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overnment innovation

검색결과 1,466건 처리시간 0.023초

기업사례를 통한 과학기술혁신정책의 평가 및 시사점: (주)바이로메드 (The Evaluation of the Korean Science, Technology, Innovation Policy: A Viewpoint of an Individual Firm, Viromed(Ltd))

  • 성태경
    • 기술혁신연구
    • /
    • 제16권2호
    • /
    • pp.125-145
    • /
    • 2008
  • The paper evaluates the Korean science, technology, and innovation policy(STIP) in terms of an individual firm. The firm is Viromed(Ltd), a new technology-based venture company in the field of biotechnology. The case is compared with the 'Hwang Project', which is known as a typical failure case in Korea. In order to evaluate the Korean STIP, we establish 6 areas, which are technological infrastructure, institutional infrastructure, human capital infrastructure, technology market, industrial base, and innovation networks. The study shows that the policy schemes relating with technological infrastructure, institutional infrastructure, human capital infrastructure, and industrial base play a positive role in the start-up, development and innovation of Viromed(Ltd). However, we can hardly find the role of Korean government in fostering the technology market, transferring the technological output to economic performance. Although the international networks with the British, American, and Japanese firms or investors were a key success factor of the growth of Viromed(Ltd), the role of the government in this policy area was not enough. As for the 'Hwang Project', we suggest that the government should consider the possibility of commercialization in choosing R&D projects and determining the size of financial aids. Since the evaluation of the Korean STIP is based on an individual firm, the results of the paper need to be confirmed by a systematic comparison with other cases or industries.

  • PDF

Development of Molecular Diagnostic Innovation System in India: Role of Scientific Institutions

  • Singh, Nidhi
    • Asian Journal of Innovation and Policy
    • /
    • 제11권1호
    • /
    • pp.87-109
    • /
    • 2022
  • The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system-building activities of scientific institutions in developing the Molecular Diagnostic (MDs) Innovation System in India. Scientific Institutions are the precursor of any technological development with their capabilities in generating new ideas. MDs are advanced and accurate diagnostic technology with considerable scope to serve the diagnostic needs and requirements of the healthcare system. We adopted a System framework and analyzed the development of MDs in terms of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System (TIS) functions, and the systematic challenges are assessed through the System Failure Framework (SFF). Based on the secondary and primary survey of prominent science base actors, the study finds that the role of government is crucial for facilitating technological development within a science base through the mobilization of resources. In India, the MDs technological development gained significant momentum over the last decade with the development of specialized human resources and dedicated research institutes. However, we do find that the innovative capabilities in attaining need-based TIS are sub-optimal owning to the specific diagnostic needs of highly burdened diseases in the society. The system analysis reveals that the TIS functions are underperforming because of the absence of a well-defined funding mechanism and goal-oriented targeted policy regime of the government. Since MDs have a transformative effect on the present healthcare system, we argue that the government has to address the system-based challenges and issues for developing a need-based technological innovation system for MDs in the country.

벤처기업의 정부 R&D정책에 대한 신뢰가 혁신 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tartups' Trust in Government R&D Policies on Innovation Performance)

  • 김덕용;배성주
    • 기술혁신연구
    • /
    • 제29권4호
    • /
    • pp.95-124
    • /
    • 2021
  • 벤처기업은 기존 기업의 틈새 영역에서 도전정신을 기반으로 경제성장과 일자리 창출의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기에 정부는 지속적으로 연구개발(R&D) 예산을 확대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대기업과 중견기업 등에 비하여 자원과 역량이 부족한 벤처기업은 이를 보완하기 위해 정부에 대한 의존이 높은 상황에서 정부 R&D 지원 정책에 대한 신뢰가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벤처기업의 정부 R&D 지원 정책에 대한 신뢰에 따라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벤처기업에 대한 정부 R&D 투자는 혁신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제조업과 기술 수준이 높은 고기술과 중고기술 그룹에서 유의하였으며 비제조업 및 저기술 중저기술 그룹에서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정부 R&D 지원 정책에 대한 신뢰가 높을수록 정부 R&D 투자에 따른 벤처기업의 혁신성과 역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 수준별 분석에서도 고기술 및 중고기술 그룹과 제조업 분야에서 정부 R&D 지원 정책에 대한 신뢰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셋째, 정부 R&D 지원 단계별 신뢰에서는 사전, 중간, 사후 평가에 대한 모든 단계에서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는 정부 R&D 투자 정책의 효과성 제고를 위해서는 R&D 지원 단계 전반에 걸쳐 정책에 대한 신뢰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벤처기업의 기술 수준 및 제조업 여부에 따라 정부 R&D 지원 방식의 차별성이 필요하며 특히 기술수준이 낮은 그룹과 비제조업을 대상 정부 지원은 기업 눈높이에 맞는 지원 방식의 도입으로 정부 R&D 지원 정책에 대한 신뢰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정부는 R&D 예산을 배정하고 관리 감독의 역할보다 벤처기업 성장에 밑거름이 되는 조력자로써 공정하고 투명한 의사결정이 전제된 정책집행 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사회적 가치실현을 위한 정부혁신에 대한 연구: A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A Study on Government Innovation for Realizing Social Value: Focused on A Local Government)

  • 이향수;이성훈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6호
    • /
    • pp.11-17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문재인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정부혁신에서 주요 철학적 토대를 이루고 있는 사회적 가치에 대한 개념을 살펴보고, 특정 지자체에서 추진하였던 정부혁신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이 된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사례를 통해 정부 혁신을 추진하는데 있어서의 시사점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사례 연구의 대상 지방자치단체는 행정안전부의 정부혁신 평가에서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한 정부 혁신을 훌륭하게 수행했다는 평가를 받은 기관이다. 본 연구에서는 해당 지방자치단체, 지역청년들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여 공동체 문제에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한 정부혁신의 성공요인들을 살펴보았다. 우선 공동체 구성원들의 참여를 독려하기 위해서는 조례 등의 제도적 지원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또한 지방자치단체 스스로 변화를 주도하며 공급자적 시각이 아니라 수요자 입장에서 그들의 목소리를 듣는 것 역시 중요함을 알게 되었다. 또한 본 연구결과를 통해 공동체 문제에 참여하는 주체들에게 지속적으로 참여하도록 하는 유인체계가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지역공동체 문제에 대해 수요자 입장에서 접근하고 함께 문제를 해결해 나갈 수 있는 지속적인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자유공모형 국가연구개발 과제의 특성 및 효과성 분석 : 중소기업 R&D를 중심으로 (The Performance of Grant-type Government R&D Project: Focusing on SME's R&D)

  • 홍슬기;배성주
    • 기술혁신연구
    • /
    • 제30권4호
    • /
    • pp.57-82
    • /
    • 2022
  • 최근 중소기업 혁신 지원 전략이 시장 중심의 혁신을 유도하는 방향으로 전환되면서 중소기업이 수행하는 정부 R&D의 세부과제 지원 유형 중 자유공모형 과제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이처럼 증가하고 있는 자유공모형 과제의 특성과 효과성에 대해 이론적으로 살펴보고 실증분석을 통해 어떤 조건에서 자유공모형 과제가 될 가능성이 높아지는지, 성과 측면에서는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지 알아보았다. 먼저 시장수요 중심으로의 국가 R&D전략 전환과 수요견인 혁신 관점에서 세부과제 지원 유형 중 자유공모형 과제의 특성과 의미에 대해 살펴보고, 자원기반 관점으로 자유공모형 과제가 성과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였다. 그 후 로짓분석과 성향점수매칭법 등 실증분석을 통해 자유공모형 과제가 될 확률이 높아지는 과제 특성과 수행기업의 특성을 밝히고, 자유공모형 과제가 연구비 1억원 당 더 많은 혁신 성과를 나타낸다는 결과를 얻었다.

지역혁신체제 구축과 지방정부의 과제 (The Role of Local Government in Building Regional Innovation System)

  • 이철우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9-22
    • /
    • 2004
  • 본 연구는 지역경제발전을 위한 지역혁신체제 구축에 있어서의 지방정부의 과제를 밝히고자 하였다 참여정부의 국가균형발전위원회는 지역혁신체제의 구축을 위한 정책대상 영역으로 지역 특성화 분야 선정 및 육성, 대학 등 지역 혁신주체의 혁신역량 강화 및 협력네트워크 구축, 그리고 산 학 연 관 협력촉진 및 지원 인프라 확충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이들을 구체화하기 위한 기구로 지방정부가 중심이 되고 지방대학, 기업, 민간매개기관이 참여하는 협력체인 지역혁신협의회를 두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지역혁신협의회'를 어떻게 구성하며, 그 역할과 진한은 무엇인지 그리고 그것은 어떻게 운영될 것인지 등, 실질적인 운영과 권한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이 제시되지 않았다. 이것이 제시되지 않고는 지역혁신체제 구축에 있어서의 지방정부의 역할을 논하는 것은 무의미하다. 현재 우리나라의 각 지역들은 지역 산업 및 과학기술정책의 기획 수립 실행 및 평가에 있어 수직적 이거나 투명하지 못한 의사결정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위계적 관료주의적 성향이 여전히 지배적인 현재의 지방정부 운영 시스템으로는 지역혁신정책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안으로 지역혁신추진기구를 설립 운영하는 것이 우선적 과제이다. 지방 정부는 지역혁신추진기구의 설립단계에서는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하되, 그 운영에 있어서 간섭 혹은 통제를 하는 것이 아니고 운영을 둘러싼 수평적 거버넌스의 한 주체로서 그 역할만을 담당해야 할 것이다.

  • PDF

연구개발 혁신법에 근거한 연구성과물에 대한 ADR제도 적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Using Possibility of ADR about Outcom Based on National Research and Development Innovation Act)

  • 김봉훈
    • 한국중재학회지:중재연구
    • /
    • 제32권4호
    • /
    • pp.87-101
    • /
    • 2022
  • Since Research and Development has been expanded by government, It is very important to evaluate the outcome of Research and Development. Government have levied the penalty of researchers who misused research funding as time goes on. However, there is no protect law for the research before 2021. Government put new committee for the researchers to judge whether their action is legal or illegal based of Innovation Act 2021. Due to the various outcome index of research and development, many firms which is paticipating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have been confused the outcome index. Also, It is difficult for government agencies for management to evaluate the outcome. Even if the committee is trying to solve dispute between researchers and the government agencies, it is not enough to solve it. Therefore, we need to consider 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ADR), because the ADR has been developved detail skills for long time.

정부연구개발사업의 성과창출요인에 관한 연구: IT와 CT산업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Project Performance of Government R&D Program: Focusing on IT and CT Industry)

  • 고은옥;장필성;김연배
    • 기술혁신연구
    • /
    • 제22권3호
    • /
    • pp.261-286
    • /
    • 2014
  • 막대한 예산이 투입된 정부연구개발사업에 대한 성과창출과 관리 등에 대해서 근래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정부연구개발사업의 혁신 및 사업화 성과 창출 경로를 추정할 수 있는 연립방정식 모형을 설계하여 산업에 따른 성과창출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서 KEIT 산업기술혁신사업의 성과활용현황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정보통신(IT) 산업과 화학(CT) 산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모든 기업들은 정부지원금을 통해 개발된 기술을 특허를 통해 보호하고 혁신을 파급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었으나, 특허를 사업화하는 것은 IT 산업에서는 중소기업, CT 산업에서는 대기업으로 나타났다. 복합산업 성격인 IT 산업의 중소기업은 기업의 자체적인 혁신노력이 추가적으로 필요한 반면에 CT 산업의 중소기업은 기술개발과 사업화 성과 향상에 있어서 협력연구 등의 지원이 효과적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정부연구 개발사업으로 창출된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정부 정책 및 과제 기획 시 산업별 기업별 특성에 따라 주안점을 달리 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시장 불확실성 수준과 혁신체제 패턴간 적합에 관한 연구 : 우리나라 초고속인터넷산업의 사례

  • 김영배;전호일
    • 기술혁신연구
    • /
    • 제11권2호
    • /
    • pp.239-281
    • /
    • 2003
  • This study explored the patterns of activities and interactions among participants in the adoption process of a new system innovation, ADSL, in Korea, using an integrative framework of innovation system and strategic decision-making process for uncertainty reduction. An in-depth case analysis was undertaken to identify the adoption process of ADSL innovation, as a case in point, in conjunction with activities and interactions among related parties such as government, service providers, equipment suppliers, and content providers. The results of case analysis revealed that as the level of uncertainty in the adoption of ADSL innovation decreases, the focus of decision-making activities moves from scoping, to searching, to evaluating and to committing. Also this study found that at the early stage of ADSL adoption with higher level of uncertainty, government plays a pivotal role in coordination of related parties to participate in the innovation process, while service providers replaced this role at later stage of innovation with lower level of uncertainty. This study discussed theore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the adoption of new system innovations with varying degrees of uncertainty.

  • PDF

지역혁신체제의 강화방안: 지방과학기술 담당관들의 평가를 바탕으로 (How to Strengthen of Regional Innovation Systems)

  • 박현아;정선양
    • 기술경영경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기술경영경제학회 2004년도 25회 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28-147
    • /
    • 2004
  • This paper aims at identifying the strategies for strengthening regional innovation systems. This paper is based on the objective evaluation on regional innovation systems by regional government officials who are in charge S&T promotion. This paper has two significances. First, regional government officials as manager on S&T policies, will be able to diagnose exactly their own regional innovation systems. Second, we will be able to get a complete figure on regional S&T culture throughout them. This paper argues that, in order to strengthen regional innovation systems, we must reinforce firms' technological capabilities, create and decentralize public research institutes, and diffuse the culture for appreciating S&T and innovation within region etc.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