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gray matter

검색결과 180건 처리시간 0.027초

경도인지장애와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18F-fludeoxyglucose PET 표준 섭취계수율에 대한 체적 및 피질 표면 기반 관심영역 분석 (Region of Interest Analysis for Standardized Uptake Value Ratio of 18F-fludeoxyglucose PET: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Alzheimer's Disease)

  • 김선직;윤의철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237-242
    • /
    • 2018
  • $^{18}F$-fludeoxyglucose PET (FDG-PET) can help finding an abnormal metabolic activity in brain. In this study, we evaluated an efficiency of volume- and cortical surface-based analysis which were used to determine whether standardized uptake value ratio (SUVR) of FDG-PET was different among Alzheimer's disease (AD), 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and healthy control (HC). Each PET image was rigidly co-registered to the corresponding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using mutual information. All voxels of the co-registered PET images were divided by the mean FDG uptake of the cerebellum cortex which was thresholded by partial volume effect (>0.9). Also, the SUVR value of each vertex was linearly interpolated from volumetric SUVR image which was thresholded by gray matter partial volume effect (>0.1). Lobar mean values were calculated from both volume- and cortical surface-based SUVRs.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compare two measures for AD, MCI and HC groups. Even though the results of volume (SUVR_vol) and cortical surface-based SUVR (SUVR_surf) analysi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latter would be better for detecting group differences in SUVR of PET.

Cortical Iron Accumulation as an Imaging Marker for Neurodegeneration in Clinical Cognitive Impairment Spectrum: A Quantitative Susceptibility Mapping Study

  • Hyeong Woo Kim;Subin Lee;Jin Ho Yang;Yeonsil Moon;Jongho Lee;Won-Jin Moon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4권11호
    • /
    • pp.1131-1141
    • /
    • 2023
  • Objective: Cortical iron deposition has recently been shown to occur in Alzheimer's disease (AD). In this study, we aimed to evaluate how cortical gray matter iron, measured using quantitative susceptibility mapping (QSM), differs in the clinical cognitive impairment spectrum. Materials and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evaluated 73 participants (mean age ± standard deviation, 66.7 ± 7.6 years; 52 females and 21 males) with normal cognition (NC), 158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and 48 patients with AD dementia. The participants underwent bra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using a three-dimensional multi-dynamic multi-echo sequence on a 3-T scanner. We employed a deep neural network (QSMnet+) and used automatic segmentation software based on FreeSurfer v6.0 to extract anatomical labels and volumes of interest in the cortex. We used analysis of covariance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susceptibility among the clinical diagnostic groups in each brain region. Multivariab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study the association between susceptibility values and cognitive scores including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 Results: Among the three groups, the frontal (P < 0.001), temporal (P = 0.004), parietal (P = 0.001), occipital (P < 0.001), and cingulate cortices (P < 0.001) showed a higher mean susceptibility in patients with MCI and AD than in NC subjects. In the combined MCI and AD group, the mean susceptibility in the cingulate cortex (β = -216.21, P = 0.019) and insular cortex (β = -276.65, P = 0.001) were significant independent predictors of MMSE scores after correcting for age, sex, education, regional volume, and APOE4 carrier status. Conclusion: Iron deposition in the cortex, as measured by QSMnet+, was higher in patients with AD and MCI than in NC participants. Iron deposition in the cingulate and insular cortices may be an early imaging marker of cognitive impairment related neurodegeneration.

Clinical Feasibility of CT Brain Perfusion in a Dog with Sellar Region Tumor

  • Minji Kim;Gunha Hwang;Jeongmin Ryu;Jiwon Yoon;Moon Yeong Choi;Joong-Hyun Song;Tae Sung Hwang;Hee Chun Lee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178-182
    • /
    • 2024
  • A 10-year-old spayed female Poodle was referred for blindness. On ophthalmic examination, loss of bilateral ocular pupil light reflex, visual loss, and right retinal detachment were confirmed at a local hospit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of the brain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optic nerve, optic chiasm, and brain disease. A sessile mass centered on the region of the optic chiasm was identified. The mass had iso- to hypointense on fluid-attenuated inversion recovery and T2-weighted images and mildly hypointense on T1-weighted images compared to the gray matter, with strong contrast enhancement. Peripheral edema was also identified. Computed tomography (CT) brain perfusion was performed to obtain additional hemodynamic information about the patient using a multislice CT. CT perfusion showed that the cerebral blood volume in the left temporal lobe region (13.4 ± 1.6 mL/100 g) was decreased relative to the contralateral region (19.9 ± 0.3 mL/100 g). The patient showed decreased appetite and consciousness one week after the CT scan with clinical symptoms worsened. The patient had seizure, tetraparesis, and loss of consciousness. It was euthanized one month later at the request of the owner. This report suggests that CT brain perfusion can provide additional hemodynamic information such as insufficient brain perfusion in sellar region tumor which can help assess potential complications and prognosis and plan treatment.

3차원 데이터획득 뇌 FDG-PET의 정확도 평가 (An Assessment of the Accuracy of 3 Dimensional Acquisition in F-18 fluorodeoxyglucose Brain PET Imaging)

  • 이정림;최용;김상은;이경한;김병태;최창운;임상무;홍성운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327-336
    • /
    • 1999
  •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3D FDG-PET 뇌영상의 정량적 정확도와 임상적 유용성을 연구하는 것이다. 대상 및 방법: 24명의 환자에게 약 370 MBq의 FDG를 주사하고 섭취되기까지 30분을 대기한 후 GE $Advance^{TM}$ PET을 사용하여 30분간의 2D 영상과 10분간의 3D 영상을 얻었다. 백질, 회백질, 병변, 정상조직의 관심영역 분석을 통하여 영상대비와 FDG 섭취비를 구하여 비교하였다. 3D PET의 효율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투과스캔을 사용한 경우와 사용하지 않은 경우의 감쇠보정 효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3D 영상의 영상대비는 2D 영상이 1 일 때 산란보정을 실행한 경우 회백질 대 백질에서 $0.95{\pm}0.12$, 정상 대 병변에서 $0.96{\pm}0.05$이었다. 2D 영상의 FDG 섭취비가 1일 때 3D 영상의 FDG 섭취비는 산란보정을 실행한 경우 $1.02{\pm}0.08$이었다. 3D 영상은 영상대비, 분해능, 영상 잡음에 대한 순위 척도평가에서 각각 81%, 83%, 81%에 해당되는 등급을 받아 선호도가 우수하였다. 3D 영상에서 계산감쇠보정 방법은 측정감쇠보정 방법에 필적하는 결과를 얻었다. 결론: 산란보정과 계산감쇠보정을 실시한 3D 영상은 일반적인 2D 영상과 비교하여 정량적으로 정확한 결과를 나타냈으며 정성적으로 유용하였다. 3D 영상은 일상 임상환경에 충분히 적용할 수 있으며 환자 스캔 시간을 단축하고 방사능 피폭량을 감소시키는 장점이 있었다.

  • PDF

고양이의 납중독에 관한 실험적 연구 2. 조직병리학적 소견 (Experimental Studies on Lead Toxicity in Domestic II. Histopathology)

  • 홍순호;한홍율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485-505
    • /
    • 1994
  • 고양이에서 납중독에 따른 육안적 조직병리학적 변화를 밝히고 납투여 용량과 조직남종도와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42마리의 고양이를 대상으로 체중에 따라 0(대조군), 10, 100(저용량), 1000, 2000, 4000(고용량)ppm의 lead acetate를 경구적으로 투여하여 납독성을 평가하였다. 준임상형 납중독에서 흡수된 납의 80% 이상이 뼈에 침착되었다. 반면에 심급성 납중독에서 흡수된 납의 42%가 뼈에, 36%와 20%가 신장과 간장에 각각 침착되었다. 간장은 황갈색조를 보였고 신경계에는 육안적 병변이 관찰되지 않았다. 가장 두드러진 조직병리학적 소견은 대뇌에 신경원괴사였다. 한마리의 고용량 투여 고양이에서 성상세포 증식이 관찰되었다. 6마리에 고용량투여 고양이의 대뇌피질에서 신경교증이 관찰되었다. 2마리의 고용량 투여 고양이 대뇌 피질 회백질에서 가장 깊은 층에 수초탈락이 있었고 혈관주위에 적혈구의 유출과 공동화가 한마리의 고용량 투여 고양이의 대뇌에서 관찰되었다. 6마리의 고용량투여 고양이에서 소뇌의 Purkinje cell의 변성을 보였다. 말초신경의 현미경적 소견은 분명하지 않았다. 심급성 중독에서 7마리의 고양이의 신장 근위곡세뇨관 상피세포와 5마리 고양이의 간장 간세포에 납봉입체가 관찰되었다. 이들 봉입체는 H&E 염색에서 볼 수 있으며 orcein 염색에서 더 잘 관찰된다. 2 마리의 고용량 투여 고양이에서 신장의 세뇨관간에 공포화와 결합조직 증식이 있었다. 22마리의 고양이 간장에 문맥주위 간세포의 공동화가 관찰되었다. 5마리의 처치 고양이 고환에 정세관의 공포화와 정조 포수의 감소가 관찰되었다. 3마리의 고용량 투여 고양이에 난소낭종이 있었으며 2마리의 고양이에서 난자발생이 좋지 않았다. 고양이에서 납중독은 조직병리학적 변화에 근거하여 의심할 수 있고 이 소견들은 진단에 도움이 된다. 또한 사후 조직내 납분석은 납중독 진단에 도움이 된다.

  • PDF

Flash 3D 재구성을 적용한 뇌 혈류 부하 단층 촬영 시 LEAP 검출기의 적용에 관한 연구: One Day Subtraction Method (The Study about Application of LEAP Collimator at Brain Diamox Perfusion Tomography Applied Flash 3D Reconstruction: One Day Subtraction Method)

  • 최종숙;정우영;류재광
    • 핵의학기술
    • /
    • 제13권3호
    • /
    • pp.102-109
    • /
    • 2009
  • 목적 : Siemens사의 Flash 3D(Pixon(R) method, 3D OSEM)는 검사 시간을 단축하면서 재구성을 통해 영상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개발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써 핵의학 단층 촬영 시 유용하게 적용되고 있는 영상처리기법이다. 그러나 감산된 영상을 Flash 3D로 재구성하여 시행하는 뇌 혈류 부하 검사 시에 영상 획득시간을 짧게 하여 검사를 시행하면 재구성된 감산 영상의 신호 대 잡음비가(SNR, signal to noise ratio) 기저 영상에 비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감산 영상의 SNR을 높이기 위해 LEAP 검출기를 사용하였고, 뇌혈관의 해상력보다는 혈관 확장의 예민도에 더 중점을 두었다. 본 실험은 뇌혈관 부하 단층 촬영 시 LEAP 검출기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고, Flash 3D를 이용한 적정 수준의 재구성 매개 변수를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실험재료 및 방법 : (1) 팬텀 평가: $^{99m}Tc$을 넣은 Hoffman 3D Brain $Phantom^{TM}$을 이용하였다. LEAP와 LEHR 검출기로 첫 번째 영상을(부하 영상에 해당) 획득하고 $^{99m}Tc$의 반감기인 6시간 후 동일한 방법으로 두 번째 영상을(기저 영상에 해당) 획득하였다. 또한, 각각의 기저 영상과 감산 영상의 SNR 및 백질과 회백질의 비를 측정하였다. (2) 환자 영상의 평가: 2008년 5월부터 2009년 1월까지 LEAP 검출기로 촬영하여 정상으로 판독된 15명과 LEHR 검출기로 촬영하여 정상으로 판독된 1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영상을 정성분석 하였다. Phantom에서 얻은 재구성 매개 변수를 대입하여 평가하였다. 하루 검사 프로토콜로 시행하였으며 기저에서 925 MBq, 부하에서 925 MBq의 $^{99m}Tc$-ECD를 투여하였다. 결과 : (1) 팬텀 평가: 각 검출기에서 획득한 계수치를 측정한 결과 LEHR 기저에서는 41~46 kcount, 부하에서 79~90 kcount, 감산에서 40~47 kcount가 측정되었다. LEAP의 경우 기저에서 102~113 kcount, 부하에서 188~210 kcount, 감산에서 94~103 kcount가 측정되었다. LEHR 감산 영상의 SNR은 LEHR 기저 영상과 비교하면 37% 감소하여 나타났고, LEAP 감산 영상의 SNR은 LEAP 기저 영상과 비교하면 17% 감소하여 나타났다. 회백질과 백질의 비는 LEHR 기저에서 2.2:1 감산에서 1.9:1로 측정되었고, LEAP 기저에서는 2.4:1 감산에서 2:1로 측정되었다. (2) 환자 영상의 평가: LEHR 검출기로 획득한 계수는 기저에서 대략 40~60 kcount, 부하에서 80~100 kcount 사이였다. 기저 및 부하 영상은 FWHM을 7 mm로 (타 장비의 Cutoff에 해당), 감산 영상은 FWHM을 11 mm로 설정하는 것이 적절하였다. LEAP는 기저에서 대략 80~100 kcount, 부하에서 180~200 kcount로 측정되었다. LEAP 영상은 기저 및 부하에서 FWHM을 5 mm로, 감산에서 7 mm로 설정해야 영상의 흐림을 줄일 수 있었다. 기저 및 부하 영상은 LEHR 영상이 LEAP 영상보다 해상력이 우수했다. 그러나 감산 영상의 경우 팬텀 실험과 같이 LEHR 영상의 SNR이 떨어져 영상이 거칠게 보였다. 감산 영상은 LEAP 영상이 LEHR 영상에 비해 SNR 및 예민도가 높게 평가되었다. LEHR과 LEAP 검출기의 모든 영상에서 subset과 iteration은 8회가 적절하였다. 결론 : LEAP 검출기를 이용해 적정 수준의 필터를 사용함으로써 SNR을 높여 보다 선명한 감산 영상을 획득할 수 있게 되었다. 하루 검사 프로토콜을 적용하여 Flash 3D로 재구성하는 경우, 보다 나은 감산 영상을 얻기 위해 LEAP 검출기의 적용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Pseudorabies virus를 이용한 췌장과 삼음교(三陰交)(Sp6), 음릉천(陰陵泉)(Sp9)에서 투사되는 중추 신경로에 관한 형태학적 연구 (Morphological Studies of the Central Neural Pathways to the Pancreas, Sanyinjiao(Sp6) and Yinlingquan(Sp9) using Pseudorabies Virus)

  • 김철한;이수경;염승룡;권영달;송용선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23-38
    • /
    • 2009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morphological studies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between Sanyinjiao(Sp6), Yinlingquan(Sp9) and pancreas of rats using peudorabies virus(PRV). Methods : We observed labeled neurons following the injection of PRV, Bartha strain, into the Sanyinjiao(Sp6), Yinlingquan(Sp9) and pancreas of rats. After survival times of 4 days following the injection of PRV, the rats were perfused, and their spinal ganglia, spinal cord and brain stem were frozen sectioned($35{\mu}m$). These sections were strained by PRV immunohistchemical staining methods and observed with light microscope. Results :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the spinal ganglia, the overlap areas of PRV labeled neurons projecting to Sanyinjiao(Sp6), Yinlingquan(Sp9) and pancreas were observed in T10-13 dorsal root ganglia. 2. In the spinal cord, the overlap areas of PRV labeled neurons projecting to Sanyinjiao(Sp6), Yinlingquan(Sp9) and pancreas were lamina I, IV, V, VII, IX, X, intermediolateral nucleus(IML), intermediomedial nucleus(IMM) in thoracic segments. In lumbar segments, the overlap areas of PRV labeled neuron were lamina I, IV, V, VI, IX, X and IMM. In sacral segments, the overlap areas of PRV labeled neuron were lamina I, IV, V, VI, VII, IX, X. 3. In the brain, the overlap areas of PRV labeled neurons projecting to Sanyinjiao(Sp6), Yinlingquan(Sp9) and pancreas were area postrema, nucleus tractus solitarius, caudoventrolateral reticular nu., medullary reticular nu., lateral paragigantocellular nu., C3 adrenalin cells, gigantocellular nu., raphe pallidus nu., raphe obscurus nu., ambiguus nu., raphe magnus nu., pontine reticular formation, A5 cell group, subcoeruleus nu., locus coeruleus, Barringnton's nu., $K{\ddot{o}}lliker$-Fuse nu., dorsal raphe nu., Edinger-Westphal nu., central gray matter, perifornical nu., dorsomedial hypothalamic nu., arcuate nu., lateral hypothalamic nu., paraventricular hypothalamic nu., hindlimb area. Conclusions :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interrelationship of meridian(spleen meridian), acupoints(Sp6 and Sp9) and viscera(pancreas) may be related the central autonomic centers.

주의력결핍 ${\cdot}$ 과잉운동장애의 단일광자방출 전산화단층촬영 소견에 관한 연구 (SINGLE 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 FINDINGS IN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 조수철;이명철;문대혁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권1호
    • /
    • pp.27-39
    • /
    • 1990
  • 주의력결핍 ${\cdot}$ 과잉운동장애는 학령전기 또는 학령기에서 가장 흔히 발견되는 질환들 중의 하나로서 학령기아동의 악 $3{\sim}20%$ 의 아동이 이 질환을 앓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 질환의 원인에 대하여는 유전적인 소인, 사회환경적인 요인등 여러주장들이 있어 왔으나, 임신 전후한 합병증이 많다는 연구, 신경학적인 검사에서 이상소견이 많이 발견된다는 보고, 납중독과의 관련설, 어머니의 술중독과 관련이 있다는 주장등은 환경적인 요인보다는 기질적인 요인이 작용하고 있을 가능성을 시사해준다 이에 본 연구는 '주의력결핍 ${\cdot}$ 과잉운동장애'와 관련있는 뇌의 부위를 연구하기 위하여 '단일광자방출전산화단층촬영'을 시행하여, 30.4%(14/46)에서 혈류의 감소가 있었음을 발견하였다. 이상소견이 발견된 뇌의 부위는 대뇌피질, 시상부, 실부회백질, 기저핵, 소뇌등 일정하지는 않았다. 정신병리와의 관계에서는 이상소견이 나타난 군에서 심한 장애를 보였으며, 특히 과잉운동. 언어 소운동부분에서의 차이가 뚜렸하였다. 이러한 결과에 기반을 두어 '주의력결핍과잉운동장애'는 크게 뇌의 혈류장애가 있는 군과 없는 군의 두군으로 대별할 수가 있으며, 향후의 연구에서는 보다 많은 대상군을 선정하여, 정확한 뇌의 부위를 발견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 PDF

Cold Allodynia after C2 Root Resection in Sprague-Dawley Rats

  • Chung, Daeyeong;Cho, Dae-Chul;Park, Seong-Hyun;Kim, Kyoung-Tae;Sung, Joo-Kyung;Jeon, Younghoon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1권2호
    • /
    • pp.186-193
    • /
    • 2018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pain-related behaviors after bilateral C2 root resection and change in pain patterns in the suboccipital region in rats. Methods :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ree groups (n=25/group); $n{\ddot{a}}ive$, sham, and C2 resection. Three, 7, 10, and 14 days after surgery, cold allodynia was assessed using $20{\mu}L$ of 99.7% acetone. c-Fos and c-Jun were immunohistochemically stained to evaluate activation of dorsal horn gray matter in C2 segments of the spinal cord 2 hours, 1 day, 7 days, and 14 days after surgery. Results : Three days after surgery, the response to acetone in the sham group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in the $n{\ddot{a}}ive$ group, and thi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n{\ddot{a}}ive$ and sham groups was maintained throughout the experimental period (p<0.05 at 3, 7, 10, and 14 days). Seven, 10, and 14 days after surgery, the C2 root resection group exhibited a significantly greater response to acetone than the $n{\ddot{a}}ive$ group (p<0.05), and both the sham and C2 resection groups exhibited significantly greater responses to acetone compared with 3 days after surgery.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ld allodynia was observed between the sham and C2 root resection groups throughout the experimental period. Two hours after surgery, both the sham and C2 root resection groups exhibited significant increases in c-Fos- and c-Jun-positive neurons compared with the naive group (p=0.0021 and p=0.0358 for the sham group, and p=0.0135 and p=0.014 for the C2 root resection group, respectively). One day after surgery, both the sham and C2 root resection groups exhibited significant decreases in c-Fos -positive neurons compared with two hours after surgery (p=0.0169 and p=0.0123, respectively), and these significant decreases in c-Fos immunoreactivity were maintained in both the sham and C2 root resection groups 7 and 14 days after surgery. The sham and C2 root resection groups presented a tendency toward a decrease in c-Jun-positive neurons 1, 7, and 14 days after surgery, but the decrease did not reach statistical significance. Conclusion : We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ld allodynia and the early expression of c-Fos and c-Jun between the sham and C2 resection groups. Our results may support the routine resection of the C2 nerve root for posterior C1-2 fusion, but, further studies are needed.

흑색사암(오석)과 흑색셰일(청석) 석재자원의 지질과 산출유형 (Geology and Occurrence of Black Sandstone and Black Shale Dimension Stones, Korea)

  • 박덕원;홍세선;김철주;이춘오;이병태;윤현수
    • 자원환경지질
    • /
    • 제37권6호
    • /
    • pp.585-601
    • /
    • 2004
  • 국내의 흑색사암 및 흑색셰일 석산에 대한 전반적인 연구가 수행된 바가 없다. 따라서 이들에 대한 상황을 파악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보령지역의 기존 석산에서 채석되는 흑색사암 및 흑색셰일의 분포, 산출상태 및 암질에 대하여 조직적, 과학적으로 이 연구를 수행하는데 목적이 있다. 흑색사암 층의 조사는 4개 도폭의 54개 광구에서 실시되었다. 연구 지역에서 37개 광구내에서 140 개소의 흑색사암 석산, 22 개소의 흑색셰일 석산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기존 석산에 대한 전반적인 개발정보 자료가 수집 및 종합되었다. 이들 중에서 묘비석 및 기념비용의 흑색사암 석산, 벼루용 흑색셰일 석산에서 채석작업이 진행 중에 있다. 대부분의 흑색사암 석산은 개화리, 수부리, 성주리 지역에 밀집하며 이들 석산은 흑색사암의 생산에서 주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었다. 상업적인 석재의 관점에서 볼 때, 흑색사암 원석은 산출상태 및 형태의 특성에 따라서 핵석과 신선한 암체로 구분된다. 흑색사암층은 독특하게 절리가 잘 발달하며, 특히 3 절리조 내에서 입방체 또는 사각형으로 분리되어 있다. 이러한 흑색사암류는 암회색내지 회흑색으로 나타난다. 흑색사암층은 대동누층군의 아미산층, 조계리층, 백운사층 및 성주리층 내에 협재하며, 층후는 약 $1\~10m$ 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