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onad development

검색결과 196건 처리시간 0.026초

Gametogenic Cycle and the Number of Spawning Seasons by Quantitative Reproductive Analysis in Female Ruditapes philippinarum in Western Korea

  • Chung, Ee-Yung;Lee, Chang-Hoon;Choi, Ki-Ho;Choi, Moon-Sul;Lee, Ki-Young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45-254
    • /
    • 2010
  • For the studies of germ cell development and maturation in the ovary, the gametogenic cycle and the number of spawning seasons per year in female Ruditapes philippinarum were investigated by quantitative statistical analysis using an Image Analyzer System. Compared with the results by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es, monthly variations in female gonad indice by qualitative histological analysis showed a pattern similar to that of the female gametogenic cycle calculated by quantitative statistical analysis. The number of spawning seasons occurred once per year, from June to October. In quantitative statistical analysis using an image analyzer system, monthly changes in the portions (%) of the ovary area to total tissue areas in females increased in March and reached a maximum in May, and then showed a rapid decrease from June to October when spawning occurred. And also monthly changes in portions (%) of follicle areas to the ovary area and in portions of oocyte areas to ovarian tissue areas in females began to increase in March and reached a maximum in May, and then. rapidly dropped from June to October when spawnig occurred. From these data, it is apparent that the number of spawning seasons occurred once per year, from June to October. Monthly changes in the number of the oocyte per $mm^2$ and in mean diameter of the oocyte in captured image which were calculated for each female slide showed a maximum in May and reached the minimum from December to February. Therefore, female R. philippinarum showed a unimodal gametogenic cycle during the year.

Optimizing selection of sexually mature Barbus altianalis for induced spawning: determination of size at sexual maturity of populations from Lake Edward and Upper Victoria Nile in Uganda

  • Aruho, Cassius;Ddungu, Richard;Nkalubo, Winnie;Ondhoro, Constantine Chobet;Bugenyi, Fredrick;Rutaisire, Justus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1권11호
    • /
    • pp.34.1-34.13
    • /
    • 2018
  • Sexual maturity ($L_{50}$), the length at which 50% of fish in a size class are mature, is a key aspect of domestication of new fish species because it guides the procedure for identification of appropriate broodstock size for artificial spawning. In this study, the $L_{50}$ was determined for 1083 Barbus altianalis samples obtained from Lake Edward and the Upper Victoria Nile. Gonads of freshly killed samples were examined macroscopically and verified with standard histological procedures for the maturation stages that were used to determine $L_{50}$. Oocytes and spermatogenic cell sizes were compared for fish obtained from both water bodies.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no variations in macro gonad features observed for fish from Lake Edward and Upper Victoria Nile. Similarl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oocyte sizes (P > 0.05) between the two populations but significant differences in spermatogenic cell sizes were noted (P < 0.05) except for spermatozoa (P > 0.05). This however did not suggest peculiar differences between the two populations for staging the gonads. Consequently, no staging variations were suggested for both populations in determination of $L_{50}$. Sexual maturity was found in the same class size of fork length (FL) 20-24.9 cm and 35-39.9 cm for males and females from both water bodies, respectively. At this FL, however, males were too small, and for good selection of vigor broodstocks for spawning and conservation purposes, they are better picked from class size of 30-34.9 cm FL and above. These findings were crucial for integration of appropriate breeding size in spawning protocol by farmers and fisheries scientists conserving wild B. altianalis populations.

고수온에 의한 틸라피아 HSP70 유전자 발현과 Quercetin의 발현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 of Quercetin on the Expression of HSP70 Gene Induced by High Water Temperature in Tilapia)

  • 권준영;김수미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5권4호
    • /
    • pp.365-371
    • /
    • 2011
  • 수온은 어류를 포함한 수중동물의 다양한 생물학적 사건에 영향을 미친다. 어류의 번식 및 발생도 수온의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어류를 높은 수온에 노출시키면 HSP70 유전자 발현을 유도한다. 따라서, HSP70 유전자 발현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저해제의 개발은 온도에 민감한 생물학적 사건과 관련된 HSP70의 역할을 연구하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온($36^{\circ}C$)에 노출된 틸라피아 자어와 치어(전장 10~13 cm)에서 천연 flavonoid의 일종인 quercetin, 3,3',4',5,7-pentahydroxyflavon의 "고온 유도 HSP70 유전자 발현" 억제효과를 조사하였다. 고온 노출 전에 50 ${\mu}M$ 이상의 quercetin 용액에 6시간 동안 사전 침지한 실험어에서는 HSP70 유전자 발현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특히, 100 ${\mu}M$로 침지 처리한 개체에서는 고온 처리를 하지 않은 실험어에서 만큼 낮은 HSP70 유전자 발현을 나타내었다. 한편, 0.1 $m{\ell}$씩의 0.5 mM, 5 mM 또는 20 mM의 quercetin 용액을 치어에 주사한 결과, 고수온 유도 HSP70 유전자 발현은 0.5 mM의 quercetin을 주사한 치어의 생식소와 뇌에서 모두 유의하게 감소되었다(P<0.05). 본 연구의 결과는 quercetin이 어류에서 고온에 의해 유도된 HSP70 유전자 발현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틸라피아 자어 침지의 경우 유효 농도 100 ${\mu}M$ 그리고 치어 주사의 경우 유효 농도 0.5 mM로 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제시한다.

동해 중부연안 벌레문치(Lycodes tanakae)의 식성 (Feeding Habits of Lycodes tanakae in the Coastal Waters of the middle East Sea, Korea)

  • 최영민;윤병선;김효선;박정호;박기영;이재봉;양재형;손명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843-850
    • /
    • 2013
  • The feeding habits of Lycodes tanakae Eelpout were studied with 722 specimens collected from March 2011 to December 2012 in the coastal waters of the middle East Sea. The main prey of L. tanakae were fish, molluscs and arthropods. Nevertheless annelida, echinodermata and others were found in small amounts in the stomach contents. The L. tanakae stomach was empty of contents in 50.9% of specimens. While smaller size specimens of L. tanakae (less than 40 cm) fed mainly on euphausiids and amphipods, the larger specimens (more than 40 cm) fed on the fish Allolepis hollandi and Icelus cataphractus, and the molluscs Berryteuthis magister and Watasenia scintillans. The main prey items of L. tanakae varied seasonally. The fish Lycodes nakamurai was the dominat prey from November to January during its spawning season. Euphausiids and amphipods of the arthropods were the dominant prey from February to April. The molluscs Berryteuthis magister and Watasenia scintillans were the dominant prey from May to September. The diversity index (H') of diets showed variations by length class and month; the highest values were 2.61 in the length class of 51-55 cm, and the monthly highest were 2.68 in September with 23 species and 2.65 in November with 18 species. The highest dominance index (D') of diets was 0.57 in the length class of 31-35 cm, and the monthly highest was 0.71 in February. Cluster analysis divided prey groups into four groups by length class and three groups by monthly prey items. The gonad index gradually increased during the process of maturation while, contrary, stomach content index decreased during this period.

소음스트레스에 대한 뱀장어의 코티졸, 글루코스, 알부민과 Glucocorticoid Receptor 유전자 발현 연구 (Noise-induced Stress Response on Cortisol, Glucose, albumin and Glucocorticoid Receptor Expression in the Japanese eel, Anguilla japonica)

  • 박영철;강용진;전형주;한경남;백재민;이완옥;김진형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853-860
    • /
    • 2011
  • 소음 스트레스로 인한 뱀장어(Anguilla japonica)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스트레스 지표로 사용되는 코티졸, 포도당, 알부민 및 glucocorticoid receptor(GCR) 유전자의 발현 양을 측정, 분석하여 노출되지 않은 대조구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알부민은 노출 1시간 후에 낮은 값을 보인 반면 코티졸과 포도당은 대조구에 비해 매우 큰 차이를 보이며 높게 나타났다. GCR 유전자의 조직 발현 결과 간, 아가미, 근육 및 소장에서 많이 발현하였다. 소음 노출에 따른 시간의 변화에서 간과 아가미 근육과 소장에서 발현이 감소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실험결과 뱀장어의 glucocorticoid receptor 유전자의 발현변화가 소음 스트레스로 인한 영향을 파악하는데 유용한 지표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안산 흰점복 (Takifugu poecilonotus)과 국매리복 (Takifugu vermicularis)의 독성 (Toxicity of Puffer Fish, Takifugu poecilonotus (Heuinjeombok) and Takifugu vermicularis (Gukmaeribok) from Coastal Water of Korea)

  • 김지회;목종수;손광태;황혜진;오은경;유홍식;김풍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7
    • /
    • 2009
  • The toxicity of two species of puffer fish, Takifugu poecilonotus (Heuinjeombok) and T. vermicularis (Gukmaeribok) collected from the coastal regions of Korea was determined using a mouse bioassay. In the T. poecilonotus collected in Jeju and Tongyeong, the proportion of toxic specimens containing ${\ge}10$ mouse units (MU) per gram exceeded 95% for the skin, liver, ovary, and fin, and approximately 30% for the testis and muscles. In each of the organs, the highest toxin levels were 79 MU/g in the muscle, hundreds (158-365) of MU per gram in the fin, intestine, testis, and gallbladder, but thousands (1,147-2,406) of MU per gram in the skin, liver, and ovary. In T. vermicularis collected from Incheon and Gunsan, the proportions of toxic specimens were 100% for the gallbladder, and 56-68% for the skin, fin, liver, and intestine however, no toxic muscle specimens were noted. The highest toxin scores were below 10 mouse units (MU) per gram in the muscle, 20-94 MU/g in the skin and fin, 319 MU/g in the intestine, and thousands (1,548-4,624) of MU per gram in the liver, gonad, and gallbladder. The toxicity in the muscle of T. vermicularis was deemed acceptable for human consumption, whereas the toxicities in the muscle of T. poecilonotus and the skin of both species of puffer fish were significantly high, such that special attention may be required when the fish is intended for human consumption.

감성돔, Acanthopagrus schlegeli의 성 스테로이드 및 생식소 발달에 미치는 3,5,3'-triiodo-L-thyronine ($T_3$)의 영향 (Effects of 3,5,3'-triiodo-L-thyronine ($T_3$) on Sex Steroid Levels and Gonadal Development in Black Porgy, Acanthopagrus schlegeli)

  • 민병화;노경언;정민환;장영진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9권1호
    • /
    • pp.15-22
    • /
    • 2005
  • 웅성 선숙형 해산 어류인 감성돔에게 $T_3$를 경구 투여하여 성스테로이드인 testosterone(T), $estradiol-17{\beta}(E_2)$ 및 cortisol 수준의 변화와 생식소 발달을 조사하였다. 외인성 $T_3$는 사육 60일째 감성돔의 혈장 T의 수준을 유의하게 상승시켰으나, 혈장 $E_2$ 및 난모세포의 크기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또한 $T_3$ 처리는 생식소 내 정소 발달과 정자 형성과정을 촉진시켰으며, 정자 방출 기간을 연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_3$를 처리한 실험구에서 60일째에 혈장 cortisol 수준이 대조구에 비하 여 유의하게 높았다. 본 연구 결과에서 외인성 $T_3$는 T와 cortisol 분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기능적 수컷의 생식소 발달에 있어 직 간접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 PDF

바지락 (Ruditapes philippinarum)의 번식량 측정 및 유생발달에 관한 연구 (Quantification of Reproductive Effort and Microscopic Observation on the Larval Development of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Adams and Reeve, 1850))

  • 이희중;강현실;박경일;;최광식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45-156
    • /
    • 2012
  • 이 연구에서는 바지락 (Ruditapes philippinarum) 의 번식량 및 유생발생을 관찰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수정란 및 유생을 21일 간 실내사육수조를 이용하여 배양하였다. 바지락은 2011년 8월 제주시 김녕에서 채집 실험 수조로 옮겨졌으며, 다음날 자연적인 방란 방정이 관측되었다. 바지락 수정란은 19시간의 배 발생과정을 거쳐 21일 후 포복피면자유생(pediveliger) 으로 발달하였다. 조직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바지락의 생식소를 관찰한 결과, 방란, 방정 전 모든 개체는 성적으로 완숙한 상태였고, 산란 후 모든 개체에서 부분산란이 관찰되었다. 효소면역학적 방법 (ELISA) 에 의한 번식량 측정 결과, 암컷 바지락의 생식소 지수는 (GSI) 산란 전 28.6%에서 산란 후 17.3%로 11.3% 감소하였으며, 추정된 포란수는 6,998,658 eggs였다. 이 연구서 광학현미경 및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된 바지락 유생 발달 및 번식량은 향후 바지락 인공종묘 산업 및 바지락 자원관리에 있어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둥근성게(Strongylocentrotus nudus)의 Smad3와 Estrogen Receptor-related $Receptor\;{\beta}$ like 1 유전자 발현 (Gene Expression of Smad3 and Estrogen Receptor-related $Receptor\;{\beta}$ like 1 in Sea Urchin, Strongylocentrotus nudus)

  • 정유정;손영창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1권1호
    • /
    • pp.43-47
    • /
    • 2007
  •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TGF-{\beta})$ 신호의 매개자 역할을 하는 Smad 계열 단백질은 발생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Estrogen receptor(ER)와 구조적으로 유사한 estrogen receptor-related receptor(ERR)은 포유동물에서 후기 배발생기에 외배엽 형성과 관련이 되어 있는 고아핵수용체이다. 본 연구에서는 해양무척추동물의 초기발생과정과 계절번식기 동안에 Smad3와 ERR의 유전자 발현이 발생과정과 성숙에 어떠한 연관성을 갖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동해안 연안에 주로 서식하는 극피동물문 둥근성게과 둥근성게(Strongylocentrotus nudus)를 재료로 하여 계절별 및 배발생 과정중에 Smad3와 $ERR{\beta}$ like 1의 mRNA 농도를 real-time PCR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Smad3 mRNA는 샘플링을 시작한 2004년 2월의 생식소와 비교하면 4월부터 그 농도가 증가하기 시작하여 6월까지 증가하였으며, 산란기인 8월에 감소하였다가 10월부터 12월까지 높은 수준을 유지하였다. $ERR{\beta}$ like 1 mRNA는 6월까지 낮은 수준이었으나, 산란기인 8월에 급증한 후 다시 감소하였다. 수정란부터 초기 유생기까지 발생과정을 분석한 결과, Smad3 mRNA는 8세포기 및 16세포기에 높은 발현이 관측되었다. 한편, $ERR{\beta}$ like 1 mRNA는 포배기, 낭배기, 초기 유생기에 현저하게 높은 발현패턴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둥근성게의 산란기 및 발생배의 발생후기에 $ERR{\beta}$ like 1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추정되며, 초기 난할시기에는 Smad3의 관련성이 시사되었다.

  • PDF

분홍성게(Pseudocentrotus depressus)의 생식소 발달과 생식주기 (Gonadal Development and Reproductive Cycle of Red Sea Urchin Pseudocentrotus depressus)

  • 김재우;이치훈;이영돈;정상철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4권4호
    • /
    • pp.225-231
    • /
    • 2010
  • 제주도 옹포와 법환 연안에 서식하는 분홍성게의 생식소 발달과 생식주기를 조사하기 위하여 1994년 12월부터 1995년 12월까지 채집된 개체를 대상으로 생식소중량지수(GSI)의 월별 변화, 월별 생식소 발달 단계를 조사하였다. 옹포와 법환 지역에 서식하는 분홍성게의 생식소중량지수의 월별 변화는 유사하였다. 암컷은 옹포와 법환 모두 12월에 각각 $17.8{\pm}4.04$, $13.8{\pm}1.51$로 최고값을 보였고, 수컷도 옹포와 법환 모두 12월에 각각 $15.4{\pm}1.53$, $13.6{\pm}1.32$로 최고값을 나타냈다. 주 산란은 옹포와 법환 수온과 일장 주기가 감소하는 11월~2월에 일어났다. 생식소의 조직학적 관찰 결과, 제주도 옹포와 법환 연안에 서식하는 분홍성게의 암 수 배우자세포 발달 양상은 동시 발달형이고, 년 1회의 산란시기를 갖은 것으로 생각된다.