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onad observation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36초

MIGRATION OF THE PRIMORDIAL GERM CELLS AND GONAD FORMATION IN THE EARLY CHICKEN EMBRYO

  • Hong, Y.H.;Seo, D.S.;Jeong, D.K.;Choi, K.D.;Han, J.Y.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8권6호
    • /
    • pp.557-562
    • /
    • 1995
  • In this study, characteristics of chick primordial germ cells (PGCs), which is the founder cell of the germline, and gonadal development of the chick embryo between 12hrs and 6 day of incubation were investigated by transverse serial sections of chick embryos under the light microscopic observation. In embryo stage 20 (3 day of incubation), there are a lot of PGCs at the mesenchym, which were moving to the thickened epithelium (gonadal ridge). The PGCs arrive at both right and left gonad primordial in equal number prior to stage 24 (4 day of incubation), but in the following stages, the distribution of the PGCs became asymmetrical. More PGCs colonized the left than the right gonad, but the reason for the unequal distribution of PGCs is uncertain. The PGCs have mostly settled in the gonadal ridge (GR) at 6 day embryo.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the PGC migration and gonadal formation and observe the best condition for PGC isolation, culture and to attempt the possibility of the production for transgenic germline chimeras with manipulated PGCs.

눈알고둥 (Lunella coronata coreensis)의 성 성숙 (Sexual Maturation of the Turban Shell, Lunella coronata coreensis (Gastropoda: Turbinidae), on the West Coast of Korea)

  • 이주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533-540
    • /
    • 2000
  • 1998년 7월부터 1999년 6월까지 전라북도 부안군 대항리 앞바다의 조간대에서 매월 채집한 눈알고둥, Lunella coronsta coreenisis의 생식소발달, 생식세포형 성, 생식주기, 생식소지수, 육중량비 및 군성숙도를 조직학적으로 조사하였다. 눈알고둥은 자웅이체였으며, 생식소는 패각 내의 후반 나선부에 위치하는 간장의 표면에 넓게 분포하였다. 난소와 정소는 각각 수많은 난자형성소엽과 정자형성소낭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생식소지수의 월별 변화는 수온이 상승하는 3월 ($23.86{\pm}3.73$)부터 서서히 증가하여 7월 ($49.76{\pm}6.47$)에 최고치를 나타낸 후, 9월($15.58{\pm}2.33$)에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육중량비의 월별 변화는 $25.2{\%}{\~}32.3{\%}$로, 생식소지수의 월별 변화와 유사한 양상을 나타내었다. 각고 $5.9 mm$ 이하의 개체군은 재생산에 전혀 참여하지 않았으며, $7.0{\~}7.9 mm$의 개체군은 암수 각각 $84.6{\%}$$91.7{\%}$가 재생산에 참여하였고, 8.0 mm 이상의 개체군은 $100{\%}$ 참여하였다. 생식소의 발달, 생식세포형성과정, 조직분화과정 및 세포학적 특성에 따라, 생식주기는 초기활성기 (12월${\~}$4월), 후기활성기 (1월${\~}$7월), 완숙기 (5월${\~}$8월), 산란기 (7월${\~}$9월) 및 회복기 (9월${\~}$3월)등의 연속적인 5단계로 구분되었다. 산란은 수온이 $24.8^{\circ}C$ 이상인 7월과 9월 사이에 일어나며, 주산란은 8월이었고 성숙란의 직경은 $150{\~}160 {\mu}m$이었다.

  • PDF

한국 서해산 가무락조개, Cyclina sinensis의 번식생태 및 기생충에 관한 연구 1. 번식생태 (Reproductive Ecology and Parasite of the Venus Clam, Cyclina sinensis (Gmelin), on the West Coast of Korea 1 Reproductive Ecology)

  • 김용호;정의용;김영길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6권1_2호
    • /
    • pp.35-41
    • /
    • 2000
  • 1999년 4월부터 2000년 3월까지 서해 금강 하구인 내 초도에 서식하고 있는 가무락조개를 대상으로 자원증식 및 적정 관리를 위해 조직학적 방법에 의해 생식소지수, 생식 소발단단계에 따른 생식주기, 군성숙도를 조사하였다. 가무락조개는 자웅이체로서 난생이다. 가무락조개의 생식주기는 초기활성기(2-4월), 후기활성기(3-6월), 완숙기(4-8월), 부분산란기(7-10월초), 퇴화 및 비활성기(9-2월)의 연속적인 5단계로 구분할 수 있었다. 가무락조개의 산란기는 수온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수온이 24$^{\circ}C$이상인 7월부터 산란하기 시작하여 9월 중순까지로 산란성기는 7, 8월이었다. 고창산 가무락조개의 군성숙도는 각장 26.0-30.0 mm 사이에서 암, 수 공히 50% 이상이 재생산에 가담하였고, 각장 41.0 mm 이상에서는 100%가 산란에 참여하고 있다. 전 개체의 50%가 재생산에 가담하기 시작하는 개체들의 연령은 만 2세로 추정된다.

  • PDF

Nonylphenol이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의 생식소 발달과 성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onylphenol on Gonadal Development and Growth of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문순주;이치훈;나오수;김병호;이영돈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17권1호
    • /
    • pp.7-11
    • /
    • 2002
  • Effects of nonylphenol (NP) on gonadal development and growth of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were investigated. NP treatment was carried out to fry fish (during 55 to 64 days after hatching) using oral adminstration at nominal NP concentrations of 50, 100 and 150 tig/g BW Gonad before NP treatment was sexually undifferentiated as observed with mostly gonia cells. At 159 days after hatching, ovarian lamella of ovary were filled with oogonia and perinucleolus oocytes. On the other hand, testicular lobules of the testis were occupied by spermatogonia, spermatocytes and spermatids. Histological observation of ovary and testis development was any different between the control and NP treated groups. However, growth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NP treated groups than control groups (P< 0.05). These results considerate that NP has any effect for sex differentiation and gonadal development, but act for early growth in olive flounder.

한국 및 일본의 굴 양식에 관한 연구 -억제종묘의 비교 양식- (A Comparative Study of Oyster Culture in Japan and Korea Culture of Hardened Seed Oyster)

  • 김안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53-262
    • /
    • 1990
  • 양식굴의 주요 생산지인 한국의 한산만 및 일본의 광도만산 억제종묘를 광도시 앞 바다의 이도 굴양식장에 수하양식하여 1972년 6월부터 1973년 6월까지 매월 수온$\cdot$염분등의 환경요인과 양억제 종묘에 대한 각고$\cdot$각장$\cdot$육중양$\cdot$함수율$\cdot$비만도 그리고 생식소의 발달과정을 비교 검토하였다. 1. 본 실험을 한 광도시 앞 바다의 이도 굴 양식장은 한국의 한산만 굴 양식장의 수온 및 염분에 비하여 다소 고수온$\cdot$저염분$\cdot$이었다. 2. 양억제종묘의 각고$\cdot$각장의 성장을 보면, 한산만산 억제종묘가 다소 우세하였고, 특히 육중양의 증량이 뚜렷하게 우세하였다 3. 양억제종묘의 생식소의 발달과정에 대한 관찰결과, 1972년 6월 이후 12월까지는 생식소의 변화는 큰 차가 없었으나 다음 해 생식소의 발달이 시작되는 시기인 2월 이후에는 한산만산 억제종묘의 생식소가 광도만산 억제종묘의 생식소보다 조기에 발달하였다. 종묘의 성장, 육질의 비만 및 생식소의 발달과정 등을 금후종묘 이용도의 기준으로 볼 때, 한도만산 억제종묘가 광도만산 억제종묘보다 생산적 유용성이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 PDF

동해 중부해역에 출현하는 말쥐치(Thamnaconus modestus) 암컷의 성숙과 산란 (Maturation and spawning of female black scraper, Thamnaconus modestus in the coastal waters off Middle East Sea, Korea)

  • 남기문;유준택;김재원;박종혁;백근욱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4권1호
    • /
    • pp.89-95
    • /
    • 2018
  • The maturation and spawning of black scraper, Thamnaconus modestus were studied using samples collected monthly from March, 2015 to February, 2016 in the coastal waters off Middle East Sea, Korea. The gonadosomatic index (GSI) of female was the highest in June. The spawning periods lasted from March to September based on histological observation of female gonad development. The percentage of sexually mature females estimated from a logistic function was over 50% for the size group 18.02 cm (total length, TL). The size of eggs spawned was between 0.40 to 0.58 mm. Fecundity varied between 185,648 and 9,747,250 egg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ecundity and TL of the fish was expressed in the fecundity equation as $F=0.0297TL^{5.4835}$.

Prevalence, infection intensity and histopathology ofPerkinsus in Venus clam, Protothaca jedoensis from Yo-su, Korea

  • Ngo, Thao T.T.;Park, Kyung-Il;Lim, Na-Rae;Choi, Sang-Duk;Choi, Kwang-Sik
    • 한국양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양식학회 2004년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 발표요지집
    • /
    • pp.512-512
    • /
    • 2004
  • Venus clam, Protothaca jedoensis was collected in lune 2003 from Yosu, Korea. The prevalence and infection intensity of Perkinsus was determined by Ray's Fluid thioglycollate medium technique and Choi's 2 M NaOH digestive assay. The prevalence of infection was 80% in Yosu; 54.2% in Taejon and 15.5% in Sachon. Consequently, infection intensity was highest in clams from Yosu (6250${\pm}$8188 Perkinsus cells/g of tissue) whereas lower levels were found in Taejon (5072${\pm}$10862 Perkinsus cells/g of tissue) and in Sachon (2452${\pm}$15300 Perhnsus cells/g of tissue). Histological observation showed that Perkinsus presented in mantle, gills, digestive tubes and gonad of clams. The hemocytic infiltrations and tissue damages were found in heavy Perkinsus-infected clams. Results after immunofluorescence staining with antibody developed from Perkinsus atlanticus suggested that there is closed relationship between Perkinsus found in Venus clam and Manila clam.

  • PDF

Histological Analysis of Early Gonadal Development and Sex Differentiation in Chameleon Goby, Tridentiger trigonocephalus

  • Cho, Hyun Chul;Hwang, In Joon;Baek, Hea Ja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8권1호
    • /
    • pp.51-56
    • /
    • 2014
  • This study describes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gonads in chameleon goby, Tridentiger trigonocephalus from the stage of hatching to 100 days after hatching (DAH). Based on histological observation, the primordial germ cells were observed in mesentery between mesonephric duct and gut at 15 DAH (total length, TL: $6.8{\pm}0.2mm$). At 20 DAH (TL: $7.9{\pm}0.1mm$), the primordial gonad began to protrude into peritoneal cavity and developed between mesonephric duct and gut. Initial ovarian differentiation was identified by the presence of ovarian cavity and oogonia in the gonads at 55 DAH (TL: $21.1{\pm}1.3mm$). Testicular differentiation started at 65 DAH (TL: $23.7{\pm}0.9mm$) with appearance of spermatogonial cells in the gonad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sex differentiation in T. trigonocephalus occurs earlier in females than males, suggesting that this species can be classified as an undifferentiated gonochorist.

란태생 경골어류 볼락, Sebastes inermis의 생식과 체내자어발달 (Reproduction and Embryonic Development within the Maternal Body of Ovoviviparous Teleost, Sebastes inermis)

  • 이택열;김성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413-431
    • /
    • 1992
  • 1990년 10월부터 1991년 10월까지 경남 충무 근해에서 채집된 볼락을 대상으로 생식주기, 수정, 체내 난발생 그리고 체내자어 발달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생식소숙도지수(GSI)는 암수 모두 9월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10월 이후 큰 폭으로 상승함으로서 12월에 최고 값(암 16.35, 수 1.11)을 보였다. 수컷은 1월 급격히 감소하여 0.11의 낮은 값으로 떨어지나, 암컷은 생식소내 수정난의 발생 및 부화로 인해 1월까지 높은 값을 유지하였으며 2월에는 3.73의 낮은 값으로 떨어져 8월까지 암수 모두 낮은 값을 보인다. 2. 교미는 12월에 행해지며, 정자들은 암컷의 난소내 난모세포들 사이 간질에 머물러 있다. 3. 수정은 1월에 배란과 동시에 난소강에서 일어난다. 4. 체내 난발생 및 부화자어의 산출은 1월 중순에서 2월 사이에 일어난다. 5. 본 종의 생식년주기의 암컷의 경우 9월의 성장, 10-11월 성숙, 12-l월 완숙 및 수정, 1-2월 난발생 및 부화자어 산출 그리고 3-8월까지의 긴 퇴화 휴지기를 나타내며, 수컷은 9월의 성장, 10-ll월 성숙, 12-l월 완숙 및 방정 그리고 2-8월까지의 퇴화휴지기로 구분할 수 있었다. 6. 난소내 난모세포의 발달은 1회 성숙 mode를 가지며, 부화자어 산출도 1회에 모두 행하여진다. 7. 본 종은 만 2세어 이상에서 성성숙에 도달하며, 전개체가 성숙되는 체장은 암컷 17.1cm이상, 수컷은 15.1cm이상이었다. 8. 간숙도지수는 휴지기인 춘하계에 높은 값을 보이며 생식기인 추동계에 낮은 값을 유지하는 생식소숙도지수와는 반대적인 변화를 나타내었다.

  • PDF

산란기 지중해담치 Mytilus galloprovincialis의 조직병리학적 변화 관찰 (Histopathologic Observation of the Mediterranean Mussel, Mytilus galloprovincialis (Lamarck, 1819) During a Spawning Season)

  • 정희도;이지연;;박경일;강현실;김철원;김형섭;최광식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6권2호
    • /
    • pp.121-134
    • /
    • 2014
  • 이 연구에서는 조직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산란 기간 중, 지중해담치의 조직학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조직학적 관찰 결과, 마산만 지중해담치(M. edulis galloprovincialis)는 4월부터 산란을 시작하여 9월까지 산란이 지속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동일 시기에 비만도도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소화맹낭 위축도는 산란 스트레스를 받는 6월($3.24{\pm}1.16$)과 수온이 높은 9월($3.33{\pm}1.19$)에 높은 위축도 지수를 보였다. 또한 이 시기(9월)에는 높은 소화맹낭 조직붕괴 현상도 동반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병리학적 증상 관찰 결과, 종양증 또한 관찰되었으나, 그 발병률은 5% 미만으로 낮게 나타났다. 마산만의 지중해담치에서는 기생성 병원체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공생요각류가 관찰되었다. 이 연구에 쓰인 조직병리학적 분석기법은 향후 담치의 건강도 및 연안 환경변화가 주변 생물에게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데 있어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예측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