was confirmed as pleomorphic adenoma. In addition to these advantages, it does not have little potential of deformation by the gravity after the surgery, and there is no restraint on circulation, which makes fabrication free and each deformation into various shapes can be described as another advantage of the reconstruction using the ADM.

수장부 다한증에서 제 2번 및 제 2,3번 흉부 교감신경절 차단술의 비교 (Comparison Between T2 and T2.3 Thoracic Sympathetic Block in Palmar Hyperhidrosis)

  • 성숙환;조광리;김영태;김주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10호
    • /
    • pp.999-1003
    • /
    • 1998
  • 연구배경 : 수장부 다한증에 대한 흉강경 교감신경절차단술은 즉각적으로 증상을 호전시키고 회복시킨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그러나 수장부 다한증에서의 차단해야할 교감신경절의 위치는 다소 모호한 것이 사실이었다 재료 및 방법 : 제 2 및 2.3 흉부 교감신경절차단의 효과를 비교하기위하여 본 서울대학교 흉부외과학 교실에서는 1994년 4월부터 1997년 7월까지 제 2흉부교감신경절차단술 혹은 제2.3 흉부교감신경절차단술을 시행받은 192명의 일차성 수장부 다한증환자를 대상으로 역향성 연구를 시행하였다. 두 그룹간의 결과를 비교하기위하여 환자의 술전,후 의무기록 및 외래관찰소견을 참조하였으며 전화질의를 통하여 두 군간의 술후 증상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두 군간의 성비및 연령에는 통계적 차이가 없었다. 1997년 4월이전에는 교감신경절제술(sympathectomy)을 시행하였으나 이후로는 교감신경절차단술(sympathicotomy)을 시행하고 있다. 결과 : 술후 모든환자에서 증상의 즉각적인 완화를 보였다. 평균 수술시간은 제 2 흉부 교감신경절차단군에서 61.3$\pm$22.5분으로 제2.3 교감신경절차단군의 82.7$\pm$24.8분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짧았다(p<0.01). 술후 호너증후군과 흉관삽관술과 같은 초기합병증의 빈도는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보상성 체간다한증, 식사시 발한, 환다한증과 같은 후기 합병증의 빈도에서도 두 군간의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 재발한 례는 제 2, 및 2.3 흉부 교감신경절차단군 모두에서 한 명도 없었다. 보상성 다한증의 위치는 두 군간의 차이를 보여 제 2 흉부 교감신경절차단군에서는 무릎위에서 겨드랑이 까지 발한의 증가를 보였으나 제 2.3 흉부 교감신경절 차단군에서는 무릎위에서 유두부위까지 발한의 증가를 보이는 소견을 보였다. 결론 : 결론적으로 일차성 수장부 다한증에서는 제 2 흉부 교감신경절 차단술만으로도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있다고 하겠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