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owing chicks

검색결과 73건 처리시간 0.023초

사료이용율 증가에 따른 비반추가축의 분뇨에 의한 공해발생 감소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ducing Pollutants in Non-Ruminant Manure by Increasing Feed Utilization)

  • Nahm, K.H.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45-257
    • /
    • 2001
  • 가축사육이 집단화되면서 가축배설물의 축적은 집중화 현상을 초래하게 되었고 또 계속적인 분뇨 분비물의 유출은 환경공해의 요인이 되고 있으며 이는 공공의 걱정거리로 대두되고 있다. 가축분뇨 중에서 질소와 인이 환경공해요인이 되는 가장 중요한 영양소이지만 가축이나 축산시설물에서 발생되는 냄새 역시 공해의 요인이 되고 있다. 급여되는 사료의 영양소효율을 높이는 길이 환경공해를 감소시키는 방법이다. 가장 많은 실험은 닭과 돼지를 대상으로 하여 이루어졌다. 사료첨가제의 이용, 사양방법의 수정 등으로 사료중의 영양소 이용성을 높임으로서 질소와 인의 배출감소는 물론 냄새와 분의 건물함량을 줄일 수 있었다. 1) 합성아미노산 제제를 사료 중에 첨가하고 단백질 수준을 감소시켰을 때 육계의 경우 10∼27%의 질소배출을 기대할 수 있었으며 산란계의 경우 18∼35%, 돼지의 경우 62%, 돼지에서 생성되는 냄새를 9∼43%까지 감소시키는 효과를 기대 할 수 있었다. 2) 사료 중에 효소제를 첨가하였을 때 육계 분의 건물함량을 12∼15% 감소시킬 수 있었다. 3) phytase를 첨가할 경우 분으로 배설되는 인의 함량은 양계의 경우 25∼35%,돼지의 경우 9∼43%까지 감소가 가능했다. 4) 성장촉진제를 이용할 경우 돼지에서 질소의 배설 양을 5∼30% 감소시킬 수 있었으며 냄새는 53∼55%까지 감소가 가능했다. 5) 사료배합을 요구량에 가깝게 하여 급여하였을 때 양계나 양돈의 경우 질소와 인은 각각 10∼15% 감소를 기대 할 수 있었으며 돼지의 냄새는 28∼79%까지 감소가 가능했다. 6) 기별 사양을 철저히 실시함으로서 양계와 양돈의 경우 질소는 10∼33%, 인산은 10∼13%, 그리고 성장 비육돈의 경우 49∼79% 감소를 기대 할 수 있다. 7) 닭이나 돼지의 사료를 배합시 소화율이 높은 곡류를 이용하면 질소와 인의 배설을 5% 감소시킬 수 있다.

  • PDF

사료내 맥반석의 첨가가 성장중인 육계의 배설물 수분함량, 장내 암모니아 함량 및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Quartz Porphyry Supplementation on Moisture Content of Excreta, Intestinal Ammonia Contents and Blood Composition of Growing Broilers)

  • 손장호;박창일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179-184
    • /
    • 1997
  • 본 시험은 맥반석의 첨가가 혈액의 성상, 장내 암모니아의 함량 및 배설물의 수분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육계사료에 맥반석을 0, 0.3, 0.6 및 9% 첨가한 4개 처리에 육계 초생추(Hubbard strain) 40수를 공시하여 4주간에 걸쳐 실시하였다. 배설물 중의 수분 함량은 맥반석 첨가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P<0.05) 감소하였다(r= -0.96). 장관 내용물 중 암모니아의 함량은 맥반석 첨가 수준이 증가할 수록 증가하였지만(대조구: 맥반석 0.9% 첨가구; (P<0.05)), 혈중 암모니아의 함량은 맥반석 첨가에 따른 효과는 인정되지 않았다. 혈장내 glucose 함량도 맥반석 첨가에 따른 효과는 인정되지 않았지만, triglyceride 함량은 맥반석 0.3% 첨가구에서 78.52 mg /dL로 가장 낮았다(P < 0.05). 또한 혈중 총 cholesterol 함량은 맥반석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 인정되었다. 질소배설량은 맥반석 0.3% 첨가구가 다른 시험구보다 낮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육계 전기사료에 적은 양의 맥반석을 첨가하여 급여하면 배설물의 수분 함량이 감소하고, 또한 사료영양소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

새로운 계통 조성을 위한 한국 토종닭 교배 조합의 능력 검정 (The Performance Test in Crossbreds of Korean Native Chickens for the Establishment of New Lines)

  • 이명지;허강녕;최희철;홍의철;김종대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39-44
    • /
    • 2014
  • 본 연구는 토종닭 재래종과 토착종의 교잡을 통하여 생산된 교잡종의 성장과 산란능력을 추정하여, 새로운 품종을 개발하는데 활용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적갈색과 황갈색의 재래계와 육용종 및 산란겸용종을 2원 교배를 통하여 발생한 암평아리 375수를 공시하여, 36주령까지 시험을 실시하였다. A 교잡종의 수정율은 94.9%로 다른 교잡종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나, 교잡종간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며, 부화율에서는 C 교잡종이 60.2%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교잡종별 체중을 살펴보면, D 교잡종이 다른 교잡종에 비하여 낮게 나타났으며, B와 C 교잡종은 전 기간 동안 유의적으로 우수한 경향을 보였다(p<0.05). 사료 섭취량의 경우, D 교잡종이 유의적으로 낮은 경향을 보였으며, 체중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사료 요구율은 16주령까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D 교잡종의 사료 요구율이 유의적으로 가장 낮았다(p<0.05). 교배 조합에서 산란성이 우수한 계통을 활용한 D 교배 조합의 산란율이 시험 종료 시까지 우수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Standardized Ileal Amino Acid Digestibility of Commonly Used Feed Ingredients in Growing Broilers

  • Ullah, Zafar;Ahmed, Gulraiz;Nisa, Mehr un;Sarwar, Muhammad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9권9호
    • /
    • pp.1322-1330
    • /
    • 2016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standardized ileal amino acid digestibility (SIAAD) of commonly used feed ingredients in poultry diets in Pakistan. These feed ingredients included corn, rice broken (RB), rice polishings (RP), wheat bran (WB), sunflower meal (SFM), cottonseed meal (CSM), guar meal (GM), soybean meal (SBM) from India and Argentine and fish meal (FM). The SIAAD of each ingredient was determined in triplicate using 21-days-old broilers. Day-old male broiler chicks (Hubbard${\times}$ Hubbard) were reared on corn-SBM based diet from 1 to 13 days and thereafter birds were fed experimental diets from day 14 to 21. Each diet was fed to 36 birds kept in six replicate cages, each cage had six birds. In cereals, the SIAAD of corn's amino acid (AA) (90.1%) was similar (p>0.05) to RB (89.0%). Isoleucine (97.8%) and lysine (96.9%) were highly digestible AA in corn and RB, respectively. Among cereal-by products, WB's SIAAD (76.9%) was same (p>0.05) as RP (71.9%). Arginine from WB (82.5%) and RP (83.2%) was highly digestible. However, threonine in WB (72.7%) and leucine in RP (69.6%) were the lowest digestible AAs. In plant protein meals, AAs from Argentine-SBM (85.1%) and Indian-SBM (83.4%) had higher (p<0.5) SIAAD than other protein meals. However, SIAAD of SFM (77.1%) and CSM (71.7%) was intermediate while GM (60.3%) exhibited the lowest (p<0.05) SIAAD among all ingredients. Arginine from GM (76.9%), CSM (85.8%), SBM-India (89.5%) and SBM-Argentine (91.5%) was highly digestible from indispensable AAs. In SFM, methionine (91.4%) SIAAD was the greatest. The average SIAAD of FM was 77.6%. Alanine from FM had the highest (84.0%) but cysteine (62.8%) had the lowest SIAAD. In conclusion, cereals i.e. corn and RB had higher (p<0.05) SIAAD of the cereals by-products. The SIAAD of RP and WB was same (p>0.05). The SBM from plant protein meals had higher (p<0.05) SIAAD than other studied feed ingredients. However, the GM had the lowest (p<0.05) SIAAD among protein meals.

The Effect of Feeding Different Levels of Sardine Fish Silage on Broiler Performance, Meat Qual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under Closed and Open-sided Housing Systems

  • Al-Marzooqi, W.;Al-Farsi, M.A.;Kadim, I.T.;Mahgoub, O.;Goddard, J.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3권12호
    • /
    • pp.1614-1625
    • /
    • 2010
  •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use of fish silage prepared from Indian oil sardines, Sardinella longiceps, as partial replacement of soybean meal as a sole source of protein for growing broiler chickens. The main objective of Experiment 1, an ileal digestibility assay, was to assess the nutritional value of fish silage compared with soybean meal for feeding broiler chickens. The two test ingredients, soybean meal and dried fish silage, were incorporated into semi-synthetic diets, as the only component containing protein. The ileal digestibility coefficients of amino acids of fish silage were considerably higher than those of soybean meal (p<0.001). The lower digestibility of amino acids from soybean meal was related to the presence of anti-nutritional factors such as trypsin inhibitors. Fish silage had higher levels of sulphur-containing amino acids than soybean meal. The objective of Experiment 2, a growth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feeding fish silage on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oiler chickens raised under closed and open-sided housing systems. Four diets containing various levels of fish silage (0, 10, 20 and 30%) were evaluated. Daily feed intake, body weight gain and feed conversion ratio were measured. At the end of Experiment 2, 96 birds were randomly selected and slaughtered to evaluate meat quality characteristics. Housing type had significant effects on feed intake and body weight gain (p<0.01). Birds in the open-sided house consumed 4.7% less amount of feed and gained 10.6% less than their counterparts in a closed house. Birds in both houses fed diets containing 10 and 20% fish silage gained more than birds fed 30% fish silage. The current study produced evidence that fish silage can replace up to 20% of soybean meal in broiler diets without affecting either growth performance or the sensory quality of broiler meat.

Replacement value of cottonseed meal for soybean meal in broiler chicken diets with or without microbial enzymes

  • Abdallh, Medani Eldow;Musigwa, Sosthene;Ahiwe, Emmanuel Uchenna;Chang'a, Edwin Peter;Al-Qahtani, Mohamed;Bhuiyan, Momenuzzaman;Iji, Paul Ade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2권2호
    • /
    • pp.159-173
    • /
    • 2020
  • A 4×2 factorial feeding trial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eplacing soybean meal (SBM) with cottonseed meal (CSM) in wheat/sorghum/SBM-based diets fed with or without microbial enzymes in diets on the performance, visceral organ development and digestibility of nutrients of broiler chickens. Four graded levels of CSM - none (0%), low (4%, 8%, and 12%), medium (5%, 10%, and 15%), and high (6%, 12%, and 18%) of complete diets in starter, grower and finisher, respectively were fed with or without 100 mg/kg of xylanase and β-glucanase blend. Eight isocaloric and isonitrogenous diets were formulated using least-cost method to meet the nutrient specifications of Ross 308 male broilers. Each treatment was randomly assigned to 6 replicates (10 birds per replicate). There were CSM-enzyme interactions (p < 0.05) on feed intake (FI) and weight gain (WG) in the starter phase. Enzyme supplementation improved (p < 0.05) feed conversion ratio (FCR) in the grower and finisher phases, and increased WG in growing and finishing birds. CSM inclusion reduced (p < 0.05) the weight of gizzard and proventriculus in starter chicks, while these organs were bigger (p < 0.05) in the grower phase. The test ingredient decreased (p < 0.05) small intestinal weight in starter and grower birds. The CSM increased the absolute weight of thighs (p < 0.05) while breast meat was increased (p < 0.01) by enzyme addition. Starch digestibility was improved (p < 0.01) by enzyme inclusion and decreased (p < 0.01) by CSM. Enzyme supplementation improved (p < 0.05) the ileal digestibility of gross energy and protein.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CSM can substitute up to 90% SBM in broiler chicken diets without compromising performance, and the nutritive value of CSM-containing diets can effectively be improved by enzyme supplementation.

Growth, carcass traits, cecal microbial counts, and blood chemistry of meat-type quail fed diets supplemented with humic acid and black cumin seeds

  • Arif, Muhammad;Rehman, Abdur;Abd El-Hack, Mohamed E.;Saeed, Muhammad;Khan, Fateh;Akhtar, Muhammad;Swelum, Ayman A.;Saadeldin, Islam M.;Alowaimer, Abdullah 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1권12호
    • /
    • pp.1930-1938
    • /
    • 2018
  • Objective: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determine safe and sufficient growth promoters in poultry feeding. Methods: A total of 520 seven-day-old quail chicks were randomly allotted to eight treatment groups in a $4{\times}2$ factorial design experiment to evaluate the effect of different levels of humic acid (HA) and black cumin (BC) seed and their interactions on growth, carcass traits, gut microbes, and blood chemistry of growing quails. Quails were randomly distributed into 8 groups in a $4{\times}2$ factorial design, included 4 HA levels (0, 0.75, 1.5, and 2.25 g/kg diet) and 2 BC levels (0 or 5 g/ kg diet). Results: Increasing HA level associated with a gradual increase in final weight, feed intake and body weight gain along with an improvement in feed conversion ratio. Dietary addition of 5 g BC powder/kg diet gave similar results. The highest level of HA (2.25 g/kg diet) recorded the best values of carcass weight, breast yield, intestinal length, and intestinal weight comparing with the control and other HA levels. Total viable microbial counts decreased (p<0.05) with increasing levels of HA except the intermediate level (1.5 g/kg diet). The concentration of serum cholesterol and low density lipoprotein (excluding that 0.75 g HA) decreased (p<0.05) and high density lipoprotein increased (p = 0.034) along with increasing HA level. The interaction between the $2.25g\;HA{\times}5g$ gave the best results regarding most studied parameters. Conclusion: These findings indicated that HA combined with BC could be used as effective growth promoters, with the recommended level being 2.25 g HA+5 g BC/kg of quail diet.

한국 재래 산란계와 도입종 산란계의 육성 초기 성장 능력 비교 연구 (Comparison of Growth Performance between Korean Native Layer Chickens and Imported Layer Chickens at Early Rearing Stage)

  • 김영신;김재환;서상원;김현;변미정;김명직;김지성;이지웅;최성복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283-290
    • /
    • 2012
  • 본 시험은 한국 재래계와 도입종 산란계의 육성 초기 성장능력을 비교분석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공시계는 유전자원 관리기관에서 종란을 인수하여 부화시킨 암수 병아리 276 수를 이용하였으며, 한국 재래계 2 계통(A, B)과 도입종 산란계 3 계통(C, D, E)으로 총 5 계통의 수정률, 부화율, 육성단계별 체중, 증체량, 사료 요구율 등을 조사하였다. 수정률은 A, B, C, D 및 E계통에서 각각 93.88%, 81.75%, 82.25%, 79.25% 및 71.50% 이었고, 부화율은 5계통에서 각각 95.65%, 86.24%, 88.15%, 90.85% 및 88.11%로 나타났다. 육성률은 0~10 주령에서 A와 E계통에서는 98%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고, D 계통은 86.67%로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A계통은 육성단계별 체중에서 2주령부터 10주령까지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고, 전체 기간 동안에 가장 높은 증체량을 보였다(p<0.05). 정강이 길이는 D계통이 0주령에는 낮은 수치를 보였으나, 2주령부터 점차 증가하여 10주령에서는 $56.69{\pm}3.27mm$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p<0.05). A계통의 증체량과 정강이 길이 사이의 표현형 상관관계는 0~2주, 2~4주, 4~6주, 6~8주 및 8~10주령에서 각각 0.63, 0.70, 0.55, 0.50 및 0.46으로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전 기간의 표현형 상관관계도 0.85로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D계통의 증체량과 정강이 길이 사이의 표현형 상관관계도 0~2주, 2~4주, 4~6주, 6~8주 및 8~10주령에서 각각 0.73, 0.55, 0.54, 0.24 및 0.29로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전 기간의 표현형 상관관계도 0.78로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한국 재래계의 종자 산업화를 위하여 육성 후기의 능력 및 산란율 등을 추가적으로 조사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사료내 한방약제 추출물 첨가가 과밀사육환경 하에서의 육계의 성장과 면역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Oriental Herb Extracts on Growth Performance and Proliferation of Splenocytes Under High Density Stocking Condition in Broiler Chickens)

  • 최형석;김기현;박상훈;남인식;황성구;남기택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87-399
    • /
    • 2010
  • 본 시험은 한방약제 추출물 급여가 과밀사육 환경에서의 육계 (Ross broiler)의 생산성 및 면역세포 중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육계 수컷 240수를 저밀도 사육구와 고밀도 사육구로 나누어 각각 대조구와 처리구를 두었으며 저밀도 사육구는 pen 당 10수씩 고밀도 사육구는 pen당 30 수씩 임의 배치하였다. 저밀도와 고밀도의 대조구 사료에 한방약제 추출물 0.23%(AP 0.2%+ DFP 0.03%)를 첨가 급여였다. 사육밀도에 따른 평균 사료섭취량은 저밀도 사육구에 비하여 고밀도 사육구에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으며(p<0.05), 한방약제 추출물 첨가에 따른 영향은 없었다. 사육밀도에 따른 평균 체중은 고밀도 사육구에서 저밀도 사육구보다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으나(p<0.05), 저밀도와 고밀도 사육구 모두에서 한방약제 첨가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으나 일당증체량은 개선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과밀사육에 의한 증체량 감소 및 사료섭취량 감소 현상은 생육 중기에 주로 나타난 결과 이며 후기에는 이러한 환경에 적응하여 회복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료요구율은 한방약제 첨가 처리구가 고밀도 사육구 및 저밀도 사육구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모두 개선되는 경향을 보여 주었다. 면역세포증식은 비장세포 종식도, LPS로 자극시킨 B세포 증식도와 ConA로 자극시킨 T세포 증식도 모두에서 한방약제 추출물 처리구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높은 증식도를 나타내었다(p<0.05). 결과적으로 고밀도환경하에서 한방약제 추출물 급여에 따라 육계의 면역력이 증가한 것으로 판단되며, 궁극적으로 육계의 질병예방 및 일부 생산성 향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산란계의 육성기 제한 급여가 생산성 및 계란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stricted Feeding during Growing Period on Laying Performance and Egg Quality in Layers)

  • 강환구;조재훈;김지혁;강근호;유동조;나재천;김동욱;이상진;김인식;김상호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63-69
    • /
    • 2008
  • 본 연구는 1일령 갈색 산란계 Isa-Brown을 3처리, 6반복으로 반복 당 60수씩 총 1,080수를 공시하여 각각 육성기에 제한 급여를 실시한 후 산란 시기에 산란율, 사료 섭취량, 사료요구율 및 계란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산란기간 동안 제한 급여 처리구에서 산란율, 난중 및 산란 지속성 등이 대조구에 비해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나, 사료 섭취량 및 사료 요구율에서는 다른 처리구와 비교하였을 때 T1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P<0.05). 계란 품질에서는 각각의 처리구간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산란계에서 육성기의 제한 급여는 자유 채식에 비해 뚜렷한 유의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전기간 생산성에서 성적이 향상되어짐을 나타났는데, 초생추 이후 $6{\sim}18$주령까지 사료 급여를 제한하였던 T1의 성적이 가장 좋게 나타나, 육성기 제한 급여 기간이 길더라도 산란 능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이는 제한 기간 동안 성장이 적절히 이루어졌으며 부족한 부분은 보상 성장을 통해 확보되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하지만 적정 급여 수준 및 급여 강도에 대한 연구는 현재까지도 미흡한 실정이며, 추후 제한 급여에 관한 좀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