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groyne spacing

Search Result 6,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An Experimental Study on a Characteristics of Flow around Groynes for Groyne Spacing (수제 설치간격에 따른 수제주변 흐름특성에 관한 실험 연구)

  • Kang, Joon Gu;Yeo, Hong Koo;Roh, Young Si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6 no.3B
    • /
    • pp.271-278
    • /
    • 2006
  • In design of groyne series, groyne spacing is a important factor and have an effect on not only the characteristics of backward and recirculation flow in groyne zone but also flow field in main channel. It is necessary study about flow pattern of recirculation zone and main channel that is a cause of bad change, local scour and bank erosion by groyne spacing. In this study, flow variation of groyne zone and main chanel for spacing of groynes were analyzed from the experiment results in order to offer a fundamental data that can be used to decide the proper groyne spacing. Experiments were conducted 12 cases for groyne spacing(L) by groyne length(l) rate and the velocity profile was measured using LSPIV and ADV. From the results, two vortex flows developed in recirculation zone for L/l=3~9 and three vortex flows developed over L/l=10. The velocity of backward flow in recirculation zone was decreased up to 20% over L/l=4. The velocity of main channel flow was increased from 1.3 to 2.0 times by groyne spacing and the rate of velocity increased by increasing groyne spacing. The maximum velocity occurred in 0.7~0.8 times of groyne spacing downstream of upper groyne.

An experimental study on vortex formation in groyne fields according to groyne spacing and installed angles (수제간격과 설치각에 따른 수제역내 와형성에 대한 실험 연구)

  • Kang, Joongu;Kim, Sungjoo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1 no.1
    • /
    • pp.35-48
    • /
    • 2018
  • Groynes are installed generally to protect the riverside or the river bank from the erosion caused by water flows by controlling the flow direction and velocity in rivers. In the past, groynes were used to secure enough depth of water in canals. As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river restoration and the natural river maintenance since 2000, groynes are proposed as a major environmental hydraulic structure because the flow control and various river bed conditions around the groyne can contribute to habitat functions. Groynes are typically installed in a series. In designing groyne series, groyne spacing is an important factor because the flow changes in the main canal and the flow inside the groyne area occurs variably depending on the groyne spacing. This study provide information to determine the groyne spacing suitable for the purpose of the groyne by examining the flows that variably changes according to the groyne spacing and angle in the recirculation zone of the groyne field. In particular, the formation of vortex, the location of vortex core and the water flow near the river bank, all of which occur in the recirculation zone inside the groyne area, were mainly analyzed to examine the flow characteristics near the river bank that influences the safety of the river bank area.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will serve as important basic data to examine changes in the river bed inside the groyne area as well as the safety of river banks following the installation of groyne series.

An Experimental Study on Flow Characteristics for Optimal Spacing Suggestion of 45° Upward Groynes (45° 상향수제의 적정 간격 제시를 위한 흐름특성 실험 연구)

  • Kim, Sung Joong;Kang, Joon Gu;Yeo, Hong Koo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7 no.5
    • /
    • pp.459-468
    • /
    • 2014
  • Groyne to control the direction and velocity of flow in rivers is generally installed for the purpose of protecting riverbanks or embankments from erosion caused by running water. In particular, as interest in river restoration and natural river improvement increases, groynes are proposed as a key hydraulic structure for local flow control and riparian habitat establishment. Groynes are installed mainly in groups rather than as individual structures. In case of groynes installed as a group, flow around the groynes change according to spacing in between the groynes. Therefore, groyne spacing is regard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groyne design. This study aimed at examining changes of flows around and within the area of groynes that take place according to the spacing of groynes installed in order to propose the optimal spacing for upward groynes. To examine flow characteristics around groynes, this study looked at flows in main flow area and recirculation flow area separately. In main flow area, it examined the impact of flow velocity increasing as a result of conveyance reduction that is exerted on river bed stability in relation to changes in the maximum flow velocity according to installation spacing. As a factor causing impacts on scouring and sedimentation within the area of groynes, recirculation flow in the groyne area can lead problems concerning flow within the area and stability of embankment. As for recirculation area, an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scale of rotational flow and the flow around embankment that exerts impacts on stability of the embankment. In addition, a comparative analysis was carried with reference to changes of the central point of rotational flow that occur within the area of groynes. As a result of compositely examining the results, the appropriate installation spacing is proposed as min. four times-max. six times considering a decrease in flow velocity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of upward groynes, river bed stability and stability of embankments against counterflow within the area of groynes.

Experimental Study on Bed Change Around Downward Vertical Groyne with Installed Spacing (설치간격에 따른 하향수제 하상변동에 관한 실험연구)

  • Yeo, Hong-Koo;Kang, Joon-Gu;Kim, Sung-Jung;Yoon, Byeong-M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43-347
    • /
    • 2011
  • 하천 내 설치하는 수제는 제방보호 및 유로변경의 목적으로 하천내 시공되는 구조물 중의 하나로서 하천복원과정에 있어 필수불가결한 구조물 중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수제는 대개 하나 이상의 일련의 군집형태로 수로 자체의 특성을 고려하여 설치가 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제의 무분별한 설치는 주변 경관을 저해하는 요소로 나타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에 따른 비용에 적지 않은 부담을 야기 시키기 충분하다.본 실험에서는 하향수제($\theta=135^{\circ}$)를 대상으로 수제간격에 대한 이동상 실험을 수행하여 수제주변 및 수제역 내에서 발생하는 하상변동특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실험은 폭 1.2m, 길이 50m, 높이 1.5m 인 직선수로에서 수로폭의 15%길이를 갖는 하향수제($\theta=135^{\circ}$) 2개를 대상으로 각각 수제길이의 2~ 8배의 간격 조절을 통해 하상변동실험을 수행 하였다. 실험용입자는 중간입경($d_{50}$)이 0.15mm 인 모래를 사용하였으며 6시간 동안 통수하였다. 실험 결과 수제의 간격이 4배 미만으로 설치되었을 때 전면부 수제에서 발생하는 세굴의 영향이 후면부 수제 설치지점에 연장되어 나타나는 것이 확인 되었으며 수제간격이 7배 일 경우 전면부 수제에서 발생하는 최대세굴과 같은 세굴심이 관측되었다. 또한 수제간격이 4배이상으로 설치될 경우 후면부 수제에서 독립적인 세굴이 발생하고 있었는데 이는 직각수제 세굴과 동일한 현상으로 나타났다.

  • PDF

Experimental Study on Bed Change Around Vertical Groyne with Installed Spacing (설치간격에 따른 연직수제주변 하상변동에 관한 실험연구)

  • Yeo, Hong-Koo;Kang, Joon-Gu;Kim, Sung-Jung;Yoon, Byeong-M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745-1749
    • /
    • 2010
  • 하천 내 설치하는 수제는 제방보호 및 유로변경의 목적으로 하천내 시공되는 구조물 중의 하나로서 하천복원과정에 있어 필수불가결한 구조물 중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수제는 대개 하나 이상의 일련의 군집형태로 수로 자체의 특성을 고려하여 설치가 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제의 무분별한 설치는 주변 경관을 저해하는 요소로 나타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에 따른 비용에 적지 않은 부담을 야기 시키기 충분하다. 그러나 적절한 간격 조절을 통해 생태, 호안보호, 경관 등의 수제의 기능을 만족한다면 이보다 더 효율적인 것을 없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제간격에 따른 하상변동 실험을 통해 효율적인 배치간격을 제시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실험은 폭 1.2m, 길이 50m, 높이 1.5m 인 직선수로에서 수로폭의 15%길이를 갖는 연직수제를 2개를 대상으로 각각 수제길이의 2~8배의 간격 조절을 통해 하상변동실험을 수행 하였다. 실험용입자는 중간입경($d_{50}$)이 0.15mm 인 모래를 사용하였으며 6시간 동안 통수하였다. 실험결과 유수에 의해 첫 번째 설치된 수제에서 지배적으로 많은 영향을 받게 되면서 후면부에 설치된 수제는 비교적 영향을 덜 받고 있었다. 그러나 그 영향권을 점차 벗어나게 되면서 수제 간격이 4배 이상일 경우 후면부 수제에서도 세굴이 발생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자료는 추후 수제설치에 따른 효율적인 배치 간격 결정에 중요한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수제들이 시공되는 대다수의 하천들은 어느 정도의 만곡도를 갖고 있기 때문에 이를 간과해서는 않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Experimental Study on Bed Change Around Upward Vertical Groyne with Installed Spacing (설치간격에 따른 상향수제 하상변동에 관한 실험연구)

  • Yeo, Hong-Koo;Kang, Joon-Gu;Kim, Sung-Jung;Yoon, Byeong-M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644-648
    • /
    • 2012
  • 하천 내 설치하는 수제는 제방보호 및 유로변경의 목적으로 하천내 시공되는 구조물 중의 하나로서 하천복원과정에 있어 필수불가결한 구조물 중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수제는 대개 하나 이상의 일련의 군집형태로 수로 자체의 특성을 고려하여 설치가 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제의 무분별한 설치는 주변 경관을 저해하거나 시공에 따른 비용 부담을 가중시키기 충분하다. 치수적 목적 이외에 경제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실험을 통해 수제의 적절한 간격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수제간격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직 및 하향군수제 하상변동실험과 동일한 조건으로 상향수제($\theta=45^{\circ}$)를 대상으로 수제간격에 대한 이동상 실험을 수행 하여 수제주변 및 수제역 내에서 발생하는 하상변동특성을 검토하였으며, 기존자료와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흐름집중 증가로 인해 국부세굴이 크게 발생하고 있으며 세굴폭은 수제길이의 3배 지점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퇴적고는 설치간격이 증가할수록 높게 형성되고 있었다. 연직 및 하향수제자료와 비교한 결과 상향수제는 수제끝단부에서 발생하는 국부적인 세굴에는 불리하나 수제역내 퇴적에는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