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een tea-soybean paste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262초

녹차 된장이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흰쥐의 체중 및 혈청 지질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reen Tea-Soybean Paste on Weights and Serum Lipid Profiles in Rats Fed High Fat Diet)

  • 박진희;하애화;조정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806-811
    • /
    • 2005
  • 본 실험은 녹차된장이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흰쥐의 체중변화 및 혈청 지단백질 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기본식이 (basal diet)를 급여한 B군과 0.5% 콜레스테롤과 15% 라드를 첨가한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H군, 고지방식이와 20% 일반된장을 첨가한 식이를 급여한 H-S군, 고지방식이에 녹차된장을 첨가한 식이를 급여한 H-0.6GS군(0.6% 녹차 추출물)과 H-4GS(4% 녹차가구)군을 10주간 사육한 후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체중 증가량은 고지방식이군인 H군이 가장 높았으며, 녹차된장군인 H-4GS군이 일반된장군보다 체중증가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식이 효율(FER)이나 식이 섭취량은 군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간의 무게는 고 지방식이군인 H군이 일반된장군(H-S군)과 녹차된장군(H-GS군)보다 높았으며 (p<0.05), 실험군 중에서 H-4GS군의 간의 무게가 가장 낮았다. 2. 혈청 포도당(glucose), 요산(uric acid), 빌리루빈(bilirubin), 총단백질(total protein)의 농도는 각 군 간의 차이가 없었다. 혈중 GOT, GPT, BUN의 농도는 녹차된장군이 일반된장군이나 고지방군에 비해 낮았고, 일반된장군과 녹차된장군간의 차이는 유의적이었다(p<0.05). 3. 일반된장군과 녹차된장군의 경우 모두 콜레스테롤의 농도가 고지방식이군보다 낮았고(p<0.05), 중성지방의 농도는 녹차된장섭취군이 일반된장군보다 낮았으며(p<0.05), 녹차된장군간의 차이도 있었다(p<0.05). RFI(risk factor index)는 녹차된장군이 가장 낮게 나타났고, 녹차된장군, 일반된장군, 고지방식이군 간의 차이는 유의적이었다(p<0.05).

동결건조 미역 된장 블록의 제조 및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Freeze Dried Soybean Paste Block with Sea Mustard)

  • 정복미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18-323
    • /
    • 2003
  • 본 연구는 미역과 된장, 멸치 엑기스, 다시마 엑기스, 바지락 엑기스, 파, 감자, 양파가루, 마늘가루를 이용하여 1조각이 1인분이 되도록 블록을 만들어 동결 건조시킨 후 이화학적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성분의 경우 제품 100 g당 조 단백의 경우 녹차 미역 된장제품에 비하여 일반 미역 된장제품의 단백질 함량이 약간 높게 나타났으며, 조 지방 함량은 일반 제품이 녹차 제품보다 1% 정도 함량이 많았으며, 탄수화물 함량은 일반 미역 된장제품보다 녹차 미역 된장제품이 약간 높게 나타났다. 회분 함량은 일반 미역 된장 제품이 녹차제품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유리아미노산 구성에서 두 제품 모두 많은 양을 나타낸 아미노산은 alanine, phenylalanine, hydroxyproline, valine, leucine, isoleucine, Iysine 등이었으며, 대부분이 일반 미역 된장제품에 비하여 녹차 미역 된장제품의 아미노산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지방산의 조성에서 포화지방산, 단일 불포화지방산과 다가 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은 두 제품간의 차이가 별로 없었으며, 포화지방산중에서는 palmitic acid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단일불포화 지방산은 oleic acid, 다가 불포화지방산은 linoleic acid가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제품의 포화 지방산과 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은 26:74로, 불포화지방산은 단일불포화지방산에 비해 다가 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이 두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미역 된장제품에서 가장 많은 함량을 나타낸 유기산은 oxalic acid, 다음으로 tartaric acid였으며, 대부분 녹차제품의 유기산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관능평가에서 맛, 색, 전반적인 기호도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냄새의 경우 일반 시판 된장제품이 녹차제품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제품의 개발로 바쁜 현대인들 특히 맞벌이, 독신자들에게 건강을 증진시키는 효과를 가지면서 간편한 방법으로 미역 된장국을 끓여 먹을 수 있는 상품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노인식 제공을 위한 일부 노인의 음식 기호도 조사 (Food Preference Test of the Korean Elderly Menu Development)

  • 박선주;이해정;김완수;임재연;최혜미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98-107
    • /
    • 2006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test food preferences of the Korean elderly for Korean elderly menu development. The elderly subjects preferred steamed rice cooked with 1.2 times water than that with 1.5 times water (p < 0.001) , whole rice grain gruel than the gruel with ground grain (p < 0.05) . Green tea powder gruels developed as a snack,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reference of the elderly between gruel with different contents of green tea powder (2, 3, $4\%$). The preferences of the salt concentration of the soup were tested by using soybean sprout soup and soybean paste soup. The elderly preferred 0.7 - $0.8\%$ salted bean sprout soup and $7\%$ soybean paste soup. The elderly preferred Kimchi cut in widths of 1 - 2 cm than that in 0.5 cm. The elderly preferred sweeter grape jam ($67\%$ vs. $50\%$ or $37\%$ sugar content) and were not concerned about chewing seeds. This result could be useful to develop menus for the elderly.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1 (1): 98$\sim$107, 2006)

감귤, 녹차, 선인장 분말을 첨가하여 후숙한 된장의 품질 특성 (The Quality Properties Composition of Post-Daged Doenjang(Fermented Soybean Pastes) Added with Citrus Fruits, Green Tea and Cactus Powder)

  • 김정현;오현정;오유성;임상빈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79-290
    • /
    • 2010
  • 생된장에 감귤, 녹차 및 선인장을 건조 분말 상태로 3%, 7% 첨가하여 $4^{\circ}C$, $20^{\circ}C$, $30^{\circ}C$ 에서 60일간 숙성 시킨 후 된장제품의 품질 특성 및 관능적 특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일반성분을 분석한 결과, 수분은 전반적으로 55~59%로 대조구에 비하여 큰 차이가 없었고, 3% 첨가 시 수분 유지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회분과 조단백질의 함량은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한 차가 없었다. 각 된장의 조지방 함량은 대조구에 비하여 약간 증가됨을 볼 수 있었으며, 감귤, 선인장, 녹차 첨가 된장의 탄수화물의 함량은 대조구에 비하여 7% 첨가 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pH는 대조구에 비하여 감귤, 녹차, 선인장 첨가 된장 모두 낮음을 보였다. 아미노산성 질소는 감귤 분말 3% 첨가 된장과 녹차 분말 첨가 된장의 $4^{\circ}C$ 숙성 시 증가됨을 보였고, 총 아미노산 함량은 감귤 분말 첨가 된장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전체적인 기호도는 감귤 3% 첨가 된장의 기호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천연의 향미와 기능 성분을 갖는 감률 된장의 제조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감귤을 활용한 제품 개발로 된장의 기호성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녹차의 squalene synthase 저해효과 (Inhibitory Effects of Green Tea against Squalene Synthase)

  • 최성원;허남윤;이한승;백무열;안순철;이정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73-278
    • /
    • 2008
  • 콜레스테롤 생합성 과정에 있어서 속도조절 단계 효소의 하나인 squalene synthase에 대한 저해물질의 탐색을 목적으로, 30종의 다양한 천연물을 대상으로 squalene synthase에 대해 저해효과를 검토한 결과 녹차추출물에서 비교적 저해활성이 높고 재현성이 있게 저해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녹차에 함유되어 있는 squalene synaase에 대한 저해물질의 용매추출성을 검토한 결과 ethyl acetate와 n-butanol 층에 저해물질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저해물질은 녹차의 polyphenol 화합물인 catechin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Catechin 표준용액의 각 농도에 따른 squalene synthase 저해작용을 살펴 본 결과, (-)-epigallocatechin gallate, (-)-epicatechin gallate, (-)-epigauocatechin, (-)-epicatechin, (+)-catechin의 순으로 저해활성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강한 저해활성을 나타내는 (-)-epigallocatechin gallate의 $IC_{50}$값은 $90{\mu}M$이었다.

대구.경북지역 위암환자의 일상 생활 패턴 및 식행동 (Life-Style and Eating Behaviors of the Stomach Cancer Patients in Daegu and Kyungpook Area in Korea)

  • 서수원;구보경;이혜성;최용환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5권3호
    • /
    • pp.380-393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ift-style and eating behavior of stomach cancer patients in the Daegu and Kyungpook area, and to collect basic data for nutrition education designed to prevent stomach cancer in this communit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02 patients who were recently diagnosed as having stomach cancer at th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The control subjects were 105 persons who did not have any gastrointestinal disease, and included patients from the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and healthy volunteers. The survey, which covered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eating behavior of the subjects, was conducted by individual interviews using questionnaires. It was found that the stomach cancer patients (case group) had experienced a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stress in their daily lives than the control group. A significantly higher proportion of the case group subjects recognized their personality as pessimistic, and had family histories of cancer,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subjects. The cancer patients had higher preferences for salty and hot tasting foods, and tended to ingest meals faster without enough chewing, compared with the control subjects. The level of nutritional knowledge of the case group was lower than the control group, an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ubjects' nutritional knowledge scores and nutritional attitude scores. Subjects' estimates of their food intake frequencies during the decade before the cancer was diagnosed revealed that the case group consumed significantly higher amounts of pickled fish, soybean paste soup and stew, cooked vegetables, beef and pork, charcoal broiled meat and alcohol, while consuming significantly lower amounts of green tea than the control group. In summary,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the stress of daily life, a family history of cancer, and a pessimistic personality might be the risk factors for the development of stomach cancer. Dietary factors which were suspected as risk factors for stomach cancer in the present study included strong preferences to salty and hot lasting foods, poor eating habits, and frequent consumption of pickled fish, soybean paste soup, cooked vegetables, beef and pork, charcoal broiled meat and alcohol. A high consumption of green tea seemed to be a protective factor against stomach cancer. The results of the study appear to provide useful data for nutritional education focussed on the prevention on stomach rancor in local residents.

Food Consumption Patterns of First Generation Korean-Americans in Hawaii

  • Han, ji-Sook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3권1호
    • /
    • pp.77-84
    • /
    • 1998
  • To evaluate food consumption patterns of first generation Korean-American in Hawaii, questionnaires were developed using sociodemographic questions and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which included 139 food items most often consumed among Korean foods and American foods. The questionnaires surveyed 157 first generation Korean-Americans in Hawaii. Mean daily servings for the first generation Korean-Americans were calculated for 139 food items combined into 41 food groups based on similarity in nutrient composition and serving size. The food groups which were consumed in amounts over one serving per day for all subjects were rice, Kimchi , non-citrus fruit , vegetables, organge/green vegetables. oil. margarine and coffee/tea. All subjects consumed less than one serving of hotdogs, hamburgers, pizza and pancakes per week(0.14 serving per day). The most notable characteristic of food consumption for first generation Korean-Americans was that they consumed more Korean food such as rice, Kimchi, soybean paste(Deenjang), soybean curd and seaweed than American foods. Compared with other groups based on age and gender, younger men showed significantly(p<0.05) more frequent consumption of beef/pork, sausages /hams /bacons and hambergers. Older men were significantly(p<0.05) more likely to consume Doenjang and less likely to consume pizza and hamburgers. Daily servings were below the recommended level for thegrains /bread/cereals group and fats/oils/sweets group for all subjects . Fruits/vegetables group servings exceeded the recommeded 5 daily servings for younger men. In correlations of daily servings of selected foods among Korean foods and American food with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is study showed that the older the subjects and the shorter the stay in Hawaii, subjects were more likely to consume Kroean food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