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ape varieties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26초

포도 유전체 연구현황 및 전망 (Current status and prospects of genomics and bioinformatics in grapes)

  • 허윤영;정성민;윤해근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2권4호
    • /
    • pp.298-311
    • /
    • 2015
  • 포도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재배되는 과수 작물 중의 하나로서 재배과정에서 많은 병해충이나 기상재해와 같은 스트레스에 직면한다. 과실의 고품질과 더불어 병충해 저항성인 품종 또는 내재해성 품종을 육성하는 것은 포도 생산에서 매우 중요한 과정이다. 고전적인 교배 육종을 이용한 신품종의 개발은 포장을 관리하는 데에 많은 노동력과 비용이 요구되며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유용형질을 지닌 새로운 품종의 개발에 이용할 분자육종기술은 포도 육종프로램에서 전통적인 교배육종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기술로 여겨진다. 포도의 유전체 해독을 완성함으로써 신품종육성에 활용될 유용유전자를 대량으로 발굴할 수 있고, 기능을 분석하는데 큰 도움을 주고 있다. 포도의 비교유전체, 전사체, 후성유전체, 유전체에 근거한 유전자 발굴, 분자마커 개발 등의 연구는 과실의 품질, 병해와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성 기작을 구명하는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고 포도 육종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다.

Identification of Acremonium acutatum and Trichothecium roseum isolated from Grape with White Stain Symptom in Korea

  • Oh, Soh-Young;Nam, Ki-Woong;Yoon, Deok-Hoon
    • Mycobiology
    • /
    • 제42권3호
    • /
    • pp.269-273
    • /
    • 2014
  • During 2010 and 2012 grape harvest seasons in Gyeonggi-do, Korea, a white stain symptom was observed on the harvested grape fruits in 'Campbell-Early' and 'Kyoho' varieties. In samples collected from the infected vine, two different strains of pathogenic fungi have been found and identified as Acremonium acutatum and Trichothecium roseum based on fungal morphology and nucleotide sequence of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and supported by the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rDNA-ITS region. The DNA homologies of the isolated strains were 99.8% and 99.6% identical with T. roseum (IFB-22133) and A. acutatum (CBS682.71), respectively. In the pathogenicity test, the spores of A. acutatum and T. roseum sprayed on the grapes caused white stain symptoms on the fruits in two weeks after the artificial inoculation, which is similar to observations in the field.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report of white stain symptoms caused by A. acutatum and T. roseum on the grapes in Korea.

Expression analysis of UDP-glucose:flavonoid 3-O-glucosyltransferase (UFGT) gene in an interspecific hybrid grape between Vitis ficifolia var. ganebu and Vitis vinifera cv. Muscat of Alexandria

  • Poudel, Puspa Raj;Goto-Yamamoto, Nami;Mochioka, Ryosuke;Kataoka, Ikuo;Beppu, Kenji
    • Plant Biotechnology Reports
    • /
    • 제2권4호
    • /
    • pp.233-238
    • /
    • 2008
  • Kadainou R-1, an interspecific hybrid grape derived from red (Vitis ficifolia var. ganebu) and white (V. vinifera cv. Muscat of Alexandria) grapes, accumulates high concentrations of anthocyanin in the berry skin. Hence, the expression of uridine 50 -diphosphate (UDP)-glucose:flavonoid 3-O-glucosyltransferase (UFGT), the key enzyme of the anthocyanin pathway, was examined in the berry skin of Kadainou R-1. As information on gene sequences of V. ficifolia var. ganebu and other wild grape species was unavailable, we performed GeneChip hybridization using biotin-labeled genomic deoxyribonucleic acid (DNA) to investigate how the genomic sequences of V. vinifera varieties and that of V. ficifolia var. ganebu differ. The study showed a lower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V. vinifera cultivars and V. ficifolia var. ganebu than that among V. vinifera cultivars. The sequences of the UFGT gene derived from both parents of the red and white cultivars were sequenced in Kadainou R1 and revealed that both were expressed irrespective of the fact that it was not expressed in the white grape (male parent).

포도 종실유의 지방질 성분 (Composition of Grape Seed Oil)

  • 유진영;신동화;민병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57-260
    • /
    • 1984
  • 포도가공시 얻어지는 부산물인 종실의 이용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하여 일반성분 및 종실지방질을 분석한 결과 일반성분은 총당 $2.78{\sim}5.13%$, 조단백질 $7.68{\sim}15.37%$, 석유에테르추출물 $11.31{\sim}16.96%$, 조회분 $1.81{\sim}2.91%$이었다. 포도종실지방은 $89.5{\sim}99.3%$의 트리그리세리드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방산은 주로 팔미트산$(6.7{\sim}9.1%)$, 올레산$(13.4{\sim}20.7%)$ 및 리놀레산$(68.1{\sim}78.1%)$으로 구성된 올레-리놀레산계 지방질이었다.

  • PDF

Identification of Host-Resistant and Susceptible Varieties of Korean Grapes to Plasmopara viticola, a Pathogen Causing Grapevine Downy Mildew

  • Marc Semunyana;Sun Ha Kim;Jiyoung Min;Soo-Min Lee;Sang-Keun Oh
    • 한국균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179-190
    • /
    • 2023
  • Grapevine downy mildew, caused by Plasmopara viticola, significantly damages vineyards and is one of the most devastating diseases affecting cultivated grapes worldwide. In this study, we characterized the phenotypic and molecular traits of 11 P. viticola isolates from four grape-growing regions in South Korea. Additionally, we investigated the diversity of pathogenicity among these isolates and conducted an assay to evaluate the response of grape cultivars to P. viticola infection. Lemon-shaped sporangia were identified in the collected isolates, which released zoospores into the suspension at room temperature. Within a few hours of inoculation, the zoospores developed germ tubes. We tested 11 P. viticola isolates for pathogenicity in 845 grape cultivars to screen for grape host resistance to downy mildew infection. Among the tested isolates, JN-9 showed the highest virulence. Grape cultivars displayed varying phenotypic reactions to P. viticola infection: approximately 7% were highly susceptible, 41% were susceptible, 20% were moderately susceptible, 8% were resistant, and 24% exhibited extreme resistance. Phylogenetic analysis based on four genomic regions (internal transcribed spacer 1 [ITS1], actin, beta-tubulin, and cytochrome c oxidase II) revealed a close evolutionary relationship among all the Korean isolates, forming a single monophyletic lineage. Notably, these isolates showed greater similarity to European isolates than to American isolates. This comprehensive study contributes to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identity and behavior of P. viticola, which is crucial for developing effective resistance strategies against this pathogen in grape cultivars cultivated in South Korea.

양조용(釀造用) 우량(優良)포도품종(品種) 선발(選拔)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y on the Selection of Wine Grape Varieties for High Yielding and Low Production Cost)

  • 이재창
    • 농업과학연구
    • /
    • 제2권1호
    • /
    • pp.187-197
    • /
    • 1975
  • 1. 다수성(多收性)이고 당함량(糖含量)이 높아 원료생산비(原料生産費) 저렴한 양조용(釀造用) 포도품종(品種)을 선발(選拔)하기 위하여 33품종(品種)을 공시(供試)하였다. 2. 구라파에서 육성(育成)한 대부분(大部分)의 양조용품종(釀造用品種)은 원산지(原産地)에서 보다 현저하게 당함량(糖含量)이 낮았다. 양조전용품종(釀造全用品種)은 당함량(糖含量)이 모두 17% 미만이었다. 3. 과방중(果房重)이 큰 품종은 Dattier(Ga), Golden Queen, Muscat Bailey A, Danored 등(等) 4품종(品種)이었다. 4. Juice율(率)은 60~90%의 범위로써 Himrod Seedless. Delaware(Ga), Fredonia가 가장 높았다. 5. 양조용품종(釀造用品種)은 생식용(生食用)에 비(比)하여 과방중(果房中) 종자(種子) 및 과경율(果梗率)이 높아 과육율(果肉率)이 떨어졌다. 6. 가장 수량(收量)이 높은 품종(品種)은 Muscat Baiely A이었고 다음이 Danored, Golden Queen이었다. 7. Juice 생산량(生産量)이 가장 높은것은 Campbell Early, Danored, Muscat Bailey A 및 Golden Queen이었다. 8. 포도주원료생산비(原料生産費)로 보아 양조용(釀造用)으로 유망한 품종(品種)은 적주용(赤酒用)은 Muscat Bailey A, Alden, Steuben, Danored, Campbell Early, S-1000 및 S-13053 등(等)이고 백주용(白酒用)은 Dattier de St-Vallier(Ga), Golden Queen 및 S-9110(Ga)등(等)이었다.

  • PDF

국내에서 재배한 포도 품종간의 이화학적 특성 비교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Different Grape Varieties Cultivated in Korea)

  • 안혁진;손홍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80-28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동일한 조건하에 온실 재배하여 수확한 7종의 포도를 선발하여 품종간의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포도의 당, pH, 총산도 등의 일반성분 분석과 HPLC를 이용한 유기산 분석, ICP-OES를 이용한 미네랄 분석을 실시하였다. 당도는 V. vinifera종이 V. labrusca종에 비해 $2-4^{\circ}Bx$ 정도로 높게 나타났고, Seibel 품종이 $20.93^{\circ}Bx$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pH는 Chardonnay 및 Seibel 등이 4.01로 가장 높았으며, 총산도는 Steuben, Merlot, Cabernet Sauvignon 등이 0.9-1.0%로 다른 품종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Tartaric acid의 함량은 Merlot 품종이 과육과 과피에서 가장 높았으며, Steuben, Kyoho 품종은 상대적으로 낮은 함량을 보였다. Malic acid의 경우 Chardonnay와 Seibel 등의 백포도 품종이 적포도 품종에 비해 높은 함량을 보였다. Citric acid의 함량은 과육과 과피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관찰할 수 없었고, Chardonnay와 Campbell Early의 과피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미네랄 함량 중 potassium은 전체 미네랄 중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고, Chardonnay와 Seibel 등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Steuben과 Campbell Early 등이 낮게 검출되었다. Calcium의 함량은 Kyoho 포도 품종이 가장 높았고, Magnesium의 함량은 Chardonnay가 가장 높았으며, Sodium의 함량은 Chardonnay, Seibel 등이 높게 나타났다. Chardonnay와 Seibel은 Calcium을 제외한 전체 미네랄 함량에서 모두 높은 수치로 검출되었다.

봄철 포도 신초 저온 피해 양상과 품종별 전엽기 내한성 비교 (Spring Shoot Damage and Cold Hardiness of Grape in Different Varieties and Phenological Stages)

  • 이동용;류수현;정재훈;한점화;조정건;이슬기;장시형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59-367
    • /
    • 2023
  • 포도는 국내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도 중요도가 높은 과수 중 하나이다.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생물계절 단계의 변화와 이상저온 발생은 봄철 포도 신초 피해의 발생가능성을 높이고 있으며, 안정적인 포도 생산에 위협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저온에 의한 발아기부터 초기 전엽기까지의 생물계절단계별 신초의 피해 정도와 수체 내 당 함량의 관계를 알아보고, 우리나라 주요 품종인 '캠벨얼리', '거봉', '샤인머스켓' 품종의 전엽기 기준 내한성 비교를 위해 수행하였다. 포도 '캠벨얼리'의 생물계절단계별 LT50 추정을 통한 내한성 평가 결과, 발아기부터 4매 전엽기까지 생물계절단계가 진행될수록 내한성은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각 기관별 당함량은 신초 정단, 화수, 줄기에서 마찬가지로 지속적인 감소가 두드러졌다. 따라서 신초의 내한성 감소는 당 함량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국내 주요 품종인 '캠벨얼리', '거봉', '샤인머스켓'의 전엽기 내한성 비교 결과, 전체 당 함량이 가장 높은 샤인머스켓이 가장 낮은 LT50을 보여 가장 높은 내한성을 나타내었다. 그 다음으로는 '거봉', '캠벨얼리' 순이었다. 내한성은 품종마다 다르지만 이는 절대적이지 않으며 생물계절단계에 따라서도 변화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시설포도 농가의 가온시기 변화에 미치는 요인 분석 (Analysis of Factors for Heating Period Changes among Greenhouse Grape Farms)

  • 최돈우;임청룡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209-214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한 칠 FTA 이후 시설포도 재배농가들이 가온시기를 늦추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2004년부터 2016년까지 작형 변화 패널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패널로지스틱모형에 대한 분석결과 시설포도 재배면적에 대한 추정계수는 0.0002로 10% 유의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 포도 수입량에 대한 추정계수는 1.4258로 1% 유의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역더미에 대한 추정계수는 0.808로 5% 유의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재배면적이 많은 농가일수록, 포도 수입량이 증가할수록, 상대적으로 추운 중북부지역일수록 가온시기를 뒤로 미루게 될 확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에서는 포도의 수입량 증가로 인한 시설포도농가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 FTA 피해보전직접지불 폐업지원을 하고 있어 시설포도농가의 피해를 다소나마 줄일 수 있지만, 이것은 궁극적인 대책이 되지는 않을 것이다. 포도 소비변화에 적절하게 대응하기 위해서는 품종 갱신, 가온비용 절감을 위한 농자재 지원, 비닐하우스 시설현대화를 통한 에너지 효율 증대 및 비용 절감 등의 다양한 지원책이 필요할 것이다.

한국산(韓國産) 포도의 과즙성분(果汁成分)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Grape Juices in Korea)

  • 김성열;최우영;강진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72-80
    • /
    • 1970
  • 1969년도(年度) 한국산(韓國産) 포도과즙중(果汁中)에 일반성분(一般成分)을 조사(調査)하는 동시(同時)에 Paper chromatography법(法)에 의(依)하여 유리(遊離)Amino산(酸) 및 당(糖)을 동정(同定)하여 다음 결과(結果)를 얻었다. 1. 한국산(韓國産) 포도과즙(果汁)은 외국(外國)의 그것에 비(比)하여 당(糖)및Amino-N의 함량(含量)이 다소(多少) 떨어지고 산함량(酸含量)이 많았으며 Tannin의 함량(含量)에 있어서는 별차(別差)가 없었다. 2. 안양지방산(安養地方産) Campbell Early 과즙(果汁)은 대전(大田) 및 포항지방산(浦項地方産)의 것에 비(比)하여 당(糖) Amino-N 및 Tannin의함량(含量)이 다소(多少) 많았고 산(酸)의 함량(含量)이 적었다. 3. 공시(供試) 포도과즙중(果汁中)에서 동정(同定)된 21개(個)의 Amino산(酸)과 그 출현빈도(出現頻度)는 다음과 같았다. Aspartic acid, Serine, Glycine, asparagine, lysine, arginine, threonine, alanine \gamma-amino butyric acid, valine, leucine, proline (11개품종(個品種)), glutamine, tyrosine(10), cystine(9), glutamic acid, Hydroxyproline(8), isoleucine(4), phenylalanine, unknown(3) 4. Alanine의 함량(含量)이 전품종(全品種)에서 가장 많았고 다음이${\gamma}-amino$ butyric acid이며 Arginine, Valine, Leucine, Proline, Glutamine, Threonine의 순서(順序)로 많았다. 5. 동정(同定)된 총(總) Amino산수(酸數)는 Delaware(Anyang)(20種), Black Hamburg, Schuyler(19), Campbell Early, Delaware(seedless, Taejon), Alden(18), Niagara(17), Muscat Hamburg(16), Golden Muscat(15)의 순(順)이었다. 6. 동정(同定)된 필수(必須) Amino산수(酸數)는 Delaware(Anyang) 및 Black Hamburg가 6종(種)으로 가장 많고 Campbell Early(Anyang), Niagara, Muscat, Hamburg가 5종(種) 이었으며 그 외(外)의 품종(品種)은 4종(種) 이었다. 7. 포항(浦項), 대전(大田), 안양지방산(安養地方産) Campbell Early과즙중(果汁中)에서 同定된 Amino酸數는 18個로서 같았으나 Hydroxrproline은 전이자(前二者)에서만 나타나고 안양산(安養産)에서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Iso-leucine은 이의 반대(反對)였다. 8. 과즙중(果汁中)의 유리당(遊離糖)은 Glucose와 Fructose뿐이었고Sucrose는 동정(同定)되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