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owth regulators

검색결과 789건 처리시간 0.032초

식물(植物) 생장(生長) 조절제(調節劑)가 벼 도복(倒伏)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Plant Growth Regulators on Lodging in Rice)

  • 이상철;에스 케이 디다타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87-99
    • /
    • 1991
  • 생장조절제(生長調節劑)인 Hoe78784와 PP-333의 처리(處理)는 공시(公試)된 모든 품종(品種)에 있어서 도복(倒伏)이 현저하게 감소(減少)하는 현상을 보였으나, 수잉기(穗孕期)때 이들 처리(處理)는 초장(草長)의 감소(減少)를 제외하고는 영양생장기관(營養生長器官)과 수량구성요소(數量構成要素)에는 크게 영향(影響)을 미치지는 않았다. Hoe78784와 PP-333의 처리(處理)는 도복(倒伏)의 감소로 인(因)한 IR21820-154-3-2-2-3의 수량(數量) 증대(增大)를 가져왔으며, 이와같은 도복(倒伏)의 감소(減少)는 형태적(形態的)인 특징(特徵) 면(面)에서 생장조절제(生長調節劑) 처리(處理)로써 관(管)의 두께와 직경(直徑)과 유관속(有管束) 수(敎)를 증가(增加)시켰다. Cycocel(CCC)의 처리(處理)는 Hoe78784와 PP-333을 처리(處理)한 것 보다 유관속(有管束)의 수(數), 관(管)의 두께, 3, 4 번째 마디의 직경(直徑)이 낮게 나타났으며, 모든 처리구(處理區)에서 도복(倒伏)의 감소(減少) 영향(影響)이 전혀 나타나지는 않았다. 단간종(短稈種)(IR36)에서의 Hoe78784와 PP-333의 처리(處理)는 2, 3번째 절간(節幹)의 신장(伸長)이 현저하게 감소(減少)되었으며, 장간종(長稈種)에서는 4번째 절간(節稈)까지 검색(檢索)되었고 도복(倒伏)에 가장 크게 영향(影響)을 미치는 절간(節稈)은 세번째 및 네벤째 절간(節稈)인 것으로 나타났다. 생장조절제(生長調節劑) 처리구(處理區)에 있어서 식물체내(植物體內)의 영양관계(營養關係)는 질소함량(窒素含量)에 있어서 무처리구(無處理區)와 큰 차이(差異)는 없었으나 IR8에 있어서의 질소함량(窒素含量)은 높게 나타났으며 인산(燐酸)의 함량(含量)은 모든 품종(品種)에 있어서 뚜렷한 변화(變化)가 나타나지는 않았다. 또한, 칼륨의 함량(含量)도 처리구(處理區)와 무처리구(無處理區)간에 뚜렷한 차이(差異)를 보이지 않았지만, Hoe78784를 처리(處理)하였을 때에는 칼륨과 규산(硅酸)의 함량(含量)이 무처리구(無處理區) 보다는 높게 나타났다.

  • PDF

삽수 종류, 배양토 및 생장조절제 처리가 병꽃나무 삽수의 발근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utting Time, Cultivation Media and Growth Regulators on Rooting of Weigela subsessilis L. H. Bailey cuttings)

  • 이희두;김시동;김학현;이종원;김주형;윤태;이철희;이철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69-278
    • /
    • 2002
  • 본 연구는 병꽃나무의 화훼작목화를 목적으로 적정 삽목번식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병꽃나무의 삽목에 적합한 삽목용토를 개발하기 위하여, 모래, 펄 라이트, 질석 단용과 질석 : 펄라이트(1:1) 혼용처리한 용토에 삽목한 결과 숙지삽, 녹지삽, 반숙지삽 공히 펄라이트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발근율을 보였다. 특히 녹지삽은 모든 처리구에서 70.0~76.7%의 발근율을 보여, 숙지삽에 비해 약2.8배 정도 높은 발근율을 보였다. 병꽃나무의 삽목발근에 미치는 생장조절제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숙지삽의 경우에는 생장조절제의 종류에 관계없이 농도가 높을수록 대조구에 비해 발근이 촉진되는 경향이었다. 특히 NAA 500mg. L$^{-1}$처리구에서 80.0%로 가장 높은 발근율을 나타냈다. 녹지삽의 경우에는 대조구를 제외한 모든 처리구에서 80%이상의 발근율을 보였으며, 특히 NAA 100, 500mg.L$^{-1}$와 IAA 1000mg.L$^{-1}$처리구에서 96.7%의 가장 높은 발근율을 보였다. 반숙지삽의 발근율 또한 생장조절제의 종류에 관계없이 농도가높을수록 발근율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던 반면 고농도인 1000mg.L$^{-1}$처리구에서는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NAA 농도 및 침지시간에 따른 발근율은 숙지삽의 경우 농도가 높을수록, 침지시간이 길수록 양호한 경향이었다 녹지삽은 침지 시간이 길수록 현저하게 향상되었으며, 특히 500mg.L$^{-1}$, 30분 침지처리구에서 100%의 발근을 보였다. 반숙지삽의 경우는 처리농도가 높을수록 또한 침지시간이 길수록 발근율이 양호하였으나, 녹지 및 숙지를 삽수로 했던 것에 비해 그 정도는 낮았다.

코레우스의 삽목시 배양액과 생장조절제처리가 발근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utrient Concentration and Plant Growth Regulators on Rooting in Coleus Stem Cuttings)

  • 조은희;장매희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77-283
    • /
    • 1997
  • 본 실험은 초화류인 코레우스의 삽목시 삽수의 발근율을 높이기 위하여 배양액과 NAA 및 IBA처리 효과를 조사하였다. 모래삽목보다는 배양액을 이용한 것이 발근소요일이나 생육면에서 월등히 효과적이었다. 특히 배양액 농도는 일본 원시표준액보다는 표준액의 1/4 배양액 농도에서 재배한 것이 가장 발근이 빨리 되었으므로 삽목초기에는 낮은 양액농도가 경제적일 것으로 보인다. 생장조절제의 농도별로는 NAA나 IBA 0.01mg/$\ell$처리가 효과적이었으며 IBA처리보다는 NAA처리시의 발근소요일이 더 짧았다. 또한 NAA 및 IBA을 처리한 수돗물을 사웅하여 삽수의 발근을 유도할 경우 NAA와 IBA를 삽수에 침지처리한 후 수돗물에 재배하는 것보다 발근에 효과적이었으며, 무엽지삽보다는 유엽지삽이 효과적이었다. 또한 배양액이나 생장조절제를 단용처리한 것보다 배양액과 생장조절물질의 혼용처리가 발근소요일이 단축되었고 생육상태가 양호하였다.

  • PDF

고구마의 액아배양에서 생장조절물질이 기관분화 및 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rowth Regulators on the Organ Differentiation and the Growth from the Axillary Bud of Sweetpotatoes in Vitro Culture)

  • 장병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01-408
    • /
    • 1984
  • 우리나라에서 고구마 장려품종인 홍미와 신미를 액아배양시 explant의 크기 NAA, BA 및 kinetin의 농도가 기관분화와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저 본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실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5mm되는 explant 배양이 2mm explant 배양보다 기관분화 및 생육이 좋았으며 홍미는 MS 배양에 NAA 0.1mg/$\ell$와 kinetin 1mg/$\ell$을 조합처리할 때 신미는 MS배지에 NAA 0.1mg/$\ell$와 kinetin 1mg/$\ell$을 조합처리할 때와 kinetin 1mg/$\ell$, BA 0.1mg/$\ell$을 단독처리할 때 shoot의 분화가 좋았다. 2. 뿌리분화는 홍미와 신미가 비슷한 결과를 보였으며 NAA 0.lmg/$\ell$와 kinetin 1mg/$\ell$을 조합처이한 배지에서 뿌리수와 뿌리길이가 증가하였다. 3. BA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비정상 식물체의 출현이 많았으며 한 개의 explant에서 여러개의 shoot의 길이가 짧았다. 4. 이차계대배양에서 shoot의 분화 및 생장은 NAA 0.1mg/$\ell$와 kinetin 1mg/$\ell$가 첨가된 배지에서 좋은 결과를 보였고 뿌리의 분화는 0.1 mg/$\ell$ BA에 첨가된 배지에서 가장 효과적이었다.

  • PDF

식물홀몬 및 생장조절물질의 생물검정기술 I. 옥신, 지베렐린 및 싸이토키닌 (Bioassays of Plant Hormones and Plant Growth Regulating Substances I . Auxins, Gibberellins, and Cytokinins)

  • 이정명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4권s01호
    • /
    • pp.4-15
    • /
    • 1989
  • 식물홀몬을 포함한 각종 식물생장조절물질의 생검법(bioassays or biological assays)을 소개 및 비교검토함과 동시에 일관성 있는 결과를 얻기 위한 몇가지 유의점을 지적코자 옥신류 생검에서는 녹두발근과 귀리제1절간장신장, gibberellin에서는 왜성벼의 제2엽신장과 왜성완두의 상조축신장, 그리고 cytokinin류에서는 무자엽생장, 담배줄기수캘러스생장, 그리고 오이자엽내엽록소형성 등의 방법을 요약하였다. 아울러 일련의 실험을 통해 얻어졌던 각종생장조절물질(특히 최근에 개발되는 각종 왜화제)에 대한 반응을 홀몬별로 요약 및 비교하였다.

  • PDF

채소작물의 형질전환을 위한 재분화체계 확립 및 항생제 검정 (Establishment of Regeneration System and Antibiotic Sensitivity Test for Transformation of Various Vegetable Crops)

  • 박영두;구자정
    • 생명과학회지
    • /
    • 제9권5호
    • /
    • pp.564-569
    • /
    • 199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concentrations of plant growth regulators required for regeneration and the concentrations of antibiotics for the selection of transformed regenerants from lettuce, musk melon and tomato. The optimal concentrations of plant growth regulators for shoot formation were NAA 0.1 mg/$\ell$ +BA 0.1 mg/$\ell$ for lettuce, NAA 0.01 mg/$\ell$ +BA 2.0 mg/$\ell$ for melon and NAA 0.1 mg/$\ell$ +BA 0.5 mg/$\ell$for musk melon. Shoot induction from tomato, lettuce and melon was completely inhibited by 30 mg/$\ell$ or higher concentrations of kanamycin. Shoot formation from mu나 melon was not affected by kanamycin up to 40 mg/$\ell$, but was reduced in the presence of 50 mg/$\ell$ and completely inhibited by 100 mg/$\ell$. Shoot formation of all four crops was completely inhibited by higromycin at 10 mg/$\ell$. Both carbenicillin and cefatoxinme did not show any negative effects on shoot formation.

  • PDF

오갈피 나무속(Acanthopanax spry.) 식물의 번식에 관한 연구 -제1보 삽목시 생장조절성질이 발근에 미치는 영향-

  • 안상득;최은옥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6권2호
    • /
    • pp.138-145
    • /
    • 1992
  • Rooting test of 5 species plants in Acanthopanax genus was carried out to see the comparative effect of growth regulators NAA IBA and IAA. An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in the following compendia; (1) When hard and soft-wood cutting from new shoot of 5 species were taken and dipping treated with growth regulators such as NAA IBA and IAA at varied concentration levels their roofings were mostly more superior to the control that untreated. And also treatment of NAA and IBA among treated substances were more effective than IAA. (2) The effects on the rooting number and rate made a great difference according to species of Acanthopanax genus even if the same regulator was treated. (3) Decreasing effects of rooting by high concentration obstacle (especially at 2,000 rpm) of NAA and IBA in other species except A. sieboldianum were mostly serious. On the other hand, that in case of IAA treatment was not risen in most species except A. sessiliflorus.

  • PDF

Effects of Two Plant Growth Regulators, Terpal-C and Cerone, on Freezing Tolerance and Winter Survival of Canola ( Brassica napus L.)

  • Song, Moon-Tae
    • Plant Resources
    • /
    • 제1권1호
    • /
    • pp.38-42
    • /
    • 1998
  • One of the most attractive short-term possibilities for increasing freezing tolerance of winter crops may be the application of chemical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two plant growth regulators. Terpal-C and Cerone on freezing tolerance and winter survival of canola. Three cultivars were planted on the michigan state University Agronimy Farm at East Lansing. MI. on Sept. 10. 1992 and 1993 Chemicals were applied to one-month-old plants when they reached the 5 leaf stage. Ion leakage tests for freezing tolerance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chemical treatment. Winter survival was evaluated by counting the plant standing in the fall and spring. Neither of the chemicals. Terpal-C. inhibited natural cold hardening.

  • PDF

Seedling Stand Influenced by Water Management after Seeding and Seed Soaking with Plant Growth Regulators in Direct Wet Seeding Rice

  • Back, Nam-Hyun;Kim, Sang-Su;Kang, Si-Yong;Choi, Min-Gyu;Shin, Hyun-Tak;Kwon, Tae-Oh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25-229
    • /
    • 1999
  • Unstable seedling stand establishment of wet direct seeding culture of rice is one of the major elements preventing the extension of its culture area. In order to develop methods of seedling stand improvement in direct seeded rice on flooded surfaces, three field experiments were conducted on silty loam soil using a cultivar 'Donjinbyeo' for three years, mainly focusing on water management after seeding and seed soaking with plant growth regulators (PGRs). Under the condition of shallow flooding after seeding, seedling stand rate increased and floating seedling rate decreased in both early and normal season seeding compared to deep flooding. With earlier draining time after seeding, there was a tendency towards preferential growth of the seminal root, increase of seedling stand and decrease of the floating seedling rate. Therefore the highest seedling numbers per unit area and the lowest floating seedling numbers were found upon drainage at 1 day after seeding (DAS), while a contrary tendency was shown upon conventional drainage at 7 DAS. Seed soaking with PGRs such as Metalaxyl or mixing of Metalaxyl with gibberellic acid (GA$_3$) significantly increased the seedling stand. In addition the effects of PGR treatment on seedling stand and the early growth of plants were greater under flooded conditions than under drained conditions after seeding, although draining of water after seeding improved the seedling establishment rate more when compared with the PGR treat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draining management after seeding or maintaining of shallow flooding for a week is the most effective method to improve the seedling stand rate in wet direct seeding.

  • PDF

온도, 일장 및 식물생장조절제에 의한 덴파레의 생육 및 개화 반응 (Flowering and Growth of Dendrobium phalaenopsis as influenced by Photoperiod, Temperature, and Plant Growth Regulators)

  • 이영란;김미선;김재영
    • 화훼연구
    • /
    • 제16권4호
    • /
    • pp.247-254
    • /
    • 2008
  • 덴파레 유묘 및 성묘의 온도, 일장, 생장조절제에 의한 생육 및 개화기 촉진을 목적으로 10시간 및 16시간 일장처리는 3월 24일부터 5월 23일까지 하여 생육 및 개화조사를 하였다. 1년생묘(유묘) 덴파레 'Semi alba'를 온도와 일장처리 결과, $30/25^{\circ}C$로 12주 처리시 생육이 가장 빨랐고, 16시간 일장일 때 신초의 생육과 개화가 촉진되었다. 2년생묘 (성묘) 덴파레 'Candistriape ${\times}$ Tedtakiguz'의 일장처리에서는 16시간 일장에서 소화수, 화폭, 경장 등 개화특성에는 차이가 나지 않았으나, 신초에서부터 개화소요일수는 16시간 일장이 216일, 자연일장 241일, 10시간 일장은 243일로, 16시간 일장이 자연일장이나 10시간일장보다 약 25일 빨랐다. 생장조절제처리는 생장과 개화에 뚜렷한 효과가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