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ain amino acid

검색결과 89건 처리시간 0.021초

대두-수수 혼합곡물의 템페발효 (Tempeh Fermentation from a Mixture of Soybean and Sorghum Grain)

  • 김종태;김철진;김동철;권태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668-674
    • /
    • 1990
  • 대두, 수수, 대두-수수 혼합곡물 템페를 인도네시아의 전통적인 종균(LARU ; mixed cultures of Rhizopus oligosporus)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발효가 끝난 후 대두 템페와 대두-수수 혼합템페는 단백질과 섬유질의 양이 발효시키지 않은 대조군 시료보다 증가하였고, 지방 함량은 수수템페와 대두-수수 혼합템페의 경우 약간 증가하였다. 발효가 진행함에 따라 3가지 형태의 템페 모두가 pH, 수용성 고형분, 수용성 질소 함량이 증가한 반면 총고형분 함량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트립신억제제 활성(TIA)과 피트산 함량은 발효 32시간 후 감소되었다. 이는 Rhizopus oligosporus 균이 대두를 발효시키는 과정에서 트립신억제제와 피트산을 분해하는 분해능을 가지고 있음을 제시하는 결과이다. 티아민과 나이아신 함량이 3가지 형태의 템페 모두에서 증가하였다. 32시간 발효 후 대두, 수수, 대두-수수 혼합템페 모두에서 총아미노산 함량은 감소하였고 아미노산 중 리신, 발린, 티로신, 알라닌 등이 증가하였고 세린과 글루탐산 이 감소하였다.

  • PDF

콩 품종의 단백질함량과 아미노산 조성 (Protein and Content Amino Add Composition of Soybean Cultivars)

  • 홍은희;김석동;김용호;정길웅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403-412
    • /
    • 1990
  • 단백질 및 지방질의 주요한 공급원인 콩은 오래전부터 다양한 용도로 우리의 식생활에 이용되어 왔으며 앞으로도 안정적인 단백질 공급원을 위해서는 양질 고단백 콩 신품종 육성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따라서 콩 단백질의 특성에 관한 연구내용들을 정리한 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었다.1. 콩 종실 부위중 배아와 자엽은 전체 콩 종실무게의 2.4%와 90.3%를 차지하며 단백질도 건물중으로 40%이상 함유되어 있는 영양적으로 중요한 부분이 된다. 2. 콩 종실 단백질의 대부분은 Globulin이 차지한다. 3. 콩 종실 단백질의 Amino산 조성은 Glutamic acid, Aspartic acid, Arginin의 순으로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Cystine, Methionine, Thyrosine이 적게 함유되어 있다. 4. 콩 종실의 주요 단백질 분획은 7S와 11S로 되어 있으며 11S가 7S보다 함류황 Amino산 함유량이 많다. 5. 콩의 가용성 단백질 함량이 높을수록 두부의 수율도 증가했으며 이들의 상관계수는 0.96을 보였다.

  • PDF

메밀화분의 성분 특성 및 항산화 활성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Korean Buckwheat (Fagopyrum esculentum) Pollen Grain Collected by Honey Bee, Apis mellifera)

  • 홍인표;우순옥;한상미;이미경
    • 한국양봉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61-268
    • /
    • 2017
  • 벌화분은 생리활성 물질이 풍부한 완전식품으로 알려져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나 봄철에 도토리화분과 다래화분 등 몇 종의 화분만 수집되어 생산량이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건강 및 기호식품으로 재배면적이 계속 증가하는 메밀 화분을 가을 화분원으로 개발하고자 영양성분, 비타민, 미량원소, 항산화활성, 유리 아미노산 등을 평가하였다. 메밀화분의 일반성분은 수분 9.75%, 회분 5.18%, 조단백질 14.43%, 조지방 5.67%였다. 메밀화분에는 glutamic acid, aspartic acid, lysine 등의 아미노산의 함량이 주로 분포하였으며, tryptophan, cystine, tyrosine 등은 소량 존재하였다. 비타민 함량은 C 13.74mg/100g, $B_3$ 6.62mg/100g, $B_1$ 1.26mg/100g, $B_2$ 0.53mg/100g 순으로 존재하였다. 미량원소 함량은 칼륨(K) 119.95mg/100g과 인(P) 962.77mg/100g으로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구리(Cu)와 아연(Zn)은 각각 0.46mg/100g, 1.59mg/100g으로 소량 존재하였다. 메밀화분의 DPPH에 대한 항산화활성은 $500{\mu}g/ml$ 에서 8.1%이었으며, 총페놀함량은 mg당 $2.25{\mu}g$이었다. 메밀화분은 조단백질, 조지방 등 영양성분이 모두 존재하였으며, 아미노산도 필수아미노산 8종을 포함하여 18종의 아미노산이 풍부하게 존재하였다. 또한 비타민도 C, $B_3$, $B_1$, $B_2$ 분포하였으며, 항산화 활성도 우수하여 가을 화분원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Apparent Digestibility of Amino Acids, Energy and Proximate Nutrients in Grain Sources and Tapioca for Young Pigs

  • Cho, S.B.;Kim, J.H.;Yang, J.S.;Moon, H.K.;Chae, B.J.;Han, In 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0권6호
    • /
    • pp.635-642
    • /
    • 1997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apparent ileal and fecal digestibilities of some grains for young pigs (15.6 kg BW). Ileal and fecal digestibility of corn, milo, wheat, barley, rice and tapioca were measured with pigs fitted with simple ileal T-cannula. Rice was the highest (p < 0.05) and tapioca was the lowest (p < 0.05) in the digestibilities of gross energy. For the crude protein digestibilities, rice, barley and wheat were higher (p < 0.05) than corn, milo and tapioca. The average ileal digestibilities of essential amino acids (AAs) were 89.9, 85.8, 81.5, 80.9, 80.2 and 76.3% for those fed rice, barley, milo, wheat, corn and tapioca diets, respectively. Regardless of the dietary carbohydrate sources, among the dispensable amino acids, glycine had lowest digestibility except for barley and milo. The apparent ileal digestibility of lysine and methionine were 90.7, 94.0% in rice, 88.3, 86.5% in barley and 86.3, 82.3% in wheat. The apparent fecal digestibility of average essential AAs were 90.8, 89.9, 87.7, 85.1, 82.5 and 77.9% in pigs fed the rice, barley, wheat, corn, milo and tapioca diets, respectively. The fecal digestibilities of essential AAs and nonessential AAs, in general, were higher than the ileal digestibilities, which indicating a loss of nitrogenous components in the cecum and colon. For all AAs, differences between ileal and fecal amino acid digestibilities ranged from 0.0 (valine) to 5.8 (threonine) in rice, 0.1 (arginine) to 14.5 (glycine) in barley, 2.8 (lysine) to 12.4 (glycine) in wheat, 1.0 (isoleucine) to 12.9 (glycine) in corn, 0.2 (serine, glutamic acid) to 6.5 (methionine) in milo and 0.5 (valine) to 22.1 (glycine) percentage units in tapioca diets. In conclusion, whether it is ileal or fecal, rice and barley appeared to be excellent alternative carbohydrate sources for young pigs in terms of AAs digestibility. However, energy value and cost for each grain should be considered when formulating diets.

고라이신(QPM) 주요 계통과 교잡계의 생육특성 및 아미노산 조성 변이 (Growth Characteristics and Variation in Amino Acids Composition of Quality Protein Maize Lines)

  • 배환희;손범영;고영삼;박혜영;이기범;하준영;김미정;김선림;백성범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5권3호
    • /
    • pp.222-230
    • /
    • 2020
  • 본 연구는 non-QPM인 KS140, QPM인 CML 계통 및 교잡계의 생육 특성과 단백질, 지방산 등 일반성분, 아미노산 조성을 분석하여 국내 적응 QPM 신품종 육성을 위한 기초연구 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1. 출사일수는 CML 계통이 78~90일, CML 교잡계가 81~87일 이었고 평균 출사일 수는 KS140, CML 계통 및 교잡계 모두 85일 이었다. CML계통 중 CML191이 간장과 착수고 모두 155 cm, 72 cm로 가장 낮았고, CML529의 간장이 242 cm, CML164의 착수고가 139 cm로 가장 높았다. 과피색은 KS140이 노란색, CML 계통은 흰색과 노란색이었고, 교잡계는 CML 계통이 흰색인 경우에는 노란과 흰색의 중간색을 나타내었다. 2. CML 계통의 단백질 함량은 9.1~12.1% 범위로 CML153이 가장 적었고 CML191이 가장 많았다. CML 교잡계의 단백질 함량은 9.1~11.1% 범위로 KS140/CML170이 가장 적었고, KS140/CML188이 가장 많았다. 3. 지방산의 조성비는 KS140, CML 계통과 교잡계 모두 C18:2 (linoleic acid)가 가장 높았고 C18:1 (oleic acid), C16:0 (palmitic acid), C18:0 (stearic acid), C18:3 (linolenic acid) 순이었다. CML 계통의 평균 포화지방산 비율은 21.4%였으며 불포화지방산 조성비는 78.6%로 KS140 보다 포화지방산 조성비가 다소 높았다. 4. 아미노산 조성비 중 KS140, CML 계통 및 교잡계에서 Glutamic acid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lysine의 조성비는 non-QPM인 KS140이 2.51%, QPM인 CML 계통 평균이 4.83%였으며 CML155가 6.92%로 가장 높았다. CML 교잡계 평균은 3.46%였고 KS140/CML164와 KS140/CML170의 lysine 조성비는 각각 4.18%과 4.99%로 교배하기 전의 QPM계통인 CML164, CML170보다 높았다. 5. 아미노산 조성에 따라 시험 계통들은 크게 두 개 그룹으로 나눌 수 있었으며 CML 계통도 두 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졌다. CML155, 180, 181, 191을 포함하는 Group은 lysine을 비롯하여 histidine, glycine, threonine, serine의 조성비가 높았고, CML153, 157, 164, 170, 177을 포함하는 Group은 아미노산 조성비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찹쌀과 찹쌀가루가 고추장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Quality of Kochujang Prepared with Grain and Flour of Glutinous Rice)

  • 김근향;배정설;이택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9권2호
    • /
    • pp.227-236
    • /
    • 1986
  • 찹쌀 및 가루를 사용하여 담금한 고추장(시험구 A:찹쌀가루, 시험구 B: 찹쌀, 시험구 C: 찹쌀 및 가루의 혼용)의 화학성분, 효소력 및 texture를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분, 조단백, 조지방, 적정산도, 무기성분, alcohol의 함량 및 pH는 시험구간에 차이가 없었다. 아미노태 질소함량과산성 protease 및 당화 amylase 활성은 A구가 높았고 환원당은 B구가 경시적으로 높았다. Ca, Cu, K, Mn, Mg, P, Fe의 무기성분이 각 시험구에서 검출되었고 이중 K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Cu, Mn, Fe은 극히 미량이었다. Aspartic acid, glutamic acid, cystine, agrginine, proline등의 유리아미노산이 60일 숙성 고추장에서 양적으로 많이 검출되었고 histidine, valine의 함량은 적었으며, 유리아미노산의 총량은 A구 16.49, B구 13.68, C구 15.84mg/g으로서 A구가 가장 많았고 B구의 고추장이 가장 적었다. Texture를 측정한 결과 견고성과 부착성은 담금 직후에는 A구가, 숙성 후기에는 B구가 높았으며 응집성, 탄력성은 A구가 높았고 B구가 낮았다.

  • PDF

과맥의 파성에 대한 생리화학적 연구 III. 파성심도에 따른 유수분화 및 발육과정에 있어서의 유이아미노산의 소장 (Studies on the Physiological Chemistry of Spring Habits in Naked Barley III. Variation of Free Amino acids during the Differentiation and Development of Young Spkie with Different Spring Habits)

  • 최선영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20권3호
    • /
    • pp.127-134
    • /
    • 1977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free amino acids during the differentiation and development of young spike in naked barley, a typical spring grain, Wanju, and two winter grains, Sedohadaka and Nonsankwa No. 1-6 differing in their spring habits, were analyzed at different growth stages by thin layer chromatography. In all the varieties 22 ninhydrin positive components were detected at the sowing time of March 5 and 20 components in the sowing plots of March 30. In case of the latter plot, β-alanine was identified only in both Wanju and Sedohadaka, whereas pipecolic acid was detected only in Nonsankwa No. 1-6. Particularly, it is interesting that β-alanine was observed only in the case showing the normal heading independent of the varieties and sowing times. Whether these components are directly related to the physiology of spring habits in barley or not is also a question to be answered. Of the major amino acids, alanine and γ-aminobutyric acid were always detected in appreciably large spots, and serine, leucine, aspartic acid, valine and asparagine were somewhat larger. In the plot of march 30, glutamic acid was also detected in very large spot in both Wanju and Sedohadaka at the stage of spikelet differentiation and in Nonsankwa No. 1-6 at the stage of bract differentiation. Histidine, which showed the only qualitative difference among the varieties during seed germination, cannot be observed at all. Proline observed considerably large spot during seed germination was always detected but very small except that it was observed in large spot at the stage of floret differentiation in Nonsankwa No. 1-6 in the plot of March 5.

  • PDF

버섯차 개발을 위한 로스팅 식용버섯류와 곡물첨가물의 혼합비율에 따른 추출온도 및 시간별 생리활성 및 영양성분 변화 (Changes of biological activities and nutrition contents by different extraction conditions in the mixtures of roasted edible mushrooms and grain additives for the development of mushroom tea)

  • 안기홍;한재구;김옥태;조재한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44-356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느타리(Pleurotus ostreatus)와 표고(Lentinula edodes) 버섯차 개발을 위하여 귀리(oat)와 현미(brown rice)를 부재료로 사용함으로서 버섯 특유의 향미를 저감시킴과 동시에 곡물류 특유의 고소함과 영양학적 가치 향상을 기대하였다. 이에 버섯시료의 가공방법 중 열풍건조 및 로스팅 처리에 의한 생리활성 및 영양성분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느타리와 표고의 열풍건조 및 로스팅 시료 사이의 DPPH 라디컬 소거능과 아질산염 소거능의 차이는 크게 없었으나, 총 폴리페놀 함량과 베타글루칸 함량은 로스팅 처리에 의하여 함량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로스팅 처리된 귀리와 현미의 생리활성과 영양성분을 비교한 결과, 귀리의 DPPH 라디컬 소거능 및 베타글루칸 함량은 현미에 비하여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귀리는 높은 글루탐산(Glu) 성분 등을 포함하여 모든 아미노산 성분이 현미보다 높게 나타났다. 로스팅 버섯 시료와 부재료의 혼합비율별 추출온도 및 추출시간 조건에 따른 생리활성 분석결과, DPPH 라디컬 소거능은 로스팅 표고와 귀리 1:1 혼합물(LE+O)의 100℃, 3분 추출조건에서 33.5%로 가장 높았으며, 아질산염 소거능은 느타리와 현미 3:1 혼합물(PO+B)의 100℃, 10분 추출조건에서 49.9%로 가장 높은 소거활성을 보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70℃의 10분 추출시간 조건에서 느타리와 현미 3:1 혼합추출물(PO+B)의 함량치가 16.2 mg GAE/g로 가장 높았으며, 베타글루칸 함량은 표고와 현미(LE+B) 3:1 혼합물에서 34.4%로 다른 혼합비율의 함량치에 비하여 높았다. 아미노산 분석결과, 느타리와 현미 혼합물(PO+B) 중 1:1 혼합비율에서 필수 아미노산 성분함량이 다른 혼합비율에 비하여 높았으며, 표고와 현미(LE+B) 혼합물 3:1의 비율에서 필수아미노산 성분 함량이 가장 높았다. 아미노산 성분 중 단맛과 감칠맛을 나타내는 성분함량이 월등히 높았던 귀리를 혼합함에 따른 느타리, 표고와 귀리 혼합물에서의 아미노산 성분함량의 상승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발아기간별 맥주맥 단백질의 분획 및 조성변화 (Changes in Chromatographic Fractionation and Composition of the Proteins of Malting Barley Grain during Germination)

  • 서호수;조성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6
    • /
    • 1992
  • 일정조건에서 7일간 발아시킨 맥주맥 단백질을 용매별로 분리 추출하고 발아기간별, 그 조성변화를 조사한 결과, hordein이 가장 높은 비율로 존재하였고, 발아가 진행됨에 따라 albumin, hordein, residue 함량이 감소하였고, globulin, glutelin 및 NPN 함량은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아울러, 각 단백질 분획들의 전기영동패턴을 보면, albumin 분획은 분자량이 15,000, 36,000 및 41,000 dalton인 3개 분리대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36.000 dalton의 분리대는 발아함에 따라 소열되었다. globulin 분획은 19,000, 23,000, 29,000, 35,000 및 61,000 dalton의 5개 분리대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발아시킴으로서 41,000 dalton의 분리대가 생성되었고, 23,000 dalton의 분리대는 발아 5일에 완전히 소별되었다. hordein 분획은 26,000, 39,000, 43,000 및 56,000 dalton의 5개 분리대로 구성 되어 있었고, glutelin 분획은 4배의 분리대(20.000, 28.000, 42,000, 47,000 dalton)로 구성되어 있었다. 아미노산 조성은 glutamin acid, histidine, aspartic acid, serine, glycine, valine, alanine 및 leucine이 주요한 아미노산이었으며 발아에 따른 유의할 만한 변화는 없었다.

  • PDF

한국산 Triticale 의 식품 이용에 관한 연구 (Nutritional Quality and Food-Making Performance of Some Triticale Lines Grown in Korea)

  • 신현국;배성호;박무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59-65
    • /
    • 1980
  • 한국산 triticale과 연질 밀을 사용하여 그들의 이화학적 특성, 제분 특성 및 제품 특성을 조사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Triticale은 단백질 함량이 높고 아미노산 조성도 밀 보다 양호하였으나 제한 아미노산은 역시 lysine이었다. 2. Triticale 의 식품 이용상의 문제점은 밀가루 수율이 떨어진다는 점과 $\alpha-amylase$ 역가가 높다는 점이었다. 3. 밀가루 수율이 밀보다 약 10% 정도 낮았으며 제빵으로 이용하는 경우 빵의 용적이 밀 보다 떨어졌다. 4. 그러나 triticale도 국수 제조에는 큰 문제가 없었으며 $M_{1}A$ 품종의 경우 특히 국수 적성이 양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