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owth stage

검색결과 4,402건 처리시간 0.036초

작약의 종(種), 부위 및 생육시기에 따른 성분 함량의 변화 (Change of Medicinal Components by Different Species, Plant Parts and Growth Stage of Paeonia spp.)

  • 김세종;박준홍;김길웅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215-219
    • /
    • 2006
  • 작약의 이용성을 높이기 위해 작약의 종 및 품종, 생육시기, 식물체 부위별 성분의 함량 분포와 변화를 HPLC를 이 용하여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작약의 종 및 품종간 성분의 함량 분포는 야생작약(P. japonica M., P. obovata M., P. anomala L.) 보다는 재배작약(태백작약, 의성작약)에서 전반적으로 함량이 더 높았고, 성분별 분포는 paeonifloin, methyl gallate, astragalin, kaempferol 순으로 높았으며 methyl gallate 는 의성작약에서 0.45%로 가장 높았다. 식물체 부위별 함량 분포는 methyl gallate는 꽃잎에서 1.79%로 가장 높았으며 잎에는 0.56% 함유하였고, 뿌리에는 0.01%로서 소량 분포하였다. Astragalin 은 꽃잎과 잎에서 높았고, 작약의 지표 성분인 paeoniflorin 은 뿌리에서 2.52%로 가장 높았으며 잎에도 1.09%나 함유하여 이용 가치가 매우 높다고 사료된다. 생육시기별 함량 분포는 생육초기인 4월에 가장 높았고 생육 후기로 갈수록 감소하는 경향이므로 잎과 줄기를 이용하려면 뿌리 수확직전인 $8{\sim}9$월이 적기라고 생각된다.

6차산업 경영체 성장단계별 핵심경영요소 탐색 (Exploring the Management Component of Rural Small Business in the 6th Industry at Each Stage of Growth)

  • 김정태
    • 벤처창업연구
    • /
    • 제12권6호
    • /
    • pp.123-138
    • /
    • 2017
  • 본 연구는 6차산업 경영체의 성장단계별 유형특징을 살펴보고, 각 단계별 경영전략의 핵심요소를 찾는데 목적을 두었다. 2015년 6차산업으로 인증된 752개 경영체 자료를 의사결정나무구조 분석의 CART 알고리즘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6차산업 유형결정에 초기 성장단계에서는 농산물가공유형, 성장기에는 농산물가공유형, 서비스유형, 지역, 매출액이 작용하고, 성숙기에는 서비스전략, 농산물가공유형이 작용하였다. 이 같은 결과는 6차산업 경영체의 성장단계별 지원될 핵심적 경영요소를 실증적으로 규명하여, 6차산업 지원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 PDF

성장온도에 따른 Cu(In1Ga)Se2박막 태양전지의 광전특성 분석 (Photovoltaic Properties of Cu(In1Ga)Se2Thin film Solar Cells Depending on Growth Temperature)

  • 김석기;이정철;강기환;윤경훈;송진수;박이준;한상옥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102-107
    • /
    • 2003
  • This study puts focus on the optimization of growth temperature of CIGS absorber layer which affects severely the performance of solar cells. The CIGS absorber layers were prepared by three-stage co-evaporation of metal elements in the order of In-Ga-Se. The effect of the growth temperature of 1st stage was found not to be so important, and 350$^{\circ}C$ to be the lowest optimum temperature. In the case of growth temperature at 2nd/3rd stage, the optimum temperature was revealed to be 550$^{\circ}C$. The XRD results of CIGS films showed a strong (112) preferred orientation and the Raman spectra of CIGS films showed only the Al mode peak at 173cm$\^$-1/.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results revealed very small grains at 2nd/3rd stage growth temperature of 480$^{\circ}C$. At higher temperatures, the grain size increased together with a reduction in the number of the voids. The optimization of experimental parameters above mentioned, through the repeated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unit layers and devices, led to the highest conversion efficiency of 15.4% from CIGS-based thin film solar cell with a structure of Al/ZnO/CdS/CIGS/Mo/glass.

Response of Soybean Growth to Elevated $CO_{2}$ Conditions

  • Kim Young-Guk;Lee Jae-Eun;Kim Sok-Dong;Shin Jin-Chul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303-309
    • /
    • 2006
  • The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CO_2$ enrichment on growth of soybean (Glycine max). Two soybean varieties were used, Taekwang and Cheongja. The plants were grown in growth chambers with a 12-h photoperiod and a day/night temperature of $28/21^{\circ}C$ at the seedling stage and $30/23^{\circ}C$ from the flowering stage. The plants were exposed to the two elevated $CO_2$ levels of 500 and 700 ppm and the ambient level of 350 ppm. Results of the experiment showed that at the second-node trifoliate stage of the two varieties, the elevated $CO_2$ increased plant height, leaf area and dry weight. The elevated $CO_2$ also raised the photosynthetic rate of soybean as compared to the ambient level. From the beginning bloom stage to the full maturity stage of the two varieties, the elevated $CO_2$ increased plant height, leaf area, seed weight and photosynthetic rate. The stomatal conductance and transpiration rate decreased on long days relative to short days of treatment. Through the entire stages, the elevated $CO_2$ increased the water use efficiency of soybean plants because stomatal conductance and transpiration rate decreased at the elevated $CO_2$ levels relative to the ambient level.

편의점 창업 성장단계에 따른 성공요인 적용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Success Factors According to the Growth Stage of Convenience Store Startup)

  • 권용석
    • 벤처창업연구
    • /
    • 제15권5호
    • /
    • pp.261-276
    • /
    • 2020
  • 본 연구는 성공 소상공인 창업자의 창업 이전 단계부터 성장단계까지 단계별 성공요인을 파악하여 창업 초기 인지한 성공요인과 성공 후 인지한 성공요인을 통해 효과적인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성공한 편의점 가맹점주를 대상으로 창업 준비단계부터 초기, 성장단계에 따라 성공요인을 도출하기 위해 전기적 인터뷰를 통한 질적연구를 진행하였다. 소상공인 창업의 성공요인은 창업기업 성과(performance)에 대한 연구에서 적용하는 ERI모델과 ERIS모델을 활용하여 프랜차이즈 편의점 창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연구했으며, 성장단계에 따른 성공요인을 도출하기 위해 프랜차이즈 성장단계를 반영한 Sasser et al.(1978)의 다점포 외식기업 수명주기(The multisite service firm life cycle)를 활용하여 성공요인을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성공한 가맹점의 핵심 요인은 첫 점포 입지선정, 전략적 추가 점포 입지선정, 성공적인 재계약으로 나타났다. 창업자의 특성에 따라서는 진취적 성향의 가맹점주는 전략적 추가 점포 입지선정, 상권방어 등에 적극적인 자세를 취하였고, 상대적으로 보수적인 가맹점주는 관리적 측면에서 점포운영, 재계약 등에 적극적인 자세로 경영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특히 창업 준비단계에서는 창업가 마인드가 중요하며, 창업 전주기에서는 창업자의 경영전략의 중요성이 발견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성장단계에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창업 방안을 구체적으로 모색하였다.

Topping Effect on Growth and Yield of Soybean Growth in Paddy Field

  • Cho, Jin-Woong;Park, Moon-Soo;Lee, Jung-Joon;Lee, Mi-Ja;Jung D. So;Kim, Tae-Soo;Lee, Sang-Bok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96-102
    • /
    • 200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wo plant populations (28 and 14 plants per $m^2$) and two toppings in conventional plant population (28 plants per $m^2$) on soybean (Glycine max L. cv. Pungsannamulkong) cultivated in the paddy field. The two topping time were taken at 6$^{th}$ to 7$^{th}$ and 8$^{th}$ to 9$^{th}$ trifoliolate leaf stages in the conventional plant population. Experimental design for growth data was a randomized complete block with three replications, and samples were taken at R1 (July 31), R3 (August 19), R5 (September 2) and R7 (September 23) growth stages. The branch number of soybean was relatively higher in the low plant population (14 plants per $m^2$) and with the topping at the 6$^{th}$ to 7$^{th}$ leaf stage, in the conventional plant population (28 plants per $m^2$), and with topping at the 8$^{th}$ to 9$^{th}$ trifoliolate leaf stage in descending order. The highest average branch length of soybean was observed in the low population and the longest branch length was observed from the soybean with topping at the 6$^{th}$ to 7$^{th}$ leaf stage. The leaf number per plant was decreased in order of in the low population, with the topping at 6$^{th}$ to 7$^{th}$ trifoliolate leaf stage, with the topping at 8$^{th}$ to 9$^{th}$ trifoliolate leaf stage, and in the conventional population. The leaf area was high in the low population and with topping at 6$^{th}$ to 7$^{th}$ trifoliolate leaf stage and was relatively low in the conventional population and with the topping at 8$^{th}$ to 9$^{th}$ trifoliolate leaf stage in soybean. The dry weight of leaves and branches was high in the low population and with the topping at 6$^{th}$ to 7$^{th}$ trifoliolate leaf stage and was relatively low in the conventional population and with topping at 8$^{th}$ to 9$^{th}$ trifoliolate leaf stage. The leaf number per plant was high in the low population and with topping at 6$^{th}$ to 7$^{th}$ trifoliolate leaf stage and was relatively low in the conventional population and with topping at 8$^{th}$ to 9$^{th}$ trifoliolate leaf stage. The grain yield per 10a was high with the topping at 6$^{th}$ to 7$^{th}$ trifoliolate leaf stage.

일단 연속 생물반응기의 과도상태 거동을 이용한 이단 연속 생물반응기의 해석 (Analysis of two-stage Continuous Culture System by Transient Response of Single-stage Continuous Culture System)

  • 박성훈;공인수
    • KSBB Journal
    • /
    • 제7권4호
    • /
    • pp.308-316
    • /
    • 1992
  • 유전자 재조합 균주의 성질이 불안정할 경우,2 단 연속 배양조를 사용하면 여러가지 이점이 있다. 본 논문은 2단 연속 배양조의 최적화를 목적으로 유전자 재조합 대장균의 과도상태 거동을 1단 및 2단 연속 배양조에서 연구한 결과를 다룬다. 희석율이 갑자기 변할 때 대장균은 새로운 희석율에 적응하기 위해 성장속도를 바꾸는데 적응 속도가 성장 잠재력에 비례한다는 가정아래 수학적 이론식을 도출하였으며, 이때 중요한 동력학적 변수는 무차원의 순간속도 증가(a) 빛 적응속도 상수(k)이었다. 이 상수들을 여러 온도와 희석 속도에서 실험적으로 측정하였고, 이 측정값을 모렐식에 적용한 결과 실제 2단 배양조의 미생물 성장속도의 과도기적인 성질을 잘 묘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벼 관수에 따른 생육단계별 피해 및 고위절 분얼 이삭에 의한 수량보상력 (Flooding Injury of Rice Plant according to Growing Stages and Yield Compensating Ability by Uppernode Tillering)

  • 강양순;양의석;이성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95-200
    • /
    • 1988
  • 벼를 보통기에 동일하게 이앙하여 추앙후 20일, 유전형성기, 감수분열기 및 출수기의 생육시기별로 포장상태에서 3일간씩 관수처리한 경우와 품종, 이앙기 및 재배조건이 다양한 농가포장에서 태풍 'Thelma 호'('87년 7월 16~18일)에 의해 3일간 관수된 경우에 생육단계별 피해상태와 피해주의 고립분얼이삭의 발생에 의한 수량 보상력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보통기 이앙된 벼의 생육시기별 관수처리에서는 생육이 진전될수록 관수된 수온이 높아져 피해가 컸으나 고온기에 여러 생육단계를 갖는 농가포장이 일시에 관수되면 어린 생육단계일수록 피해가 컸다. 2. 생식생장 관수 피해수의 수량보상은 고립절분얼이삭에 의존하였고 고립절분얼이삭이 9월 15일 출수되어 등숙적산온도가 69$0^{\circ}C$, 등숙일조시간이 210시간이 확보되었을 때 쌀 230kg/10a을 보상하였다.0a을 보상하였다.

  • PDF

HFCVD 방법을 이용한 다이아몬드 박막 증착에서의 Bias 효과 (Bias effect for diamond films deposited by HFCVD method)

  • 권민철;박홍준;최병구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94-103
    • /
    • 1998
  • HFCVD(Hot Filament Chemical Vapor Deposition)방법을 이용한 다이아몬드의 핵 생성과 성장에 있어서, 인가한 직류 bias를 변수로 하여 핵생성 밀도와 증착율의 변화를 조 사하였다. 반응압력 20torr, 메탄농도 1.0%, Filament 온도 $2100^{\circ}C$ 그리고 Substrate 온도 $980^{\circ}C$에서 증착 단계를 핵생성기와 성장기로 구분하고 각 단계마다 bias의 방향과 크기를 다르게 인가하면서 다이아몬드 박막을 증착시켰다. Negative bias는 핵생성기에는 핵생성을 촉진시키지만 성장기에도 계속 인가하면 결정입자의 지속적인 성장을 방해하고 결정 구조를 비다이아몬드 성분으로 변화시키는 작용을 하여 박막의 morphology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 었다. Positive bias는 핵생성기와 성장기에서 모두 $CH_4$의 분해를 촉진시킨 결과 증착율의 향상을 가져왔다. 따라서 다이아몬드 박막의 증착시 핵생성기에서는 negative bias를 인가하 고 성장기에는 positive bias를 인가하는 것이 핵생성 밀도와 증착율의 향상에 효과적인 것 으로 조사되었다.

  • PDF

국내 육성 콩 품종의 논 재배에 따른 생육반응과 수량성 (Growth and Yields of Korean Soybean Cultivars in Drained-Paddy Field)

  • 김용욱;조준형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161-169
    • /
    • 2005
  • 논 재배에 적합한 콩 품종을 선발코자 황금 콩 등 국내 육성 37개 콩 품종을 공시하여 품종간 생육반응과 수량성의 차이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토양수분함량이 높은 논에서의 콩 재배 시 생육단계별 콩 품종별 주요형질의 생육반응은 매우 다양한데, 특징적인 생육반응은 초기생육이 지연되거나 지하부의 발달이 늦은 반면 지상부가 과번무하여 T/R율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으며, 품종간 수량성에 있어서도 팔도콩이 134kg/10a 그리고 도레미콩이385kg/10a 차이가 매우 컸다. 2. 생육초기인 V5 stage와 개화성기인 R2 stage의 엽면적은 지상부 및 지하부 건물중과 각각 고도의 상관관계 $(r=0.46^{**}\~0.91^{**})$를 보였으며, T/R율의 경우 V5 stage에는 지하부 건물중과 부의 상관관계$(r=-0.37^*)$를 보인 반면 R2 stage에는 엽면적$(r=0.46^{**})$과 지상부 건물중$(r=0.65^{**})$과 유의성 있는 상관 관계가 성립되었다. 3. 수량성은 100립중과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등숙율 포함한 V5 및 R2 stage에서 조사된 다른 형질과는 유의성 있는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4.농업적 주요형질의 생육반응을 기초로 군집분석 한 결과 공시품종들은 크게 3개 군으로 구분되는데,동일 군의 품종들은 생육습성 등 유전적 유사성은 높았으나 수량성은 다양하였다. 5. Group 1에는 새올콩등 9품종이 포함되는데, 생육초기부터 개화성기까지의 생육이 늦은 반면, T/R율이 낮고 등숙이 양호하여 평균 257kg/10a의 수량성을 보인다. Croup 2는 팔도콩 등 12품종이 포함되는데, 지상부의 생육이 과번무하여 T/R율이 높고 등숙이 불량하여, 평균 230kg/10a의 수량성을 보였다. Croup 3에는 진품 콩 등 16품종이 포함되는데, 대부분 중만생종이며, $V5\~R2$ stage의 생육이 왕성하고 T/R율은 비교적 낮고, 등숙울 또한 비교적 높아 평균 수량성이 270kg/10a로 가장 높았다. 6.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Group 3에 속하는 품종 또는 $301\~385kg/10a$의 높은 수량성을 보이는 신팔달콩2호, 소호콩, 도레미콩, 금강콩, 부광콩, 다장콩 및 검정콩2호 등의 품종을 선별하여 재배한다면 논의 적정 경지면적 유지에 의한 국내 쌀 수급안정 및 안정적인 콩 자급율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