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onadal somatic index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8초

Effects of supplementation cysteine-coated Fe3O4 nanoparticles compared to FeSO4, on reproductive performance in male quail

  • Abdolvand, Esmail;Farzinpour, Amjad;Vaziry, Asaad
    • Advances in nano research
    • /
    • 제9권1호
    • /
    • pp.15-24
    • /
    • 2020
  • Iron has a crucial role in growth as part of metalo-proteins like haemoglobin or myoglobin, enzymes; they are also involved in energetic reactions. Iron plays a vital role in fertility. At high doses, Iron has a harmful consequence on the reproductive system, which can be strongly reflected the final stage of spermatogenesis. Nutritional products are claiming to use nanotechnology and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the potential toxicity of nano-sized nutrients. Recently iron nanoparticles were proposed as a food additive for poultr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cystein coated iron oxide nanoparticles on reproductive performance in male quails. The results of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meter, Alternating Gradient Force Magnetometer and Scaning Electron Microscopy showed that iron oxide nanoparticles was produced and have been coated with L-cycstein (Fe3O4-Cys NPs). A total of 100 one-week-old quail chicks were randomly placed to five groups of five replicates. Four quails (two male and two females) were raised in an individual cage for each replicate. The five experimental treatment diets consisted; negative control diet, with no Iron supplementation; positive control diet supplemented with 60 mg/kg of Fe3O4; treatment diets supplemented with 0.6, 6 and 60 mg/kg of L-cystein coated iron oxide nanoparticles. The hemoglobin, Red blood cell, mean corpuscular volume, mean corpuscular hemoglobin, mean corpuscular hemoglobin concentration, gonadal somatic index, daily sperm production, total testicular sperm and sperm viability of the male quails that were fed with diet supplemented by 0.6 mg/kg of Fe3O4-Cys NPs were improved as compare with negative control. This study showed that not only the use of the Fe3O4-Cys nanoparticles had no side effects but also it can be used as a feed additive to improve the reproductive performance in male quails.

Melatonin Induced Changes in Specific Growth Rate, Gonadal Maturity, Lipid and Protein Production in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Linnaeus 1758)

  • Singh, Ruchi;Singh, A.K.;Tripathi, Madhu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5권1호
    • /
    • pp.37-43
    • /
    • 2012
  • We have investigated the effect of melatonin (MLT) on specific growth rate (SGR% $day^{-1}$), condition factor (k), gonado-somatic-index (GSI), histological structures of gonads, serum as well as gonadal protein and lipid in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MLT treatment in the dose of 25 ${\mu}g/L$ for three weeks reduced SGR% $day^{-1}$ ($0.9{\pm}0.04$) as compared to control ($1.23{\pm}0.026$). The GSI value was significantly (p<0.05) reduced to $1.77{\pm}0.253$ from control where it was $2.56{\pm}0.25$. Serum protein level increased from $9.33{\pm}2.90$ mg/ml (control) to $11.67{\pm}1.45$ mg/ml after MLT treatment while there was depressed serum triglycerides ($86.16{\pm}1.078$ mg/dl) and cholesterol ($126.66{\pm}0.88$ mg/dl) as compared to control values where these were $123.0{\pm}1.23$ mg/dl and $132.0{\pm}1.65$ mg/dl respectively. Histological structure of ovary showed small eggs of early perinucleolus stage after MLT treatment while testicular structure of control and MLT treated fish was more or less similar. It is concluded that exogenous melatonin suppressed SGR% $day^{-1}$, GSI, ovarian cellular activity, protein and lipid biosynthesis, in tilapia suggesting that melatonin is useful in manipulating the gonadal maturity in fishes.

Stimulation of Molting and Ovarian Maturation by Methyl Farnesoate in the Pacific White Shrimp Litopenaeus vannamei (Boone, 1931)

  • Alnawafleh, Tariq;Kim, Bo-Kwang;Kang, Hye-Eun;Yoon, Tae-Ho;Kim, Hyun-Woo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7권1호
    • /
    • pp.115-121
    • /
    • 2014
  • Eyestalk ablation (ESA) is commonly used in aquaculture to stimulate ovarian maturation in crustaceans, and methyl farnesoate (MF) affects crustacean molting and reproduction. To investigate the physiological effects of ESA and MF treatments on the shrimp Litopenaeus vannamei, we compared the effects of single eyestalk removal and MF injections. The ESA group had the lowest survival rate (50%), and individuals in the $0.1{\mu}g$ and $1.0{\mu}g$ MF-treated groups had survival rates of 80 and 73.3%, respectively. Conversely, molting numbers were highest in the ESA group, and similar to those of the 1.0-${\mu}g$ MF group. To investigate shrimp growth, we measured body weight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and found that individuals in the ESA and $1.0{\mu}g$ MF groups showed significant increases in body weight. Furthermor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SA and MF treatments on gonadal maturation, the gonad somatic index (GSI) was calculated after the experiment. All treated groups (ESA and MF) had higher GSI values than the control group, but the ESA and $1.0{\mu}g$ MF group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Using histological ovary analysis, we determined that all treated groups showed indications of the previtellogenic stage, unlike the control group (immature stag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high-MF-concentration treatment produced effects similar to those of ESA with respect to molting number, growth, and ovarian maturation.

붉바리, Epinephelus akaara의 생식소 발달과 $17^{\alpha}$-methyltestosterone 처리 효과 (Gonadal Development and the Effects of $17^{\alpha}$-methyltestosterone on Sex Inversion of the Red Spothed Grouper, Epinephelus akaara)

  • 황성일;이영돈;송춘복;노섬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73-182
    • /
    • 1998
  • 이 연구는 붉바리의 생시고 발달과정과 $17^{\alpha}$-methyltestosterone 처리에 의한 웅성화 및 생식소내 생식세포의 변화 과정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사육 수조 내에서 붉바리의 생식소 숙도지수와 간 숙도지수의 년중 변화는 붉바리 암컷의 경우 실험구와 대조구에서 생식소 숙도지수는 2월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8월에 가장 높았으며 9월부터 감소하기 시작하여 1월까지 상대적으로 매우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수컷과 간성(intersex)의 경우 생식소 숙도 지수는 6월 이수에 감소하였다. 한편 대조구의 붉바리 간숙도 지수는 9월에 가장 낮았으며 난소의 성장기인 4월에서 5월경에 상대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으나 실험구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훨씬 낮은 값을 보였다. 그러나, 실험 기간 동안 비록 실험구의 간숙도 지수가 대조구보다 높았지만 월변화 추이는 대조구와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성변환(sex inversion)을 유도하기 위하여 ($17^{\alpha}$)-methyltestosterone (MT)을 어체중 kg당 0.2 mg과 0.5 mg을 120일 동안 경구 투여한 결과 기능적 웅성화 유도를 위해서는 MT 0.5 mg/kg-BW 농도가 MT 0.2 mg/kg-BW 농도보다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능적 수컷의 변환율을 알기 위한 MT 0.5 mg/kg-BW 농도의 처리수에서 기능적 수컷은 전장 28.8 cm와 33.5 cm사이의 개체들에서 관찰할 수 있어서 $17^{\alpha}$-methyltestosterone을 사용한 수컷 유도는 전장 30 cm 이상의 개체들 대상으로 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한국산 버들치와 버들개의 생식 주기에 관한 연구 (Reproductive Cycles of Moroco oxycephalus and M. lagowskii in Korea)

  • 강영진;민미숙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17-125
    • /
    • 1999
  • 한국산 담수어류인 버들치와 버들개의 생식주기 연구를 위해 버들치 1개 지역, 버들개 2개 지역에서 1998년 4월부터 1999년 4월까지 채집된 암, 수 개체의 생식소중량지수 (GSI: gonado-somatic index)의 변화 주기와 각 발달 시기별 생식소의 조직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두 종은 거의 생식소 발달 단계상의 차이를 보이지 않아 이를 제 1단계 (방출기), 제 2단계 (미숙기), 제 3단계(초기 발달기), 제 4단계(후기 발달기), 그리고 제 5단계(완숙기)의 5단계로 나눌 수 있었다. 1998년 4월 중반부터 6월까지의 제 1단계 중, 두 종의 생식소는 현저한 무게감소를 보여 제 2단계인 7월 말에 이르러 최소값의 GSI를 기록하였다. 1998년 9월 이후 이후 두 종의 난소와 청소는 난자형성과정과 정자형성과정의 발달로 서서히 비대해져 GSI의 증가곡선을 보였으나 동절기인 12월 이후부터의 낮은 증가율로 인해 거의 일정한 상태의 GSI값이 1999년 2월까지 유지되었다(제 4단계). 1999년 3월 이후의 본격적인 난황축적과정과 정자형성파정으로 인해 GSI는 다시 빠른 속도로 증가하여 4월 경 완전히 성숙된 난소와 정소가 되었다. 일년간 조사된 GSI값의 변화와 조직학적 결과로 확인된 버들치와 버들개의 산란기는 4월 중순~5월 중순이었다.

  • PDF

제주연안에 서식하는 보라성게 Anthocidaris crassispina와 말똥성게 Hemicentrotus pulcherrimus의 지역별 번식생태학적 특성과 유전적 변이의 비교 (Reproductive Ecology and Genetic Variations in the Sea Urchins Anthocidaris crassispina and Hemicentrotus pulcherrimus in the Cheju Coast)

  • 이정재;김범규;강상균;정상철;이기완;최광식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29-135
    • /
    • 2000
  • 보라성게와 말똥성게는 제주 전역에 널리 분포하며 중요한 수산 자원으로 간주된다. 말똥성게와 보라성게는 제주 연안에 있어 지역에 따라 크기, 성장률, 번식 시기 등이 다른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그 원인은 아직 구명되지 않고 있다. 이 연구는 제주 연안에 서식하는 말똥성게와 보라성게의 지역에 따른 번식 특성과 RAPD 방법을 이용하여 이들의 유전적 변이를 조사하였다. 말똥성게의 경우 산란기인 3월에 함덕, 위미1리, 위미2리, 및 대포리 등지에서 채집하였으며, 보라성게는 주 산란기인 6월 중 함덕을 비롯한 6개 지역에서 채집하였다. 각 지역에서 채집된 성게는 각경, 육중량, 생식소 중량 등을 측정한 후, 생식소 일부를 Bouin's solution에 고정하여 생식소의 성숙정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이들 생식소로부터 DNA를 추출한 후, RAPD방법을 이용하여 각 지역간의 유전적 변이를 비교하였다. 4개 지역에서 1997년 3월중에 채집된 말똥성게의 크기는 대포리에서 채집된 개체가 다른 세 지역에서 채집된 개체보다 현저하게 작았으며 (p<0.001) GSI의 경우 위미2지역에서 채집된 개체의 GSI가 다른 세 지역보다 현저하게 높게 나타났다 (p<0.0001). 보라성게의 경우 주 산란기인 6월에 제주 연안의 6개 지역에서 채집된 개체의 크기를 비교한 결과, 법환리 지역에서 채집된 개체가 다른 5개 지역에서 채집된 보라성게 보다 그 크기가 현저하게 작았다 (p<0.0001). 보라성게 생식소 중량지수의 경우 위미와 한림에서 채집된 개체의 생식소 중량지수가 다른 지역보다 높게 나타났다 (p<0.001). PCR 테크닉과 RAPD를 위하여 제작된 4 set의 double primer와 13개의 single primer를 분석한 결과, K13 primer를 사용했을 경우 RAPD분석 결과 종간 및 종 내의 지역적 유전적 변이를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러나 K16/17과 K20/21 primer를 이용한 경우 종 내의 지역별 유전적 변이는 확인할 수 없었다. K13 primer의 경우 유사도 (similarity)는 보라성게 종 내의 지역적 차이가 0.67-0.92, 말똥성게의 경우 종 내의 지역적 변이 폭이 0.60-0.73으로 나타났으며 보라성게와 말똥성게의 종간 유사도는 17-44%로 낮게 나타났다. 제주 연안에 있어 지역에 따른 보라성게와 말똥성게의 크기, GSI등의 변이는 유전적 차이보다는 수온과 먹이 등 과 같은 생태학적 요인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