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grammar checker

Search Result 23,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Improving Recall for Context-Sensitive Spelling Correction Rules Through Integrated Constraint Loosening Method (통합적 제약완화 방식을 통한 한국어 문맥의존 철자오류 교정규칙의 재현율 향상)

  • Choi, Hyunsoo;Yoon, Aesun;Kwon, Hyukchul
    • KIISE Transactions on Computing Practices
    • /
    • v.21 no.6
    • /
    • pp.412-417
    • /
    • 2015
  • Context-sensitive spelling errors (CSSE) are hard to correct, since they are perfect words when analyzed alone. Determined only by considering the semantic and syntactic relations of their context, CSSEs affect largely the performance of spelling and grammar checkers. The existing Korean Spelling and Grammar Checker (KSGC 4.5) adopts a rule-based method, which uses hand-made correction rules for CSSEs. Using rule-based method, the KSGC 4.5 is designed to obtain the very high precision, which results in the extremely low recall. In this paper, we integrate our previous works that control the CSSE correction rules, in order to improve the recall without sacrificing the precision. In addition to the integration, facultative insertion of adverbs and conjugation suffix of predicates are also considered, as for constraint-loosening linguistic features.

Improving of the Correction Methods for a Korean Spell/Grammar Checker (한국어 철자 검사기의 교정기법 개선)

  • 김광영;남현숙;박수호;박진희;권혁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Conference
    • /
    • 2000.06a
    • /
    • pp.89-94
    • /
    • 2000
  • 본 논문은 부산대 철자 검사/교정기의 기존 성능을 보완하고 기능을 추가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웹 문서, 신문 등을 통해서 사용자들이 자주 틀리는 오류 단어에 대해서 오류 유형을 분류했다. 이 결과를 철자 검사 및 교정 시스템에 적용하여 교정기법 개선을 통하여 띄어쓰기 교정 기능을 향상 시켰다. 이렇게 새로 구현한 시스템과 이전 시스템의 성능을 실험을 통해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진행하면서 발견한 문제점과 한계를 이후 더 발전 해야할 과제로 고찰하고 결론을 맺는다.

  • PDF

The Detection and Correction of Context Dependent Errors of The Predicate using Noun Classes of Selectional Restrictions (선택 제약 명사의 의미 범주 정보를 이용한 용언의 문맥 의존 오류 검사 및 교정)

  • So, Gil-Ja;Kwon, Hyuk-Chul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8 no.1
    • /
    • pp.25-31
    • /
    • 2014
  • Korean grammar checkers typically detect context-dependent errors by employing heuristic rules; these rules are formulated by language experts and consisted of lexical items. Such grammar checkers, unfortunately, show low recall which is detection ratio of errors in the document. In order to resolve this shortcoming, a new error-decision rule-generalization method that utilizes the existing KorLex thesaurus, the Korean version of Princeton WordNet, is proposed. The method extracts noun classes from KorLex and generalizes error-decision rules from them using the Tree Cut Model and information-theory-based MDL (minimum description length).

Improvement of Korean Grammar Checker Using Partial Parsing based on Dependency Grammar and Disambiguation Rules (어휘적 중의성 제거 규칙과 부분 문장 분석을 이용한 한국어 문법 검사기 성능 향상)

  • So, Kil-Ja;Nam, Hyeon-Sook;Kim, Su-Nam;Won, Sang-Yeon;Kwon, Hyuck-Chul;Park, Dong-I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8.10c
    • /
    • pp.253-260
    • /
    • 1998
  • 한국어 문서에는 여러 어절을 검증해야만 처리할 수 있는 의미 오류와 문체 오류가 있다. 다수 어절 사이에 있는 오류는 부분 문장 분석을 한다. 논문에서는 의미 오류와 문체 오류를 처리할 때 어휘적 중의성 때문에 생기는 문제점을 제시하고 해결방법을 제안한다. 어휘적 중의성이란 한 단어가 두 가지 이상의 형태소 정보를 가짐을 뜻한다. 철자검사기와는 달리 문법 검사기에서는 어휘적 중의성을 제거하지 않으면 여러 가지 검사 오류가 발생한다. 이 논문에서는 의미, 문체 시스템에서 어휘적 중의성 때문에 검사 오류가 발생할 수 있는 과정을 크게 세 단계로 분류하였다. 연어 오류가 발생할 수 있는 검사단어가 어휘적 중의성을 가지면 표제어가 다른 규칙이 여러 개 존재한다. 이 때 규칙 선택 문제가 생긴다. 중의성 문제는 부분 문장분석 과정에서도 지배소와 의존소 사이의 의존관계를 정확하게 설정하기 어렵게 한다. 본 논문에서는 각 단계에서 발생한 문제를 최소화하여 문법 검사기의 성능을 향상시킨다.

  • PDF

Implementation of Knowledgebase and Grammar Checker Based on Asymmetric Relationship (비대칭 관계에 기반한 지식베이스와 문법 검사기 구현)

  • Kang, Mi-Young;Lim, Sung-Shin;Kwon, Hyuk-Chul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2.10e
    • /
    • pp.147-154
    • /
    • 2002
  • 이 논문은 한국어 문서 교정을 위해 부산대학교 인공지능 연구실에서 개발되고 있는 맞춤법 및 문법 검사기와 그 지식베이스 구축에 대해 알아본다. 비대칭 관계(asymmetric relation) 설정과 더불어 개발된 문법 검사기는 한 문장의 임의의 두 요소간의 비대칭 관계를 토대로 (1) 잠재적 지배관계 개념을 설정하고 (2) 부분 문장 분석 방법을 사용한다. 이런 요소들을 효율적으로 운영하는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한국어에 대한 이해와 경험적 자료를 적절히 조화시킨 지식베이스 구축이 필수적이다. 이 논문은 그 선수(先手) 작업으로 한국어 문서의 오류들을 관찰하고, 그로부터 추출한 언어적이거나 언어 외적인 요소들로부터 일반적 패턴을 뽑아내어 사용자의 기대를 만족시키기 위한 적절한 규칙지식베이스를 구축하고 문법 검사기의 성능 향상을 위해 문장 분석 출발점과 분석방향 그리고 분석범위를 한정한다.

  • PDF

Improving of the Correction Methods for a Korean Spell/Grammar Checker (한국어 철자 검사기의 교정기법 개선)

  • Kim, Kwang-Young;Nam, Hyeon-Sook;Park, Su-Ho;Park, Jin-Hee;Gwon, Hyeok-Cheol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0.10d
    • /
    • pp.89-94
    • /
    • 2000
  • 본 논문은 부산대 철자 검사/교정기의 기존 성능을 보완하고 기능을 추가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웹 문서, 신문 등을 통해서 사용자들이 자주 틀리는 오류 단어에 대해서 오류 유형을 분류했다. 이 결과를 철자 검사 및 교정 시스템에 적용하여 교정기법 개선을 통하여 띄어쓰기 교정 기능을 향상 시켰다. 이렇게 새로 구현한 시스템과 이전 시스템의 성능을 실험을 통해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진행하면서 발견한 문제점과 한계를 이후 더 발전 해야할 과제로 고찰하고 결론을 맺는다.

  • PDF

A Korean Grammar Checker using Lexical Disambiguation Rule and Partial Parsing (어휘적 중의성 제거 규칙과 부분 문장 분석을 이용한 한국어 문법 검사기)

  • So, Gil-Ja;Gwon, Hyeok-Cheol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28 no.3
    • /
    • pp.305-315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우리말 문서에 있는 오류를 어절 단위로 검증하는 철자 오류와 여러 어절을 분석해야 처리할 수 있는 문법 오류로 분류하였다. 문법 오류를 처리할 때 전체 문장 분석은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구현하기 어려우므로 대부분 부분 문장 분석 방법을 이용한다. 기존 연구에서 사용한 부분 문장 분석은 분석 어절에 어휘 중의성이 있을 때 문장 분석 종결 또는 과분석 등의 오류가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문법 검사기에서 어휘 중의성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법으로 어휘 중의성 제거 규칙을 사용한다. 본 논문에서 구현한 어휘 중의성 제거 모듈은 코퍼스 데이타에서 얻은 경험적 규칙을 기반으로 한다. 이 경험적 규칙은 언어적 지식을 기반으로 한다.

  • PDF

A Study on Generalization of Semantic Error Detection Rules in a Grammar Checker for Korean Using Korean WordNet 『KorLex』 (한국어 어휘의미망을 활용한 의미 오류 검사 규칙 일반화 연구)

  • So, Gil-Ja;Kwon, Hyuk-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0.11a
    • /
    • pp.640-643
    • /
    • 2010
  • 영어권에서는 통계적 기반 의미 오류 검사기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었으나 한국어에서는 자주 나타나는 오류를 중심으로 오류 단어를 검사할 문맥이나 공기정보를 갖는 규칙 기반의 연구가 이루어져왔다. 본 논문에서는 표제어나 사전 기반 범주화 정보로 표현되고 있는 기존 문법 검사기의 성능을 개선하는 방안으로 한국어 명사 어휘 의미망인 KorLex를 활용하는 방법을 연구한다. 특히, 용언은 목적어나 주어에 사용되는 명사의 표제어가 의미 제약 조건으로 사용되는 예가 많다. 본 논문에서는 용언의 의미 제약 조건을 명사 표제어 단위에서 명사 의미 그룹(class) 단위로 확대하여 문법 검사기의 의미 오류 검사 규칙의 의미 오류 제약 조건을 일반화 하는 방안을 연구한다.

Effect of Using QuillBot on the Writing Quality of EFL College Students

  • Hye Kyung Kim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v.11 no.4
    • /
    • pp.42-47
    • /
    • 2023
  • The majority of research on Automated Writing Evaluation (AWE) programs has focused primarily on Grammarly, whereas QuillBot and its use in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EFL) classrooms remains limitedly explored.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using QuillBot on the writing quality of college students. A total of 26 participants took pre- and post-writing tests, and four analytical tools were applied to assess their writing quality in terms of syntactic complexity, lexical diversity, lexical richness, and readability. Results of the syntactic complexity analysis across the four indices demonstrates that the syntactic complexity of EFL writing increased significantly, and substantial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lexical richness and readabil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QuillBot can compensate for the drawbacks of Grammarly and assist EFL writers in improving their overall writing quality.

Context-sensitive Word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for Automatic Scoring System of English Writing (영작문 자동 채점 시스템을 위한 문맥 고려 단어 오류 검사기)

  • Choi, Yong Seok;Lee, Kong Joo
    •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 /
    • v.4 no.1
    • /
    • pp.45-56
    • /
    • 2015
  • In this paper, we present a method that can detect context-sensitive word errors and generate correction candidates. Spelling error detection is one of the most widespread research topics, however, the approach proposed in this paper is adjusted for an automated English scoring system. A common strategy in context-sensitive word error detection is using a pre-defined confusion set to generate correction candidates. We automatically generate a confusion set in order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sentences written by second-language learners. We define a word error that cannot be detected by a conventional grammar checker because of part-of-speech ambiguity, and propose how to detect the error and generate correction candidates for this kind of error. An experiment is performed on the English writings composed by junior-high school students whose mother tongue is Korean. The f1 value of the proposed method is 70.48%, which shows that our method is promising comparing to the current-state-of-the a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