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ain pattern

검색결과 338건 처리시간 0.029초

RF 마그네트론 스퍼터로 증착된 In2O3 박막의 질소분위기 열처리에 따른 특성변화 (Effect of Annealing in a Nitrogen Atmosphere on the Properties of In2O3 Films Deposited with RF Magnetron Sputtering)

  • 공영민;이영진;허성보;이학민;서민수;김유성;김대일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24-28
    • /
    • 2012
  • $In_2O_3$ films were deposited by RF magnetron sputtering on a glass substrate and then the effect of post deposition annealing in nitrogen atmosphere on the structural, opt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the films was investigated. After deposition, the annealing process was conducted for 30 minutes at 200 and $400^{\circ}C$. XRD pattern analysis showed that the as deposited films were amorphous. When the annealing temperature reached 200-$400^{\circ}C$, the intensities of the $In_2O_3$ (222) major peak increased and the full width at half maximum (FWHM) of the $In_2O_3$ (222) peak decreased due to the crystallization. The films annealed at $400^{\circ}C$ showed a grain size of 28 nm, which was larger than that of the as deposited amorphous films. The optical transmittance in the visible wavelength region also increased, while the electrical sheet resistance decreased. In this study, the films annealed at $400^{\circ}C$ showed the highest optical transmittance of 76% and also showed the lowest sheet resistance of $89{\Omega}/\Box$. The figure of merit reached a maximum of $7.2{\times}10^{-4}{\Omega}^{-1}$ for the films annealed at $400^{\circ}C$. The effect of the annealing on the work-function of $In_2O_3$ films was considered. The work-function obtained from annealed films at $400^{\circ}C$ was 7.0eV. Thus, the annealed $In_2O_3$ films are an alternative to ITO films for use as transparent anodes in OLEDs.

발아기간별 맥주맥 단백질의 분획 및 조성변화 (Changes in Chromatographic Fractionation and Composition of the Proteins of Malting Barley Grain during Germination)

  • 서호수;조성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6
    • /
    • 1992
  • 일정조건에서 7일간 발아시킨 맥주맥 단백질을 용매별로 분리 추출하고 발아기간별, 그 조성변화를 조사한 결과, hordein이 가장 높은 비율로 존재하였고, 발아가 진행됨에 따라 albumin, hordein, residue 함량이 감소하였고, globulin, glutelin 및 NPN 함량은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아울러, 각 단백질 분획들의 전기영동패턴을 보면, albumin 분획은 분자량이 15,000, 36,000 및 41,000 dalton인 3개 분리대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36.000 dalton의 분리대는 발아함에 따라 소열되었다. globulin 분획은 19,000, 23,000, 29,000, 35,000 및 61,000 dalton의 5개 분리대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발아시킴으로서 41,000 dalton의 분리대가 생성되었고, 23,000 dalton의 분리대는 발아 5일에 완전히 소별되었다. hordein 분획은 26,000, 39,000, 43,000 및 56,000 dalton의 5개 분리대로 구성 되어 있었고, glutelin 분획은 4배의 분리대(20.000, 28.000, 42,000, 47,000 dalton)로 구성되어 있었다. 아미노산 조성은 glutamin acid, histidine, aspartic acid, serine, glycine, valine, alanine 및 leucine이 주요한 아미노산이었으며 발아에 따른 유의할 만한 변화는 없었다.

  • PDF

한국산 빗살거미불가사리 3종의 서식처 지위- 특히 Ophiura sarsi vadicola Djakonov의 분포를 중심으로 (Niche characterization of the tree species of genus Ophiura (Echinodermata, Ophiuroidea) in Korean waters, with special emphasis on the distribution of Ophiura sarsi vadicola Dja)

  • 홍재상;유재원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442-457
    • /
    • 1995
  • 한국산 빗살거미불가사리 속의 3종, Ophiura kinbergi, O. sarsi 그리고 O, sarsi vadicola의 서식처를 파악하고, 남황해에 존재하는 생태적 장벽의 실체를 규명하기 위 하여 무기 환경요인을 이용한 서식처 지위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들의 분포를 지배하는 환경인자의 추출과정에서, 대상이 되어진 7가지 환경요소, 즉 수심, 저층 수 온, 저층 염분도, 밀도, 저층 용존산소량, 퇴적물의 평균 입도, 그리고 분급도 중 저 층 수온, 염분도 그리고 수심등이 서식처의 차이 규명에 유의한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기 환경 요소의 공간 위에서 이들 3종은 저층수의 수온와 염분도 그리고 수심 등에 대해 각기 다른 분포 범위의 폭을 나타내었다. O, sarsi vadicola를 중심으 로 한 서식처 지위의 분석에서, 우선 저층수의 염분도와 수온의 공간에서는 그 적정 서식처 범위(약 6~1$0^{\circ}C$, 31~33.5$\textperthousand$)가 황해 저층 냉수괴와 잘 일치하였으며, 수심에 대해서는 천해와 깊은 곳을 제외한 100~200m 범위에서 높은 존재 확률값이 나타났다. 한편, 본 연구에서 채집된 O. kinbergi와 O. sarsi는 O. sarsi vadicola의 적정 서식 처 범위밖에 서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황해산 O. sarsi vadicola의 분포 패턴에 관한 자료 분석의 결과로부터 이른바 황해에서의 저서성 무척추동물 분석의 남방 한계 선을 형성하는 생태적 장벽의 실체는 북위 33$^{\circ}$의 황해 남단에서 겨울철(12월)에 발생 하는 황해 난류(약 34$\textperthousand$<,18$^{\circ}C$)인 것으로 밝혀졌다.

  • PDF

광양만 북부 수어천 하구역의 여름철 대형저서동물 공간분포 (Spatial Distribution of Macrobenthos in Sueocheon Stream Estuary at the Nothern Part of Gwangyang Bay, Korea)

  • 임현식;최진우;최상덕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7권2호
    • /
    • pp.76-86
    • /
    • 2012
  • 광양만 북측으로 유입되는 수어천 하구역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여름철 공간분포 양상을 파악하고자, 2009년 8월에 24개 조사정점을 선정하여 현장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는 저서생태계의 생태학적 과정(ecological process)이 극대화되는 여름철에 이루어졌다. 소형 van Veen grab($0.05m^2$)을 사용하여 매 정점당 2회씩 퇴적물을 정량 채집하여 분석한 결과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은 총 44종이었고, 평균 밀도는 $789ind./m^2$였다. 연체동물이 밀도(43.1%)와 생체량(86.8%)에서 가장 우점한 동물 분류군이었으며, 연체동물의 Corbicula japonica(40.7%), 다모류의 Neanthes japonica(19.3%), Heteromastus filiformis(8.1%), 갑각류의 Paranthura japonica(6.9%), Jaeropsis sp.(6.9%) 등이 주요 우점종이었다. 수어천 하구역 정점에서 출현한 대형 저서동물 군집의 종다양도는 평균 $1.12{\pm}0.47$로 낮았으나, 하구역 입구에서는 상대적으로 높은 다양도를 보였다. 하구역 상부역에 위치한 정점들에서는 기수성 이매패류인 Corbicula japonica가 높은 밀도로 출현하였다. 수어천의 전반적인 저서생물상은 강 입구역에서는 세립질 퇴적물과 해수의 영향으로 다양한 생물상을 가진 반면 상부로 올라가면서 조립질 퇴적물과 담수의 영향을 크게 받아 소수의 기수종만이 출현하는 다소 단순한 조성을 가진 군집을 나타낸다.

진주만 현생퇴적물중 점토광물의 기원에 관한 연구 (Provenance of Recent Clay Minerals of the Chinju Bay, Southern Coast of Korea)

  • 김대철;김희준;송용선;백인성;박맹언;정상용;송시태;황진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46-258
    • /
    • 1988
  • 진주만에 분포하는 점토광물의 평균 함량비는 iillite $55.1\%,\;kaolinite\;23\%,\;chlorite\;22.5\%$, 그리고 smectite가 $0.4\%$이다. 부근의 남해 대륙붕에 비해 illite는 $10\~20\%$ 정도 낮고, kaolinite는 $10\%$ 정도 더 높다. 남강의 방류로 인해 조립질 퇴적물이 대량으로 유입되는 진주만 동북쪽 지역인 사천만을 제외하면 진주만에 분포하는 세립질 퇴적물은 초량천등 하동-산청 지역의 고령토 지대를 집수구역으로 하는 하천들이 주 공급원이고, 일부는 비교적 활발한 조수유동으로 노량수도와 삼천포수도를 통하여 대륙붕으로 부터 공급되었으리라 생각된다. 또한, 진주만 중앙부의 수심이 얕은 지역은 관곡천에서 진교만으로 유인된 퇴적물의 퇴적작용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생각된다.

  • PDF

Diurnal Variations in Milk and Blood Urea Nitrogen and Whole Blood Ammonia Nitrogen in Dairy Cows

  • Hwang, Sen-Yuan;Lee, Mei-Ju;Peh, Huo-Che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4권12호
    • /
    • pp.1683-1689
    • /
    • 2001
  • The levels of urea nitrogen both in blood (BUN) and milk (MUN), and milk protein (MP) reflect protein and energy intake in dairy herd feeding. Blood and milk constituents may be changes rhythmically and influence by different sampling time within a day and after feeding. Trials were conducted using five dietary treatments in both lactating and dry cows to study the effects of sampling time on concentrations of BUN, MUN and whole blood ammonia nitrogen (BAN) in practical dairy cow feeding in Taiwan. The conventional feed ingredients and forages including corn silage, alfalfa hay, timothy or pangola hay and corn grain were used as major source of the diet to follow practical dairy cow feeding. Five different diets were varying in amounts (low=L; standard=S; high=H) of crude protein (P) and energy (E) according to the NRC (1989). The energy to protein ratios in kcal/kg for the PSES, PLES, PHES, PSEH and PSEL were 10.82, 12.54, 9.41, 12.53 and 9.13 in lactating cows, and 11.38, 13.33, 9.78, 13.28 and 9.74 in dry cows, respectively. Results showed that after feeding at 9:30, BUN reached peak at 13:30 and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to that sampled at 14:30 to 18:30 (p<0.05) in dry cows. Therefore the best blood sampling time for urea nitrogen assay in dry cows is 4 hours after morning feeding. In lactating cows, BUN of 13:30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8:30 to 11:30 (p<0.05),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BUN values of other sampling time. Hence the suitable blood sampling time for BUN value in lactating cows was located on 3 to 8 hours after morning feeding, but the best time was 4 hours after morning feeding. MUN content i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afternoon collected bulk milk than the fore-strip morning milk (p<0.05), therefore the best sampling time for MUN is from afternoon collected bulk milk. Diurnal BAN changed without traceable rhythmic pattern and was negatively correlated to the BUN (r = -0.78). It is suggested that BAN may not be a good indicator for monitoring dairy cow feeding.

Nutrient Utilisation and Rumen Fermentation Pattern in Murrah Buffaloes (Bubalus bubalis) Fed Urea and Urea Plus Hydrochloric Acid Treated Wheat Straw

  • Dass, R.S.;Verma, A.K.;Mehra, U.R.;Sahu, D.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4권11호
    • /
    • pp.1542-1548
    • /
    • 2001
  • Wheat straw was treated on laboratory scale with 4% urea at a moisture level of 50% along with different amount of HC1 to fix various levels of ammonia (30, 40, 50 and 60%) and stored for 4 weeks. Result, revealed a significant (p<0.01) increase in CP content of the samples where HC1 was added. The CP content of the straw was only 7.8%, which increased to 14.1, 16.0, 15.0 and 15.2% with the addition of acid. Similarly the concentrations of NDF, ADF and hemicellulos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due to HC1 addition. The level of HC1 recommended was to trap 30% ammonia as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in CP content of straw due to addition of 4 levels of acids. Results of in vivo experiment conducted on nine buffaloes divided randomly into three groups of three animals in each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take of DM, OM, NDF, ADF, cellulose and hemicellulose in group I (ammoniated straw), group II (HC1 treated ammoniated straw) and group III (HC1 treated ammoniated straw + 1 kg barley grain), but the intake of CP was significantly (p<0.01) more in group III as compared to other 2 groups. The digestibility of DM, OM and CP was significantly (p<0.01) more in groups where HCI treated straw was fed as compared to only ammoniated straw fed group, wherea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igestibility of NDF, ADF and cellulose in 3 groups. Intake was significantly higher of nitrogen (p<0.05), calcium (p<0.01) and phosphorus (p<0.01) in group III as compared to other two groups. Animals in all the 3 groups showed positive nitrogen, calcium and phosphorus balance, though the balances of all the 3 nutri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 III as compared to other 2 groups. Rumen fermentation study conducted in 3 rumen fistulated buffaloes in $3{\times}3$ latin square design offering the same 3 diets as in group I to III revealed that rumen pH was alike statistically in 3 groups and at various time intervals. The mean ammonia-N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p<0.01) more in group II and III as compared to group I. The mean TVFA concentration (mM/100 ml SRL) were 6.46, 7.84 and 8.47 in 3 groups respectively and different statistically (p<0.01). Results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ctivities of carboxy methyl cellulase, urease or protease at both the time of sampling (0 h and 4 h) in all the 3 groups of animals.

한국산(韓國産) 무환자나무목(目) 화분(花粉)의 형태학적(形態學的) 연구(硏究) (A Study on the Pollen Morphology of Endemic Sapindales in Korea)

  • 김계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1-21
    • /
    • 1982
  • 한국산(韓國産) 무환자나무목(目) 11과(科) 15속(屬) 50종(鍾) 6변종(變種) 2품종(品種)의 화분(花粉)에 대(對)한 적도면립상(赤道面粒状) 극면립상(極面粒状), 크기(극축(極軸)의 길이, 적도면(赤道面) 지름), 발아일(發芽日)의 형태(形態)(길이와 폭(幅), 공구(孔口), 표면(表面)무늬, 벽(壁)두께, 외표벽(外表壁)과 내표벽(內表壁)의 대(大), 소(小) 관계(關係), 기타 형태적(形態的) 특징(特徵)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한국산(韓國産) 무환자나무목(目) 11과(科) 15속(屬)에 대(對)한 화분검색표(花粉檢索表)를 만들 수 있었다. 2) 한국산(韓國産) 무환자나무목(目)의 화분형(花粉形態)를 기준(基準)으로 4개의 주형(主型)과 5개의 부형(副型)으로 분류(分類)할 수 있었다. 3) 화분립(花粉粒)의 형태(形態)는 다양(多樣)하였으며 적도면(赤道面) 입상(粒状), 발아구형(發芽口型) 및 크기, 표면(表面)무늬, 벽(壁) 두께 등(等)에서 분류학적(分類學的)으로 중요(重要)한 차이(差異)가 있었다. 4) 화분립(花粉粒)은 시로미과(科) 사립(四粒)이었고 다른 과(科)는 모두 단립(單粒)이었으며 크기는 대부분(大部分) 중립(中粒)이었다. 5) 단풍나무속(屬)은 화분(花粉)의 형태적(形態的) 특징(特徵)에 의하여 신나무군(群), 청시닥나무군(群), 당단풍군(群), 비군도단풍군(群)으로 나눌 수 있었다. 6) 시로미과(科)(사립상(四粒状)), 회양목과(科)(다산공구형(多散孔溝型)), 봉선화과(科)(네 모서리가 둥근 직육면체(直六面體))의 화분형태(花粉形態)는 무환자나무목(目)의 다른과(科)에 비하여 특이(特異)하였다.

  • PDF

진해 만산 오뚜기갯지렁이 Sternaspis scutata (다모강 :오뚜기갯지렁이과)의 분포 및 성장 (Distribution and Growth Pattern of Sternaspis scutata (Polychaeta : Sternaspidae) in Chinhae Bay, Korea)

  • 임현식;홍재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537-545
    • /
    • 1996
  • 진해만의 저서동물 군집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의 일환으로 $1987.6\~1990.5$까지 총 22회에 걸쳐 채집된 저서동물 자료 중 오뚜기갯지렁이 (Sternaspis scutata)에 대한 개체군 생태를 조사하였다. 진해만 내에서 이종은 유기 오염도가 낮고 외해역의 영향을 받는 만입구역에 주로 분포하고 있었으며, 계절에 따라 분포역이 확대되거나 축소되지 않고 일정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주된 분포역의 퇴적물 내의 유기물 함량은 $2.0\~4.0\%$ (평균 $3.8{\pm}1.11$)였으며, 평균 입도는 $8.75\phi$였다. 이 종의 분포 밀도는 퇴적물의 유기물 함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양상이었다. 따라서 세립하고 유기물이 많은 내만보다 상대적으로 조립하고 유기물량이 적당하며 외해의 영향을 받는 곳에서 서식밀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종의 등판의 길이 (L)와 습중량 (Wt)간에는 $Wt=13.2752\;L^{2.7984}\;(R^2=0.962)$의 매우 높은 상관 관계가 있어 성장과 함께 등판의 길이도 증가함을 알 수 있으며, 따라서 등판의 길이는 성장을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될 가능성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관계를 이용하여 오뚜기갯지렁이의 성장은 von Bertalanffy 성장 방정식에 의해 등판 길이는 $L_{t}=5.235(1-e^{-0.3625(t-0.4047)})$로, 체중 성장은 $W_{t}=1364.1(1-e^{-0.3625(t-0.4047)})^{2.7984}$로 유도되었다. 등판 길이의 빈도 분포로부터 부유유생 시기를 마친 어린 개체의 착저는 연중 일어나지만, 월별 밀도 변화로부터 여름철이 주착저 시기로 추정되었다.

  • PDF

KIM-112 처리(處理)가 수도의(水稻) 절간신장(節間伸長), 도복(倒伏) 및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KIM-112 Application on Internode Elongation and Lodging Characteristics in Paddy Rice)

  • 임일빈;전병태;박석홍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21-229
    • /
    • 1989
  • KIM-112 처리(處理)가 수도(水稻)의 엽초, 엽신(葉身) 및 절간샌장(節間生長), 도복(倒伏) 그리고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검토(檢討)하기 위하여 시험(試驗)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KIM-112의 출수(出穗) 13일(日) 전처리(前處理)에서 제(第) 1 엽초가 3~13% 단축(短縮)되었다. 2. KIM-112의 출수(出穗) 13일(日) 전처리(前處理)는 제(第) 3 절간(節間), 제(第) 2 절간(節間) 순(順)으로 8일(日) 전처리(前處理)는 제(第) 2 절간(節間), 제(第) 3 절간(節間), 순(順)으로 그리고 3일(日) 전처리(前處理)는 제(第) 2 절간(節間), 제(第)1 절간(節間) 순(順)으로 많이 단축(短縮)되었으며 각(各) 처리시기(處理時期) 다같이 처리량(處理量)이 많을수록 단축율(短縮率)도 높았다. 3. 간장(稈長)은 출수(出穗) 13일(日) 전처리(前處理)는 13~28%, 8일전(日前) 처리(處理)는 18~24%, 3일전(日前) 처리(處理)는 7~17%정도(程度) 단축(短縮)되었다. 4. 근락구조상(群落構造上) 층위별(層位別) 엽(葉)의 분포(分布)는 무처리(無處理)가 중의층(中位層)에 되어 있는 반면 KIM-112의 처리구(處理區)는 상위층(上位層)에 많이 분포(分布)되었다. 5. KIM-112 처리(處理)에 의해서 모멘트가 작았고 도복지수(倒伏指數)는 무처리(無處理)보다 출수(出穗) 13일전(日前) 처리(處理)는 23~47%, 8일전(日前) 처리(處理)는 26~40% 그리고 3일전(日前) 처리(處理)는 8~24% 낮았다. 6. 포장도복(圃場倒伏)은 무처리(無處理)에서 완전(完全)히 도복(倒伏)되었으나 KIM-112의 13 일전(日前) 및 8 일전(日前) 처리(處理)는 거의 없었다. 7. KIM-112처리(處理)에 의해서 출수(出穗)와 입수(粒數)는 차이(差異)가 없었으며 등숙비율(登熟比率)은 25~28%정도(程度) 높았고 수량(收量)은 약(約) 26~37% 높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