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um

검색결과 1,470건 처리시간 0.031초

Effect of Gum-Chewing on Facial Appearance and Stomatognathic System

  • Kim, Joo-Hwan;Park, Hae-Seo;Kim, Moon-Young;Kim, Kyung-Wook
    • Journal of Korean Dental Science
    • /
    • 제7권1호
    • /
    • pp.16-24
    • /
    • 2014
  • Purpose: This study was planned to clarify a negative view of chewing gum due to the concern that continuous gum chewing might cause a change in the gonial angle and make the lower facial appearance look square. Materials and Methods: We had 25 adults (13 males and 12 females, with an average of 27.3 years) chew 6 g of gum (spearmint) evenly with both right and left posterior teeth for one hour per day for three months. We then measured their gonial angle, the inclination of occlusal plane, facial height, bone marrow density, and masticatory force before chewing, 1, 2, and 3 month after chewing to verify its significance statistically. Resul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gonial angle increased from $122.7^{\circ}$ to $123.3^{\circ}$ (P>0.05), and thus the jaws became slightly slimmer. There was no change in the occlusal plane inclination and facial height. Meanwhile bone marrow density in the mandibular angle and ascending ramus increased from $0.285g/cm^2$ to $0.290g/cm^2$ (P<0.05), and masticatory force also increased by 0.5 kg on the right side and 0.8 kg on the left side (P<0.05). Conclusion: Continuous chewing of gum gives an appropriate exercise effect to the stomatognathic system. As chewing gum has effect on increase bone marrow density without changing the mandibular angle and facial appearance the claim that jaw bone changes to a square jaw through chewing gum is regarded to be groundless.

여성 고령자를 대상으로 한 포도젤리의 겔화제에 따른 품질 특성 연구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Grape Jelly Made with Various Gelling Agents for Consumption by Elderly Women)

  • 최은정;이지은;오명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891-898
    • /
    • 200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grape jellies made with various gelling agents such as agar, $\kappa$-carrageenan, and gellan gum for consumption by elderly women. The concentrations of agar were 0.25, 0.35, and 0.45%, and those of the $\kappa$-carrageenan and gellan gum were 0.15, 0.3, and 0.4%, respectively. The color values, gelling temperatures, melting temperatures, break down rates, textural properties, and consumer acceptance of the grape jellies were measured. The average age of the subjects participating in the acceptance test was 82. The lightness of the grape jelly made with agar was the highest, and its redness was the lowest among the jellies. The gelling and melting temperatures for the grape jelly made with gellan gum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jellies, and the melting temperatures were 37, 43, and $47^{\circ}C$ based on 0.15, 0.3, and 0.4% gellan gum content, respectively. The break down rate of the grape jelly made with gellan gum was the lowest among the jelli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stability of the grape jelly made with gellan gum was superior among the jellies. The hardness, adhesiveness, and springiness of the grape jelly made with agar were lowest among the jellies, and the grape jellies made with agar(0.25% and 0.35%) and gellan gum(0.15% and 0.3%) had the highest consumer acceptance among the jellies. However, the gellan gum was deemed an inappropriate gelling agent with regard to the acceptability due to its sour and moldy taste as perceived by the participants.

Development of Ready-to-Eat Bulgogi Sauce with No Change of Sensory Properties after High-Dose Irradiation

  • Shin, Mee-Hye;Park, Jin-Gyu;Kim, Cheon-Jei;Lee, Ju-Woon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66-371
    • /
    • 2011
  • Viscosity is critically important for bulgogi sauce. However, exposure to irradiation may decrease the rheological properties of bulgogi sauc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effects of gamma irradiation (0-9 kGy) on viscosity, molecular weight, pH, reducing end level, and water solubility of xanthan gum, guar gum, and locust bean gum as thickening agents/stabilizers in bulgogi sauc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all samples changed (p<0.05) from 3965 to 0 cP (viscosity), from 6048 to 28 kDa (molecular weight), from 5.79 to 4.62 (pH), from 0.13 mg/mL to 1.72 mg/mL (reducing end level), and from 6% to 87% (water solubility) following gamma irradiation. Viscosity after irradiation was most stable (p<0.05) in xanthan gum (from 1249 to 92 cP) compared with guar gum (from 3965 to 0 cP) and locust bean gum (from 1631 to 0 cP). The sensory properties (texture and taste) of bulgogi sauce prepared with xanthan gum (1%, w/w) were highly maintained (about 7.0-5.0) after high-dose irradiation of up to 40 kG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xanthan gum can be effectively used as a thickening agent/stabilizer in bulgogi sauce, which had low viscosity after irradiation.

카본 블랙과 천연 고분자를 이용하여 제조한 금속 주조용 이형제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Mold Releasing Agent Obtained from Carbon Black Suspension in Natural Polymer Solution)

  • 이수;진석환;박정현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3-18
    • /
    • 2012
  • 금속 주조시 사용되는 탄소이형제를 카본블랙과 점증제 겸 알데하이드 화합물의 경화제로 사용될 수 있는 수용성 고분자인 잔탄검(X-gum),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MC)을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이 때 카본블랙의 안정한 분산을 위하여 0.25 wt%의 X-gum 또는 1.0 wt%의 CMC가 적당하였다. 1.0 wt% 보다 낮은 농도의 CMC를 사용했을 경우 카본블랙이 매우 쉽게 층분리되었다. 유리판에 대한 부착력은 경화제와, 구르탈알데하이드 및 사슬연장제인 올리고당의 양에 비례하였으며. X-gum으로 제조된 탄소 이형제는 CMC를 이용해 제조된 것보다 유리에 대한 부착력이 우수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실험의 최적 조건에서 제조된 탄소이형제는 친환경적으로 주조시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결정형 솔비톨의 형태 및 입자 크기가 무설탕 츄잉껌의 텍스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orphology and Granule Size of Crystalline D-Sorbitol on Texture of Sugar-Free Chewing Gum)

  • 김상용;오덕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987-991
    • /
    • 1997
  • 솔비톨의 형태와 입자크기가 무설탕 츄잉껌의 텍스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두 가지 형태인 치밀한 구조를 지닌 P-type과 듬성한 구조를 지닌 S-type의 솔비톨과 50 mesh와 100 mesh의 솔비톨을 사용하였다. 츄잉껌에 사용한 솔비톨 형태는 S-type이 P-type보다 더 유연하였고, 50 mesh의 솔비톨 보다 100 mesh가 더 유연하였다. 솔비톨의 강도는 S-type보다 P-type에서 컸으며 50 mesh보다 100 mesh에서 크게 나타났다. 이것은 덜 치밀한 구조를 지닌 솔비톨이 사용된 무설탕 츄잉껌이 높은 유연성과 낮은 강도를 보여 줌을 의미하고 입자의 크기가 작은 솔비톨을 사용할수록 무설탕 츄잉껌의 유연성과 강도가 증가됨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본 실험에서는 유연성이 높고 강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S-type의 솔비톨을 무설탕 츄잉껌의 원료로 선택하였다. 선택한 S-type 솔비톨이 함유된 무설탕 츄잉껌의 솔비톨의 입자크기에 따른 유연성과 강도를 측정한 결과 80 mesh 입자가 츄잉껌의 고체상 원료로 적합하였다. 80 mesh의 S-type 솔비톨이 함유된 무설탕 츄잉껌의 온도변화에 따른 유연성과 강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온도가 증가할수록 무설탕 츄잉껌의 유연성은 증가하였으나 강도는 감소하였다.

  • PDF

측정 불확도 표현 지침서(GUM)와 Monte-Carlo Simulation에 의한 불확도 전파 결과의 비교 연구 (A Study on Comparison between the Propagation of Uncertainty by GUM and Monte-Carlo Simulation)

  • 서정기;민형식;박민수;우진춘;김종상
    • 대한화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31-37
    • /
    • 2003
  • 측정 및 화학분석에 많이 이용되는 한 점 교정식에 대하여 측정 불확도 표기 지침서(GUM)의 근사법과 Monte-Carlo Simulation에 의해 계산된 각각의 확장불확도를 비교하였다. 이 비교를 위하여 임의의 자료들을 여러 농도 수준에서 정규 분포 또는 t-분포로 가정하여 계산하였다. 나눗셈에 의한 한 점 교정식의 비선형성과 t-분포 형식을 함에 따른 입력량의 과도한 퍼짐으로 인하여, 경우에 따라서, GUM의 근사법으로 계산된 불확도가 Monte-Carlo Simulation에 의해 계산된 것보다 약 50% 이상의 오류가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검출 하한을 계산하기 위하여 한 점 교정식을 이용하는 경우, 반응량의 표준불확도가 상대적으로 매우 크고 비선형성에 희한 계산 오류가 상대적으로 무시되므로 근사식에 따른 계산 오류가 발생하지 않았다.

향기 성분의 미세캡슐화를 위한 피복물질에 대한 연구 (A Study on Wall Materials for Flavor Encapsulation)

  • 조영희;신동석;박지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1563-1569
    • /
    • 1999
  • 본 연구는 분무건조를 이용한 향기성분의 미세캡슐화를 위해 maltodextrin(MD), gum arabic(GA),alkenylsuccinated modified starch(MS), gellan gum을 피복물질로 사용하여 배합비율을 최적화하는데 목표를 갖고 수행되었다. 핵물질은 특성이 다른 5종류의 향기성분을 채종유와 1 : 4의 비율로 혼합한 flavor model system으로 사용하였다. 예비실험을 통해 핵물질 : 피복물질의 비율을 1 : 4로 하였으며, MD함량은 30%로 고정하였다. GA : MS를 $2\;:\;8{\sim}8\;:\;2$의 비율로 제조하여 유화액에서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GA : MS = 4 : 6에서 유화안정성이 우수하였으며, flavor release가 가장 적었다 이 비율에 gellan gum을 $1{\sim}5%$ 첨가하여 실험한 결과, 4% 첨가한 것이 결과가 가장 우수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MD : GA : MS : gellan gum = 30 : 26.4 : 37.6 : 4의 배합비율이 분무건조를 이용한 향기성분의 미세캡슐화를 위한 피복물질의 최적 배합조건이었다.

  • PDF

Comparison of the rheological and diffusion properties of some gelling agents and blends and their effects on shoot multiplication

  • Dobranszki, Judit;Magyar-Tabori, Katalin;Tombacz, Etelka
    • Plant Biotechnology Reports
    • /
    • 제5권4호
    • /
    • pp.345-352
    • /
    • 2011
  • The rheological and diffusion properties of blends of agar/guar gum, agar/Phytagel and Phytagel/guar gum were analysed and compared to those properties of agar or Phytagel applied alone at two different gelling concentrations. Moreover, their effects on the shoot multiplication of the apple scion Galaxy and two black locust clones (SF63, SF82) were studied, and their cost benefits over agar were calculated. Elastic hydrogel formation was demonstrated for each blend by rheological measurements, but the gel strength depended on the types and concentrations of the applied gelling agents and blends. Guar gum was able to speed the diffusion in the different blends, and diffusion was independent of gel strength. The rate of shoot multiplication increased (to 8.9 shoots per explant) and the percent of hyperhydrated shoots decreased (to 12%) when the blend of agar/guar gum was used for the shoot multiplication of apple. Similarly, the highest multiplication rates of black locust clones (between 3.9 and 4.1) were obtained on media solidified by blends containing guar gum. The best shoot performance with the lowest percent of hyperhydrated shoots (11-12% in SF63 and 2-23% in SF82) was achieved using agar alone or the agar/guar gum blend. The shoot multiplication was improved of both species and the production cost was reduced by 42% by using the agar/guar gum blend.

GUM 표준안을 이용한 고정 측정 방식 ADCP의 유량 측정 불확도 평가 (Uncertainty Assessment of Stationary ADCP Discharge Measurement using Standardized GUM Framework)

  • 김동수;김종민;김서준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6년도 학술발표회
    • /
    • pp.102-102
    • /
    • 2016
  • 일반적으로 수자원분야에서 사용되는 기초 자료 중 하나인 유량측정 성과는 설계홍수량 산정, 지점의 수위-유량 관계곡선식 산정 등 유역의 이 치수를 위한 설계나 장 단기 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사용되어지고 있으며, 2차원 및 3차원 수치해석을 위한 입력 자료로 사용되고 있다. 유량측정의 성과는 이렇듯 다양한 방면으로 활용되어지고 있는 반면 현재 국내에서는 측정의 성과에 대한 신뢰성을 나타낼 수 있는 지표가 제시되고 있지 않은 상황이다.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및 BIPM, IFCC 등 6개 기구는 공동으로 측정 불확도 산정 지침서(GUM, Guide to the expression of Uncertainty in Measurement, 1993)을 제시하였고, 최근 WMO에서는 GUM 표준안을 하천 유량 측정 불확도 산정방법으로 공인하고 있다(JCGM 100, 2008).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최근 유량 측정에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는 ADCP의 유량 측정 성과에 대한 불확도를 GUM 표준안 기반으로 평가하고자 한다. ADCP의 측정 방법은 고정측정 방식이고, 유속-면적법으로 계산된 유량에 대한 측정 불확도를 평가하였다. 실험은 실규모에서 유량을 제어할 수 있는 건설기술연구원 하천실험센터에서 수행되었고, 사용된 유속 측정 장비는 SonTek사의 micro-ADV와 ADCP M9을 사용하였으며, ADV로 측정된 결과를 참값으로 가정한 후 실험 및 분석을 수행하였다. GUM 표준안 기반의 불확도 평가를 위해 사용된 관계식 및 불확도 요인들은 선행 연구들을 기반으로 하되, 본 실험을 통해 분석된 수치로 변경하여 최종적인 ADCP 유량 산정 불확도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고정측정 방식 ADCP의 유량 측정 결과를 GUM 표준안에 적용하여 불확도를 평가하였으며, 추가적인 연구를 진행하여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이동측정 방식 ADCP의 유량 측정 결과에 대한 불확도를 평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이러한 결과는 설계 홍수량 산정이나 수위-유량 관계 곡선식 산정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활성글루텐, 검, 유화제 및 효소제의 복합첨가에 따른 쌀빵의 품질특성 (Combined Effects of Vital Gluten, Gum, Emulsifier, and Enzyme on the Properties of Rice Bread)

  • 김경은;이영택
    • 산업식품공학
    • /
    • 제13권4호
    • /
    • pp.320-325
    • /
    • 2009
  • 활성글루텐을 첨가한 쌀가루에 검의 첨가가 쌀가루의 신속점도측정기(RVA) 호화양상과 farinograph 반죽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검의 첨가에 의해 쌀가루의 RVA 최고점도는 증가한 반면 setback은 약간 감소함을 나타내었다. 활성글루텐을 첨가한 쌀가루에 검의 첨가는 farinograph 수분흡수율을 증가시키고 반죽의 안정도를 증가시켜 반죽을 강하게 하는 효과를 부여하였다. 쌀가루에 활성글루텐을 14% 첨가하고 검, 유화제 및 효소제를 복합처리하여 쌀빵을 제조한 후 쌀빵의 부피와 저장 중 경도변화를 조사하였다. 쌀가루에 첨가하는 활성글루텐의 양이 감소함에 따라 쌀빵의 부피가 감소하였지만 검, 유화제 및 효소제를 복합첨가 함으로써 쌀빵의 부피를 현저히 개선시킬 수 있었다. 활성글루텐만을 첨가한 쌀빵은 저장 중에 경도가 급격히 상승하였으나 검, 유화제 및 효소제를 복합첨가하여 제조한 쌀빵은 저장 중에 경도의 증가 폭이 현저하게 감소함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적절한 검, 유화제, 효소제의 복합처리는 쌀빵의 부피와 경도 변화 등 쌀빵의 품질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평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