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ain weight

검색결과 1,171건 처리시간 0.033초

시설재배 후작 벼 재배를 위한 친환경적 시비 기술 (Method of Environmental-Friendly Fertilization for Rice Cultivation after Vegetable Copping in Green House Soil)

  • 전원태;이재생;박기도;박창영;노석원;양원하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91-197
    • /
    • 2005
  • 본 시험은 영남지역 과채류 등의 시설재배지 후작으로 벼 재배시 합리적인 시비법에 대한 체계를 확립하여 농자재 절감, 각종 재해 방지 및 수질오염 방지 등을 통한 환경 농업의 기초자료 얻고자 시험을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시험 후 토양의 화학적 특성은 시험전 토양에 비하여 pH, 유효인산, 치환성 칼리는 감소하였으나 유기물은 큰 차이가 없는 경향이었고 EC로부터 산출한 제염의 정도인 제염률은 기비생략구가 높은 경향이었다. 주요시기별 토양 중 $NH_4-N$의 변화는 '98년보다 '99년도가 다소 높은 경향이었다. 시비량이 많을수록 높았다. 주요시기별 초장과 경수의 변화도 토양 $NH_4-N$과 동일한 경향이었다. 수확기 벼 식물체의 T-N은 '98년도에 일정한 경향이 없었고, '99년도에는 시비량이 많을수록 높은 경향이었다. 수량 및 수량구성요소는 '99년에 천립중이 높았고 수당립수도 많은 경향이었다. 수량은 '98년엔 처리간 차이가 없었다. '99년도에는 관행구에서 높은 경향이었다. 시비 질소 이용률은 '98년에는 기비 생략구에서 높았고 '99년도는 관행구에서 높은 경향이었다. 따라서 당해연도에 시설원예작물이 재배된 경우에 후작으로 벼 재배시 기비생략 등의 감비재배법이 비료절감, 수질오염 경감, 안정적 수량 확보 등의 이점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벼 재배 2년차부터는 관행시비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야생대두단백질(野生大豆蛋白質)의 전기영동유형(電氣泳動類型)및 아미노산조성(酸組成)에 관(關)한 연구(硏究)[1] -종실단백질(種實蛋白質)의 Acrylamide gel 전기(電氣) 영동유형(泳動類型)- (Studies on electrophoretic pattern and amino acids of wild soybean protein[1] -Acrylamide gel electrophoretic pattern of seed protein-)

  • 박훈;이종석;이춘영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0권2호
    • /
    • pp.247-254
    • /
    • 1977
  • 야생대두(野生大豆)(Glycine ussuriensis, 13개(個) 국내수집종(國內蒐集種)) 종실단백질(種實蛋白質)의 acylamide gel 전기영동양상(電氣永動樣相)을 Glysin gracilis 및 광교(光敎)(G. max)와 비교(比較)하였다. 야생대두(野生大豆)의 단백질함량(蛋白質含量)은 평균(平均) 50%로 gracilis (46%)나 광교(光敎)(45%)보다 높았으며 종실중(種實重)(2.1g/100립(粒))은 gracilis의 1/3, 광교(光敎)의 1/9이었다. 전기영동(電氣泳動)된 단백대(蛋白帶)는 야생대두(野生大豆)에서 총(總)16개(個)였으며 이중 3개(個)($R_m$ 0.09, 0.59 및 0.84)는 86개(個)의 재배대두(栽培大豆)에서 발견(發見)되지 아니한 야생대두고유대(野生大豆固有帶)였다. 재배대두(栽培大豆)는 17개단백대중(個蛋白帶中) 4개(個)의 고유대(固有帶)($R_m$ 0.35, 0.45, 0.50, 및 0.77)를 갖으며 gracilis는 광교(光敎)가 갖는 모든 단백대외(蛋白帶外)에 2개대(個帶)를 더 갖는데 그 중하나가 야생대두고유(野生大豆固有)의 것이어서 중간형(中間型)임을 나타내고 있다. 야생대두(野生大豆)의 1개단백대중(個蛋白帶中) 제3대(第3帶)(32%)가 가장크고 다음의 제1대(第1帶)(28%) 및 제5대(第5帶)(13%)로 이들이 양적(量的)으로 주대(主帶)를 이루었다. 전기영동양상(電氣泳動樣相)은 정성적(定性約)으로 4군(群), 반정량적(半定量的)으로 6군(群), pattern similarity법(法)이나 상관도법(相關度法)으로는 기준(基準)에 따라 $2{\sim}4군(群)으로 분류(分類)되었으며, 이들 방법(方法)은 속리산(俗離山) 채집종(採集種)을 별개군(別個群)으로 분리(分離)하는 것만 동일(同一)하였으나 상관도법(相關度法)이 가장 좋을 것으로 보였다. 종실단백질함량(種實蛋白質含量)은 영동양상(泳動樣相)과는 무관(無關)하였으며 다만 제1단백대(第1蛋白帶中)(28%)다만 5%수준(水準)에서 유의정상관(有意正相關)을 보여 종실단백질(種實蛋白質) 함량결적(含量決的)에 중요역할(重要役割)을 하는 것으로 보였다.

  • PDF

절수의 시기 및 방법의 차이가 수도생육 수량과 기타 실용형태질 미치는 영향 (The Study on the Effects of the Economical Use of Irrigation Water by Different Irrgation Periods and Its Methods on the Growth, Yield and the Factors of Rice Plants.)

  • 이창구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388-1393
    • /
    • 1968
  • 본(本) 실험(實驗)은 관개방법(灌漑方法)을 합리화(合理化)시키고 관개수(灌漑水)를 절약(節約)하는 방법(方法)으로 절수(節水)의 정도(程度) 및 절수시기(節水時期)가 수도수량(水稻收量) 및 그 구성요소(構成要素)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하였으며 그 시험결과(試驗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토양(土壤)의 이화학적(理化學的) 성질(性質)에 별차(別差)를 볼 수 없었으며 관개수질(灌漑水質) 기타(其他) 기온(氣溫) 강우(降雨) 등(等) 모든 값이 각처리구간(各處理區間) 동질(同質)이었다. 2. 벽간중(蘗稈重)은 절수정도(節水程度) 처리구간(處理區間)에만 유의성(有意性)을 보였으며 보통구(普通區)가 좋았다. 3. 밑다짐 효과는 토양(土壤)의 보수력(保水力)이 좋아 물이 절약(節約)되었으며 모든 생육(生育)은 물론(勿論) 수량(收量)에도 33.1%, 17.8%의 증수(增收)를 보였다. 더욱이 30cm의 경토(耕土) 밑에 6cm의 밑다짐을 하였던바 이것은 다수확(多收穫)에도 사질토양(砂質土壤)의 개량(改良)에도 좋은 방법(方法)이다. 4. 수량(收量)에 있어서 표(表) 10,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밑다짐 절수구(節水區) 33.1%, 밑다짐 극절수구(極節水區) 17.8%, 밑다짐 보통구(普通區) 17.8%의 증수(增收)와 절수구(節水區) 17.2%, 극절수구(極節水區) 5.8%의 순서(順序)의 증수(增收)의 효과를 보였다. 5. 일주수수(一株穗數)와 일주입수(一株粒數)의 변이(變異)는 심(甚)하지 않았으나 절수(節水)의 정도(程度) 처리구(處理區)에서는 절수구(節水區), 극절수구(極節水區), 보통구(普通區)의 순서(順序)였으며 시기(時期)에 따른 효과는 초기(初期), 중기(中期), 후기(後期), 상시(常時)의 순서(順序)로 차이(差異)가 있어 수량(收量)에 미치는 효과의 차이(差異)가 있었다. 6. 적당(適當)히 절수(節水)를 하면 관개수량(灌漑水量)에 있어서 전량(全量)의 1/3이 절약(節約)되어 저수지(貯水池) 사용(使用)에 있어서는 동일저수량(同一貯水量)으로써 관개기간(灌漑期間)이 연장(延長)되어 어느 정도(程度)의 조발(早魃)에도 그 해(害)를 극복(克服)할 수 있고 양수(揚水機利用)에 있어서는 혼영비(渾營費)가 절약(節約)될 것이다. 수량(收量)에 있어서는 어느 것이나 10% 이상(以上)의 증수(增收)를 보이고 있다. 7. 만일(萬一) 답지대(沓地帶)가 삼투(渗透), 누수(漏水)가 (甚)심해서 보수력(保水力)이 판(板)히 낮으면 여기에다 점토(粘土)로써 밑다짐을 시행(施行)하면 그의 보수력(保水力)이 커지고 따라서 종래(從來)의 관개수량(灌漑水量)을 반감(半減)해도 족(足)할 것이며 (2 l/sec 이상(以上)을 1 l/sec로 함) 수량(收量)에 있어서 막대(莫大)한 증수(增收)를 얻게될 것이다.

  • PDF

산업폐기물(産業廢棄物)로 발생(發生)되는 석탄회(石炭灰)의 토질력학적(土質力學的) 특성(特性)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Engneering Properties of Coal Ash Obtained as Industrial Wastes)

  • 천병식;고용일;오민열;권형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115-123
    • /
    • 1990
  • 본(本) 연구(硏究)는 국내(國內) 8개 화력발전소중(火力發電所中) 영동(領東), 영월(寧越), 서천(舒川) 무연탄(無煙炭) 및 삼천포(三千浦), 호남유연탄(湖南有煉炭) 등 5개 화력발전소(火力發電所)에서 부산(富産) 되는 석탄회(石炭灰)에 대하여 건설재(建設材)로서의 활용성(活用性)에 대해 검토(檢討)하고자 화학분석(化學分析), 토질역학시험(土質力學試驗), 지반진동시험(地盤振動試驗) 등을 실시(實施)한 것이다. 석탄회(石炭灰)는 실리카와 알루미나가 약 70%를 차지하고 입도(粒度)는 비회(飛灰)가 fine sand-silt범위(範圍)에 대부분(大部分) 속하고 균등(均等)한 편 이며 저회(底灰)는 sand-gravel 범위(範圍)에 속한다. 비중(比重) 및 단위체적중량(單位體積重量)이 작고 포졸란반응에 의한 자경성(自硬性)이 있어서 장기강도(長期强度)가 증대되며 일반흙에 비해 전단강도가 크다. 무연탄회(無煙炭灰)는 유연탄회(有煙炭灰)에 비해 점착력(粘着力) 및 최적함수비(最適含水比)는 높으나 최대건조밀도(最大乾燥密度)는 낮다. 석탄회(石炭灰)의 동탄성계수곡선분포범위(動彈性係數曲線分布範圍)는 화강토(花岡土)의 것과 비슷하며, 자동차주행(自動車走行)에 의한 진동시험(振動試驗)에 의하면 상대적(相對的) 가속도(加速度)레벨의 크기는 회사장(灰捨場)의 경우가 자연지반(自然地盤)의 경우 보다 다소 크고 감쇠효과(減衰效果)는 적음을 알 수 있었다. 영동, 영월 저회(底灰)의 CBR은 77-137%가 되는 등 석탄회(石炭灰)는 동일입경의 일반흙에 비해 여러 가지 유리한 공학적(工學的) 특성(特性)을 갖고 있어서 앞으로 다소의 보완연구(補完硏究)가 이루어 지면 해안매립(海岸埋立) 성토재(盛土材) 및 도로보장재(道路輔裝材)는 물론 경량골재(經量骨材) 등 일반건설재(一般建設材)로서의 활용(活用)이 기대(期待)된다.

  • PDF

벼 재배양식에 따른 유효성 비료의 시용량이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low-release Fertilizer Levels of Rice in Different Cultural Methods)

  • 정진일;최원영;최민규;이선용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747-756
    • /
    • 1995
  • 본 시험은 호남영농시험장 수도포장인 미사질토양에서 만금벼를 공시하여 건답직파재배와 어린모기계이앙 재배에서 완효성 비료와 속효성 비료 시용시 재배유형별 적정시비량과 생육특성을 비교 검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완효성 비료시용은 시용 후 토양에 인산과 양이온 함량 및 C.E.O. 함량이 다량 잔존하였다. 2. 재배유형간 간장과 경수는 완효성 비료가 건답직파보다 어린모기계이앙재배에서 초기생육을 더욱 조장시켰고 같은 질소 시비량에 속효성 비료를 기비에 20% 추가 시용한 것이 재배유형 모두 우수하였다. 3. 건물중비율(출수기)은 어린모기계이앙이 건답직파보다 그리고 속효성 시료가 완효성 시료보다 높았으며 속효성 100% 또는 완효성 100% 시용보다는 완효성 80% + 속효성 20% 추가구가 건물 중비율이 높았다. 4. 엽면적지수(출수기)는 속건성 비료에서는 건답직파보다 기계이앙재배가 높았으나 완효성비료에서는 건답직파가 높았으며, 비종별 엽록소함량은 완효성 비료가 속효성 비료보다 높게 함유하였으며 생육시간별로 보면 속효성 비료는 분얼기와 유수형성기에는 큰 차가 없었고 출수기에 가장 많이 함유하였으며 출수이후에 급격한 감소를 보였으나 완효성 비료는 속효성 비료와는 달리 분얼기에도 높았고 유수형성기에서 보다 많이 함유하였으며 출수이후 황열기까지 완만한 감소를 보였던 바 두 재배유형이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5. 출수기는 건답직파가 기계이앙보다 2일 지연되었고 관행(속효성 100%이앙 어린모기계이앙)대비 완효성 비료는 어린모기계이앙에서는 2∼3일, 건답직파에서는 4∼5일이 지연되었고 간장은 속효성 비료에서는 기계이앙이, 완효성 비료에서는 건답직파가 컸다. 6. m 당 수수는 건답직파에서 많았고, 완효성 비료에서 많았으며 등숙율은 기계이앙재배가 건답직파보다, 속효성 비료가 완효성 비료보다 높았다. 7. 수량은 실행(516kg/10a)대비 속효성 비료의 100%와 80% 수준에서는 건답직파가 101%와 100% 그리고 어린모기계이앙은 80% 시비에서 6% 감수되었으며, 완효성 비료에서는 건답직파에서는 2∼4%, 기계이앙에서는 0∼3%의 증수를 보였다. 각 재배유형별 시비량간의 수량 순위는 기계이앙재배에서는 100% =80% + 20% > 100% + 20% > 80% 순이었고, 건답직파에서는 80% + 20% > 100% > 80% =100% + 20% 순으로 완효성 비료를 20% 감비시 속효성 비료 20% 추가구가 수량이 높았다.

  • PDF

대두엽면적의 간이측정법 (Measurement of Leaf Area of Soybeans)

  • 장권열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93-95
    • /
    • 1968
  • 대두의 엽면적은 수량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고 그의 간이측정법은 매우 의의 깊은 일이므로 포장에서 생체대로엽면적을 측정할 수 있도록 간이측정법을 고안하였다. 대두의 3개품종 감안, 동산 006, patten을 재료로 절위별로, 규소엽과 측소엽별로 엽면적과 엽장, 최대엽폭과의 관계를 조사, 실험하였으며 총공시엽수는 2246매이었다. 대두의 규소엽의 면적은 (엽장${\times}$ 최대엽폭)${\times}$0.658, 측소엽의 면적은 (엽장 ${\times}$ 최대엽폭)${\times}$ 0.683에 의해서 구할수 있음을 알았다. 즉, 규소엽장에 최대엽폭을 곱한 적에 수수 0.683를 곱합음로써 전처리구에서 planimeter에 의한 엽면적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고 이때의 상관계수 r의 평균은 0.994이었다. 그리고 측소엽장에 최대엽폭을 곱한 적에 계수 0.683을 곱함으로써 전처리구에서 planimeter에 의하여 구한 엽면적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고 또한 상관계수 r의 평균은 0.996이였다. 이방법에 의하면 시간과 노력을 크게 절감시킬수 있을 뿐만아니라 생체대로 쉽게 엽면적을 구할수 있는 이점이 있다.

  • PDF

전북지역 간척지에서 최고품질 벼 품종의 작물학적·이화학적 특성 비교 및 선발 (Evaluation of Various Characteristics of High Quality Rice Varieties That Could Potentially be Grown on Reclaimed Land in Jellabuk Province, Korea)

  • 최창학;김갑철;이덕렬;조승현;조대호;이송이;이인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3권3호
    • /
    • pp.196-204
    • /
    • 2018
  • 현재까지 최고품질 벼 품종은 수광벼를 포함하여 15개 품종이 육성되었다. 본 연구는 이 중 전북지역 적응 품종(7개)을 대상으로 간척지에 적합한 품종을 선발하기 위해 생육특성, 수량, 품질 및 식미치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출수기는 2년 평균 수광벼가 가장 8월 12일로 가장 빨랐고, 영호진미의 분얼수는 2년 동안 평균 19개로 편차가 없어 재배 안전성이 우수하였다. 간장은 2년 평균 수광벼가 81.8 cm로 가장 컸고 수장은 현품벼가 가장 컸다. 2. 포장도복, 깨시무늬병, 잎짚무늬마름병 및 기타 병해충도 모든 품종에서 2년간 관찰되지 않았다. 3. 등숙률은 2015년에 수광벼가 가장 높았지만 2016년 및 2년 평균은 품종간 차이가 없었다. 천립중은 신동진벼가 2년 평균 27.7 g으로 가장 높았고, 6개 품종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수당립수는 2015년에 신동진벼가 가장 많았고 2016년에는 호품벼 및 수광벼가 많았다. 그러나 2년 평균값은 품종별 차이가 없었다. 수량은 2년 평균은 신동진벼(590) > 호품벼(575) > 영호진미벼(552) > 수광벼(551) > 호품벼(543) > 미품벼(534) > 해품(498 kg/10a)순으로 높게 조사되었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호품벼의 연 차간 수량 차이가 108 kg/10a로 가장 컸고 영호진미벼(12 kg/10a), 미품벼(20 kg/10a) 및 수광벼(24 kg/10a)의 연차간 수량차이가 상대적으로 적어 재배 안정성을 보였다. 2년간 천립중, 수당립수 및 수량의 평균값에 대해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천립중 차이가 수량 차이의 직접적인 원인인 것으로 확인되었다(p < 0.05). 4. 2015년에 완전립 비율은 미품벼, 영호진미벼, 해품벼, 현품벼 및 신동진벼가 유의성 있는 증가를 보였고, 2016년에는 영호진미벼의 완전립 비율이 가장 높았다. 그러나 2년 평균값은 품종들간 유의성이 없었다. 단백질 함량은 2015년에는 영호진미벼, 2016년에는 해품벼에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으나 2년 평균값은 차이가 없었다. 아밀로스 함량은 수광벼의 2년 평균값이 가장 낮았으나 다른 품종들과 유의성은 없었다. 토요식미계의 값은 미품벼 및 수광벼 순으로 높았다. 5. 따라서 수량 및 완전미율 연차간 변이, 단백질 및 아밀로스 함량, 토요식미치를 기준으로 평가했을 때 전북지역 간척지 적합 품종은 수광벼로 판단된다.

유색미 도입 유전자원의 생육 및 품질특성 변이 다변량 분석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tion of Growth and Quality Characteristics in Colored Rice Germplasm)

  • 박종현;이지윤;전재범;유오종;손은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3권3호
    • /
    • pp.175-185
    • /
    • 2018
  • 우리나라에 도입된 유색미 유전자원 178점의 생육 및 품질특성 변이를 평가하고 주성분 분석을 통해 유전자원을 분류하여 벼 육종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1. 도입 유색미 유전자원 178점의 변이계수는 이삭길이, 단백질 함량이 가장 높았고, 장폭비, 천립중, 간장, 아밀로스 함량 순으로 높았고, 수량구성요소인 주당수수가 가장 낮았다. 2. 유색미 유전자원의 생육 및 품질특성에 대한 주성분 분석 결과, 각 주성분의 고유값과 기여율은 제1주성분 2.06개, 29.49%, 제2주성분 1.31개, 18.75%, 제3주성분 1.21개, 17.36% 및 제4주성분 1.01개, 14.38%로 4개의 주성분 고유값이 1 이상이며, 누적기여율이 79.98%로 도입 유색미 유전자원 평가가 가능하였다. 3. 군집분석 결과, I군집은 79자원이 포함되었으며, II, III, IV, V, VI, VII군집은 각각 46자원, 19자원, 13자원, 4자원, 8자원 및 9자원이 분포하였다. I군집, II군집에는 짙은갈색의 자원이 많이 분포되었고, V군집, VI군집, VII군집에는 자색 계열의 종피색을 가진 자원이 많았다. 특히, V군집은 암자색과 자색만으로 자색계열의 종피색을 가진 자원만이 포함되어 있다. VII군집에서 간장, 이삭길이, 장폭비가 다른 군집에 비해 평균값이 적었으며, V군집에서는 천립중 평균이 다른 군집에 비해 가장 낮았다. IV군집에서는 평균 주당수수 가장 낮았으나, 천립중 평균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진흥(振興)과 IR 667의 엽초(葉鞘) 및 절간(節間)의 당(糖) 및 전분함량(澱粉含量)과 등숙환경(登熟環境) (Sugar and starch in leaf-sheaths and internode of Jinheung and IR667 rice under various ripening environments)

  • 박훈;권항광;목성균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99-105
    • /
    • 1974
  • 진흥(振興)과 IR667-수원(水原) 214의 작기이동재배(作期移動栽培)에서 출수기(出穗期)와 출수(出穗)4주후(週後)에 절위별(節位別) 엽초(葉鞘) 및 절간(節間)의 당(糖) 및 전분함량(澱粉含量)에 따라 탄수화물대사(炭水化物代謝)에 있어 고당형(高糖形)(당(糖)>전분(澱粉)), 당경향(糖傾向)(당함량증가경향(糖含量增加傾向)), 고전분형(高澱粉形)(전분(澱粉)>당(糖)), 전분경향등(澱粉傾向等) 분류(分類)의 타당성(妥當性)을 재검토(再檢討)한 결과(結果) 다음과 같다. 1) 진흥(振興)보다 IR667이, 엽초(葉鞘)보다 절간(節間)이, 조기(早期)보다 만기(晩期)가 출수기(出穗期)보다 4주후(週後)가 저온(低溫)에서보다 고온(高溫)에서 당경향(糖傾向)이었다. 따라서 출수기(出穗期)에는 조기(早期) 및 만기재배(晩期栽培)의 진흥엽초(振興葉鞘)와 절간(節間)이 고전분형(高澱粉形)이고 조기(早期) IR667의 하위절간(下位節間) 및 만기(晩期) IR667의 엽초(葉鞘)와 절간(節間)은 고당형(高糖形)이었다. 극만기(極晩期)에서는 진흥출수기제(振興出穗期第)1절간(節間)을 제(除)한 두 품종의 모두 절간(節間)이 고전분형(高澱粉形)이었다. 출수(出穗)4주후(週後)에는 진흥(振興)의 제1(第) 및 4위엽초(位葉鞘)를 제외(除外)한 두품종의 모든 엽초(葉鞘)와 절간(節間)이 고당형(高糖形)이었다. 조기(早期) IR667과 만기(晩期) 두품종이 출수(出穗)4주후(週後)에 절간(節間) 보다 엽초(葉鞘)에서 고당형(高糖形)이 강화(强化)되었다. 2) 상위(上位)3절위(節位) 엽초(葉鞘) 및 간(稈)이 탄수화물전류(炭水化物轉流)에서 같은 방향(方向)으로 작용(作用)하는 것 같다. 그들간엔 상위(上位)로 갈수록 출수기(出穗期)에는 당경향(糖傾向)을, 4주후(週後)에는 전분경향(澱粉傾向)을 보이며 이러한 현상은 진흥(振興)에서 뚜렷하였다. 3) 작기(作期)가 늦을수록 탄수화물함량(炭水化物含量)(당(糖)+전분(澱粉))이 높고 이 경향(傾向)은 출수(出穗)4주후(週後)와 IR667에서 뚜렷하여 저온(低溫)에 의(依)한 전류조해(轉流阻害)를 나타내는것 같다. 4) 수(穗)로의 전류속도(轉流速度)(일당입중증가(日當粒重增加))는 단기재배(單期栽培)에서 빠르고 진흥(振興)보다 IR667이 빨리 최고속도(最高速度)에 도달(到達)하였다. 5) 작기(作期)가 늦을수록 수량(收量)에 대(對)한 출수전(出穗前) 탄수화물(炭水化物)의 기여율(奇與率)은 커지며 엽초중심형(葉鞘中心形)인 IR667이 언제나 컸다. 6) 당(糖)/전분비(澱粉比)는 주(主)로 품종(品種)의 대사특성(代謝特性)으로, 이차적(二次的)으로 그러나 상당한 정도로 환경요인(環境要因)에 의하여 결정(決定)되는것 같다.

  • PDF

석탄회(石炭灰)의 시용(施用)이 콩의 생육(生育)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Growth of Soybean Affected by the Application of Fly Ash to Soil)

  • 김재정;홍순달;최병선;박종현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43-148
    • /
    • 1992
  • 석탄회(石炭灰) 과량시용(過量施用)은 콩의 발아(發芽) 및 초기생육(初期生育)에 해로운 영향(影響)을 주었으며 특히 유연탄회(有煙炭灰) 10MT/10a 이상(以上) 시용(施用)한 경우는 잎에 뚜렷한 독증(毒症)을 나타냈고 생육후반기(生育後半期)까지도 콩의 생장(生長)에 해로운 효과를 주었다. 그러나 초기생육 단계(段階)에서의 해작용(害作用)은 생육이 진전(進展)되면서 점차로 감소(減少)되어 없어지고 오히려 생육을 증진(增進)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어 무연탄회(無煙炭灰)의 경우 시용(施用) 수준(水準)을 15MT/10a까지 증가(增加)시킬수록 초장 및 건물중(乾物重)이 증가되었다. 그러나 유연탄회(有煙炭灰)의 경우 10MT/10a 이하(以下) 수준(水準)에서는 무연탄회(無煙炭灰)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생육후반기(生育後半期)로 갈수록 해(害)작용이 없어지며 콩의 생육(生育)에 양호한 영향을 주었지만, 10MT/10a이상(以上) 시용(施用)했을 경우는 생육후기(生育後期)에도 잎에 붉은 반점이 생기며 말라 버리는 증상(症狀)이 발현(發現)되었다. 석탄회(石炭灰)의 시용(施用)은 토양 pH를 증가(增加)시키는 경향(傾向)을 보였으며 무연탄회(無煙炭灰)보다는 유연탄회(有煙炭灰)에서 그 효과가 더 현저(顯著)하였다. 석탄회(石炭灰)의 시용(施用)에 의한 토양 pH 교정효과는 토양중 유효인산(有效燐酸)의 함량을 증대(增大)시켰으며 이는 콩의 생장(生長) 및 수량(收量)을 증대 시키는데 기여(寄與)한 것으로 생각된다. 종합적(綜合的)으로 고찰(考察)해 볼 때 석탄회(石炭灰)의 사용은 토양(土壤)의 물이화학성(物理化學性)을 개선(改善)시켜 콩의 생육(生育)을 증진(增進)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콩의 생장촉진(生長促進)을 위한 석탄회(石炭灰)의 적정(適正) 시용수준(施用水準)은 무연탄회(無煙炭灰)의 경우 5MT-10MT/10a, 유연탄회(有煙炭灰)의 경우는 5MT/10a 정도(程度)가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