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owth factors

검색결과 6,274건 처리시간 0.041초

초유에 함유된 성장인자와 기능: 총설 (Growth Factors and Their Function in Colostrum: A Review)

  • 렌친핸드;손지윤;남명수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34권1호
    • /
    • pp.1-7
    • /
    • 2016
  • 젖소 초유에는 성장인자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데, 상처 치유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초유의 생리활성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Tyrosine kinase receptor의 활성을 유도하는 성장인자가 특이적으로 관여하여 세포의 분화, 면역기능, 신경기능 등 세포간 상호작용에 관여하는 EGFR(상피증식인자 수용체)와 FGFR(섬유아세포 증식인자)가 있다. 또한 VEGFR (혈관내피 증식인자)와 PDGF(혈소판유래 증식인자)도 존재한다. 조직회복을 위한 각질세포 분화와 세포의 이행에 성장인자가 상승효과를 나타내었고, 초유 또는 초유에 포함된 성장인자 peptide들은 장관질환 치료에 효과가 있으므로 치료제로 이용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조릿대의 생장특성 및 입지환경요인 분석 (An Analysis of Sasa Borealis' Growth Properties and Positional Environmental Factors in Jirisan National Park)

  • 박석곤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53-61
    • /
    • 2013
  • The present study elucidated the growth properties of Sasa borealis communities distributed in the lower layer of deciduous broadleaf forests in temperate zones and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growth properties of S. borealis and positional environmental factors. The higher the culm height of S. borealis was, the higher the values of the leaf number, leaf area, and foliage layer thickness became. This might be because as the culm height of S. borealis increased, the acquisition of light sources became easier so that the biomass of leaves increased simultaneously for smooth anabolism. S. borealis seem to change their growth mode for smooth acquisition of light resources. The culm density of S. borealis and the leaf number, leaf area and foliage layer thickness of S. borealis did not show any clear correlation. The values of the culm height, leaf number, leaf area, and foliage layer thickness of S. borealis as the above altitude of the location of S. borealis increased. It seems like that growth conditions such as temperatures and winds are deteriorated as the above altitude of the location of S. borealis increased so that S. borealis becomes smaller. No clear correlations were shown between the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soil and S. borealis' growth properties. It seems like that the growth of S. borealis complexly intertwined with diverse environmental factors and that due to the physiological integration of S. borealis, certain physiochemical properties do not unilaterally affect S. borealis' growth properties.

도시림의 계절별 토양환경이 곰솔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Soil Environment's Impact on the Growth of Pinus thunbergii by Season in Urban Forests)

  • 김석규
    • 환경영향평가
    • /
    • 제20권4호
    • /
    • pp.455-464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correlations between soil environments and the growth of trees in forests and thereon analyze effects of seasonal changes in such environments on such growth. To determine seasonal factors of soil affecting the Tree Vitality of Pinus thunbergii, first of all, the study designated the Tree Vitality as a dependent variable and soil hardness, moisture, pH, K, Na, Mg and Ca as independent variables. Then the study performed Pearson's coefficient analysis. To clarify what soil factors influence the seasonal growth of Pinus thunbergii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s carried out, and findings are as follow; the growth of Pinus thunbergii was basically influenced by pH, followed by soil hardness in spring, K, followed by moisture in summer, and by soil hardness in winter. However, no soil factors affected the vitality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5% for t.

연구기반 스핀오프 벤처기업의 성장단계별 성공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이론 및 사례 연구를 중심으로 (An Exploratory Study on the Success Factors of Research-based Spin-off Venture Across Stages of Growth: Pertaining to Theoretical and Case Study)

  • 정강옥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654-687
    • /
    • 2006
  • 본 연구는 연구기관에서 개발한 기술을 기반으로 창업한 연구기반 스핀오프 벤처기업의 성장단계 및 단계별 성공요인에 관한 이론 및 사례연구이다. 이론연구를 통해 연구기반 스핀오프 벤처기업의 성장단계는 일반 벤처기업의 개념화와 개발기, 상업화기, 성장기, 안정기로 구성되는 4단계 성장단계에 대비되는 단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기반 스핀오프 벤처기업은 1단계인 개념화와 개발기에는 연구결과로부터 사업 아이디어를 도출, 2단계인 상업화기에는 사업 아이디어로부터 도출된 것을 신규 벤처 프로젝트로 완결, 3단계인 성장기에는 신규 프로젝트로부터 스핀오픈 벤처기업을 출범, 4단계인 안정기에는 스핀오프 벤처기업에 의한 경제적 부의 창출 강화라는 성장단계가 있으며 단계별로 고유한 과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례연구로 정부출연연구소를 모태기관으로 하여 스핀오프로 창업한 벤처기업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사례분석을 통해 연구기반 스핀오프 벤처기업은 각 단계별 고유한 과제의 해결이 이루어져야 다음 단계로의 성공적인 이행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후반부에 본 논문의 시사점과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 제시하였다.

  • PDF

Role of Growth Differentiation Factor 9 and Bone Morphogenetic Protein 15 in Ovarian Function and Their Importance in Mammalian Female Fertility - A Review

  • Castro, Fernanda Cavallari de;Cruz, Maria Helena Coelho;Leal, Claudia Lima Verde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9권8호
    • /
    • pp.1065-1074
    • /
    • 2016
  • Growth factors play an important role during early ovarian development and folliculogenesis, since they regulate the migration of germ cells to the gonadal ridge. They also act on follicle recruitment, proliferation/atresia of granulosa cells and theca, steroidogenesis, oocyte maturation, ovulation and luteinization. Among the growth factors, the growth differentiation factor 9 (GDF9) and the bone morphogenetic protein 15 (BMP15), belong to the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 (TGF-${\beta}$) superfamily, have been implicated as essential for follicular development. The GDF9 and BMP15 participate in the evolution of the primordial follicle to primary follicle and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later stages of follicular development and maturation, increasing the steroidogenic acute regulatory protein expression, plasminogen activator and luteinizing hormone receptor (LHR). These factors are also involved in the interconnections between the oocyte and surrounding cumulus cells, where they regulate absorption of amino acids, glycolysis and biosynthesis of cholesterol cumulus cells. Even though the mode of action has not been fully established, in vitro observations indicate that the factors GDF9 and BMP15 stimulate the growth of ovarian follicles and proliferation of cumulus cells through the induction of mitosis in cells and granulosa and theca expression of genes linked to follicular maturation. Thus, seeking greater understanding of the action of these growth factors on the development of oocytes, the role of GDF9 and BMP15 in ovarian function is summarized in this brief review.

소아기에 있어 키성장과 비만도, 골성숙도와의 상관성 연구 (A Study on Correlation between Height Growth, Obesity and Bone maturity in Childhood)

  • 최상락;김윤영;장은진;구진숙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24-33
    • /
    • 2019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auses of short stature through a clinical review of factors related to childhood height growth. So we can find the way to meet the needs of the heightism which is widely spread among modern people. Methods: Among 160 patients who came to Andong B oriental clinic for the purpose of growth therapy, 112 children whose height was smaller than other normal children were analyzed. When the children first came to the clinic, we checked their height and weight. The parents' height was recorded through a questionnaire. The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index and height growth was examined through growth plate test and Inbody test. We want to identify the genetic factors related to parental factors based on the data of the parent height. Results: For short stature children, weight was often normal or low. When w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genetic factors and child growth, we found that they were more influenced by father's height rather than mother's. We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between skeletal maturity and the five viscera. There was no apparent correlation between skeletal maturity and the five viscera but we found that there was some degree of relevance. Conclusions: For short stature children, the weight was often normal or low and parental genetic factors were more influenced by father than by mother. In the case of bone maturity it did not show a direct correlation between the five viscera.

Internal Company Factors as Determining Variables for Improving Bank Lending

  • PRAWITASARI, Dian;KADARNINGSIH, Ana;MACHMUDDAH, Zaky;UD-DIN, Maaz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7권8호
    • /
    • pp.205-212
    • /
    • 2020
  • This study seeks to examine the main factors, external and internal to the bank, that enhance bank lending. Bank lending is one of the connecting bridges in sustaining society. Internal factors consist of ROA, DPK, and CAR. External factors are economic growth and interest rate of Bank Indonesia. The population of this research consists of traditional commercial banks listed on the IDX over the 2014-2017 period. Samples were chosen by purposive sampling method. This study uses secondary data with 56 samples; data analysis uses multiple linear regress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show that internal factors have a greater impact on increasing bank lending than external factors. The main variable among internal factors that influences increase in bank lending is ROA. DPK is the internal factor with the smallest impact on increasing bank lending. The implication of the study is that determining the bank lending should take more account of CAR, DPK, ROA, BI interest rates, and economic growth in making decisions about the amount of lending. These variables can only have a slight effect on increasing lending, though. Besides, internal factors such as NPL, LDR or non-economic factors also need to be considered in channeling bank credit.

부산항 신항과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의 연계 발전 방안 (A Study on Succeeding Together-Busan New Port & BJFEZ)

  • 송계의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23-142
    • /
    • 2012
  • 최근의 항만개발은 종합 국제물류서비스의 집합체로서, 국제물류기능, 산업경쟁력 확보를 위한 종합산업기지화, 자체 물동량 창출을 위한 경제유발 종합기지화, 지역경제 활성화를 기할 수 있는 부가가치항만, 친수 공간 확보 및 문화 활동의 복합기능화 등을 기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다. 즉 국제분업화 및 SCM체제의 확산은 국제물류의 급격한 발전을 가져왔지만, 이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항만을 중심으로 무역활동의 플랫폼을 구축하고, 대규모 항만배후부지를 개발하여 국제물류기지화를 기하여야 하는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 노력이 있어야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부산항 신항과 BJFEZ 연계발전 방안을 "주관적인 요인", "산업환경적인 요인", "정부정책적인 요인" 세 가지로 대분류하여 분석한 결과는 "주관적인 요인"이 4.11점, "산업환경적인 요인"이 3.92점, 그리고 "정부정책적인 요인"이 4.01점이었다. 따라서 부산항 신항 및 BJFEZ의 연계발전을 위한 가장 근본적인 요인은 부산항 신항 및 BJFEZ의 연계발전 모델 정립을 통한 경쟁력 확보, 집중화된 시장전략 및 친시장적인 능력, 신속한 고객욕구 충족 및 신뢰성 확보 등 주관적인 연계발전 요인으로, 산업환경적인 요인이나 정부정책적인 요인 보다 월등히 앞서는 평균평점을 기록하였다. 그 다음 순위는 산업환경적인 요인(3.92점) 보다 정부정책적인 요인(4.01)이 더 높은 점수를 기록하고 있는데, 이것은 항만 및 경제자유구역의 개발과 발전은 공공성과 인프라 성격이 큰 분야로서 국가정부의 정책적인 배려없이는 올바른 발전을 기약하기 힘들다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해양경제특구의 성공 요인 (A Study on Success Factors of Marine Special Economic Zone)

  • 송계의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51-68
    • /
    • 2015
  •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해양경제특구'의 지정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해양은 새로운 자원 확보 및 국가적 역량제고에 무한한 가능성의 공간을 제공하며, 특히 중국, 일본 등 동북아 주변국의 국가 차원의 해양산업 발전전략을 강화하고 있으나 국내 항만정책은 그간 양적성장 위주로 추진되어와 발전한계에 봉착하고 있다. 따라서 국가적 차원의 해양산업 고도화 및 고부가가치 창출 전략 필요한 시점에 와 있으며, 이에 '해양경제특구'의 지정 필요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해양경제특구'의 지정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그 성공적인 개발을 통한 시너지 효과의 극대화가 중요한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해양경제특구'를 지정하여 성공적으로 개발하기 위한 성공 요인분석을 하였다. '해양경제특구'의 성공적인 발전 요인 중 대분류 세 가지 요인에 대한 분석결과는 "주관적인 요인"이 4.11점, "산업환경적인 요인"이 3.89점, 그리고 "정부정책적인 요인"이 3.72점이었다. 세 가지 요인 중 주관적인 요인의 평균평점이 월등히 높아 결국 '해양경제특구'의 성공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입주기업 스스로가 집중화된 시장전략 및 친시장 능력을 확보하여 경쟁력을 갖추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산업환경적인 요인과 정부정책적인 요인의 평균평점은 각각 3.89점 및 3.72점을 기록하여 주관적인 요인보다는 적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결론이다. 즉, 주관적인 요인의 평균평점이 월등히 높다는 것은, '해양경제특구'의 성공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입주업체 스스로가 가장 우선적으로 (1) 집중화된 시장전략 및 친시장적인 능력을 확보하고, (2) 신속한 고객 욕구 충족 및 신뢰성을 확보하며, (3) 특구 내 해양산업 분야 간 연계발전 모델 정립을 통한 경쟁력 확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IT 창업 기업의 창업 성공 요인에 대한 연구 (A Study on Success Factors for Entrepreneurs in IT Ventures)

  • 신유섭;최명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2371-2385
    • /
    • 2010
  • IT 창업 기업이 창업 초기 단계를 지나 성공적으로 성장 단계에 진입 할 수 있는 성공 요인은 무엇일까? 고용 없는 성장의 지속과 경제 침체는 고용 상황을 악화시키고 있다. 일자리를 창출하고 경제적 격차를 줄이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창업이 제시되고 있다. 창업에 대한 연구와 정부 정책의 지원은 이미 오래 전부터 시행되어왔다. 창업 이후 초기 단계 기업의 성장과 존속에 대한 연구는 성장 단계를 지나 상장 단계에 이른 기업에 대한 것과 비교하여 양적, 질적으로 미미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창업 초기 단계의 기업이 성장과 존속을 하기 위해 필요한 요인에 대해 사례를 통해 탐색한다. 창업 초기 단계에서 IT 창업 기업의 성장과 존속 성공 요인에 대한 연구와 모델을 제안하고, 모델을 실증하기 위해서 사례 연구를 실시했다. 사례 연구의 대상 기업은 제조업의 특성을 가진 하드웨어 관련 개발 기업 군과 소프트웨어 개발 기업군으로 분류하였다. 정부 출연 사업에 선정 되어 성공적으로 과제를 수행하여 최종 완료평가에서 성공 판정을 받는 것은 창업 초기 단계의 IT 창업 기업에게는 성장과 존속의 실체적인 증명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IT 창업 기업의 초기 단계 성장과 존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내부적 요인, 외부적 요인, 성장 단계의 특성에 따른 요인, 종합적 요인으로 나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IT 창업 기업의 예비 창업 교육 프로그램 및 컨설팅 가이드라인 개발, 지원정책 수립 등에 활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