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owing pheasant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초

부화시 체중 및 정강이 길이가 꿩의 육성기 체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ody Weight and Shank Length at Hatch on Body Weight of Growing Pheasant)

  • 양영훈;이현종;김규일;김준;김대철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6
    • /
    • 1995
  • A total of 514 bird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body weight and shank length at hatch on the body weights at various ages in growing pheasant. Statistical model included the terms of hatch and sex as fixed effects and the two covariates of body weight and shank length at hatch. In this model, the effects of hatch and sex on the body weights at the age of 4, 8, 12, 16 and 20 wk, and the average daily gains from hatch to 8 wk and from 8 to 16 wk of age were highly significant(P<0.01). All the regression coefficients of body weights and average daily gains on the body weight at hatch were also significant(P<0.01). Their estimates were 3.05.7.21. 13.89, 15.18 and 15.33 for the body weights at 4. 8, 12, 16 and 20 wk of age ; 0.111 and 0.142 for the average daily gains from hatch to 8 wk, and from 8 to 16 wk of age, respectively. On the shank length, only the regression coefficients of the body weights at 4 and 8 wk of age and the average daily gains from hatch to 8 wk of age were significant(P<0.01).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body weight at hatch do significantly affect the body weights in the growing periods up to' the 20 wk of age, but the shank length at hatch influences the body weights only at early age.1)

  • PDF

육성기 꿩의 주령별 체중과 정강이 길이의 측정치에 나타나는 부화차순과 성별의 효과 (Effects of Hatch and Sex on Body Weight and Shank Length of Growing Pheasant)

  • 양영훈;김준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197-201
    • /
    • 1993
  • 육성기 꿩의 체중과 정강이 길이의 측정치에 나타나는 부화차순과 성별의 효과를 조사하고자 개체별 20주령까지 측정된 육성기 꿩에 대한 분석을 한 결과 다음과 같았다. 육성기 암꿩의 체중은 부화시, 4, 8, 12, 16 및 20주령에서 각각 17.9, 96.0, 296.4, 563.4, 709.0 및 757.4g 이었으며, 수꿩은 주령별 각각 18.3, 104.4, 349.1, 728.5, 1001.4 및 1101.6g 으로 나타났다. 부화차순의 환경효과은 일반적으로 정강이 길이보다 체중에 더 많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체중과 정강이 길이에 대한 성별효과는 부화시에는 없었으나(P>0.05), 그 후 사육주령이 경과할수록 뚜렷하게 나타났다. 암수에 따른 성별의 차이는 부화시를 제외하고 4, 8, 12, 16 및 20주령에서 체중과 정강이 길이 모두 유의차(P<0.05)를 보여주었고, 부화시에 차이가 없었던 체중이 20주령에서는 수꿩의 암꿩에 비해 약 344g 이나 더 무거웠다. 정강이 길이의 성장은 암수 모두 16주령까지 거의 완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한국꿩의 체중과 정강이 길이 및 정강이 두께에 대한 유전모수 추정에 관한 연구 (Estiniation of Genetic Parameters for Body Weight, Shank Length, and Shank Width in Korean Pheaaant)

  • 김준;양영훈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53-160
    • /
    • 199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imate the heritability and genetic correlation for body weight, shank length and shank width at various wk of age in growing Korean pheasant. All the measurements were done from one day to 20 wk of age with 4 wk interval. The heritability estimates for body weight were in the range of 0.54~0.59 for male and of 0.49~0.81 for female from 4 to 20 wk of age. The heritability estimates of male and female were in the range of 0.38~0. 82 and 0.41~0.67 for shank length, and of 0.48~0.88 and 0.49~0.71 for shank width, respectively. Genetic and phenotypic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 measurements at different ages in each trait of body weight, shank length and shank width were medium to high positive values. Because the estimates of heritabilities and genetic correlations were high, the genetic gain for body weight is expected by either a direct selection or an early selection based on the record of early growing stage.

  • PDF

육성기 꿩의 주령별 체중과 정강이 길이의 상관과 회귀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of Body Weight and Shank Length of Growing Pheasant)

  • 양영훈;김준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03-208
    • /
    • 1993
  • 육성기 꿩의 주령별 체중과 정강이 길이에 관한 상호관계를 조사하고, 조기 체중과 정강이 길이가 종꿩으로의 최종 선발주령인 20주령의 체중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다음과 같았다. 부화시부터 20주령까지 성장기 꿩의 동일주령에서 체중과 정강이 길이는 암꿩에서 0.50~0.83, 수꿩에서 0.57~0.85의 정의 상관관계(P<0.01)를 보여주고 있었으며, 부화시 체중은 4, 8 및 12주령의 체중과는 상관관계가 인정되지 못했으나 (P>0.05), 부화시 체중과 16 및 20주령 체중과의 상관계수는 암컷에서 0.44(P<0.01) 및 0.44(P<0.01)로, 수컷에서는 각각 0.32(P<0.05) 및 0.30(P<0.05)로 성장말기 체중과 정의 상관관계로 나타나고 있었으나, 부화시 정강이 길이와 20주령의 체중 사이에는 암수 모두에서 상관관계가 인정되지 않았다(P>0.05). 20주령의 체중에 대한 조기 측정치(12주령 이전)들의 회귀모형들을 검토한 바, 부화시와 12주령시 측정치를 포함한 모형 ($R^2$=0.96), 8주령과 12주령시 측정치를 포함한 모형($R^2$=0.96), 또는 부화시, 8주령 및 12주령시 측정치를 이용한 모형($R^2$=0.97)으로 평가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