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een tea and Schizandra chinensis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22초

녹차와 오미자 첨가 육제품(양념계육 및 패티)이 흰쥐의 체중, 혈청지질 및 간조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eat Products (Seasoned Chicken Product and Patty) Added with Green Tea and Schizandra chinensis on Body Weight, Serum Lipid and Liver in Rats)

  • 김수민;조영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7호
    • /
    • pp.980-986
    • /
    • 2005
  • 녹차와 오미자추출분말을 양념닭고기제품과 패티 (patty)에 각각 $1\%$의 농도로 첨가했을 때, 녹차를 첨가한 닭고기 제품은 대조구보다 관능적 특성 이 약간 높게 나타났으며, 오미자를 첨가한 패티는 대조구와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양념닭고기 제품과 패티를 사료에 1:1로 배합하여 45일간 실험 동물에게 식이 급여 후 식이섭취량에 대한 체중증가량은 일반 고형사료를 섭취한 대조구의 경우 $23.1\%$의 체중증가량을 나타낸 반면 양념 닭고기제품 급여구와 패티 급여구의 경우 각각 $27.5\%,\;26.0\%$로 대조구보다 유의 적으로 높은 증가량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녹차를 첨가한 양념 닭고기제품과 오미자를 첨가한 패티 급여구의 경우 대조구와 같은 $23.5\%,\;23.3\%$의 체중증가량을 나타내어 고지방 육제품 섭취시 녹차와 오미자는 체중증가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지방식이 섭취로 인한 실험동물의 장기중량의 변화는 치킨과 패티 급여구 모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육제품 첨가식 이를 섭취한 실험 동물의 혈장 콜레스테롤, HDL 콜레스테롤, 중성지질 및 총지질 함량은 대조군에 비하여 양념 닭고기 제품과 패티 섭취군은 증가하는 반면 녹차를 첨가한 양념 닭고기 제품과 오미자를 첨가한 패티 섭취군은 혈장 콜레스테롤, 중성지질 및 총지질 함량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조직에서의 지방산화도는 대조군과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동물실험 결과 육제품에 녹차와 오미자추출분말을 첨가함으로써 체중감소 및 혈중 중성지질 및 콜레스테롤 함량이 미미하게 감소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식물체 추출물의 항산화성 및 아질산염 소거작용 (The Antioxidant Ability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Plant Extracts)

  • 김수민;조영석;성삼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626-632
    • /
    • 2001
  • 식물체(팽이버섯, 마늘, 녹차, allspice, 하수오, 오미자, 행인, 솔잎)가 free radical 반응 및 지방산화 억제에 미치는 영향과 nitrosamine 생성의 직접적인 영향인자인 아질산염에 대한 천연물의 분해효과를 검토한 결과 각 추출물의 pH는 열수추출물보다 ethanol추출물이 높은 pH를 나타내었으며, 그중에서 오미자 열수추출물이 3.0으로 가장 낮았다. 지방산화의 촉진인자인 $Fe^{2+}$ 이온과 활성산소 중 지방산화를 일으키는데 주요한 역할을 하는 hydroxyl radical에 대한 각 추출물들의 영향은 추출물 모두 $Fe^{2+}$ 이온 binding 능력은 탁월하였으며, deoxyribose상에서 OH 포집능 측정에서도 팽이버섯, 솔잎ethanol추출물이 다른 추출물에 비하여 낮은 TBARS값을 나타내었다. Iron의 함량은 열수추출물에서는 2.0 mg/100 g 미만이었으나, 오미자 추출물의 total iron 함량이 6.8 mg/100 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용매별 iron함량 측정에서는 ethanol 추출물의 iron함량이 전반적으로 열수추출물보다 낮은 iron함량을 나타내었다. Ascorbic acid 함량은 녹차추출물이 열수 및 ethanol 추출에서 각각 14.3 mg/100 g, 16.7 mg/100 g을 나타내어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전자공여능은 팽이버섯, 마늘 추출물을 제외하고 50% 이상의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으며, 열수추출보다는 ethanol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이 우수하였다. SOD 유사활성은 전반적으로 8%이상의 활성능을 보였으나, 솔잎 ethanol추출물은 활성능이 미미하였으며. 녹차 열수와 ethanol추출물이 각각 85.3%, 63.5%로 가장 높은 활성능을 나타내었다. 아질산염 소거작용은 열수추출물이 전반적으로 ethanol추출물에 비하여 높은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녹차추출물의 열수와 ethanol 추출물은 아질산염 소거능이 매우 우수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